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 poseukokemikal injoheug-yeon eumgeugjae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 poseukokemikal injoheug-yeon eumgeugjae

포스코케미칼, 美 얼티엄셀즈 전기차 배터리용 인조흑연 음극재 9393억 원 수주

l 배터리 핵심소재 인조흑연 음극재 6년간 대규모 공급계약 체결
l 인조흑연 음극재 국산화 성공에 이어 첫 수출… 원료 자체 조달하고 포트폴리오 확대한 경쟁력 결실
l IRA 등 권역별 공급망 강화에 대응해 글로벌 양산능력 및 자동차•배터리사와 파트너십 확대 추진

포스코케미칼이 미국 얼티엄셀즈와 인조흑연 음극재 대규모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소재 국산화를 넘어 첫 수출의 성과를 거두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포스코케미칼은 4일 얼티엄셀즈(Ultium Cells LLC)와 약 9393억 원의 음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2023년부터 2028년까지 6년간 포항공장에서 생산한 인조흑연 음극재를 GM과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 배터리 합작사 얼티엄셀즈에 공급한다.

인조흑연 음극재*는 천연흑연 음극재*에 비해 배터리 충전속도를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특성이 있어 전기차 배터리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다. 원료조달이 어렵고 제조비용이 높아 주로 중국에서 생산해 왔으나, 포스코케미칼이 2021년 12월 연산 8천 톤의 포항공장을 준공해 국산화를 이뤄냈다. 천연흑연 음극재도 2011년부터 포스코케미칼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다.
*인조흑연 음극재 : 고온에서 원료를 가공하는 특성상 소재 팽창이 적어 안정성이 높고, 구형의 입자가 고르게 배치된 등방형 구조로 리튬이온의 이동속도가 빨라 고속충전에 유리
*천연흑연 음극재 : 천연흑연을 원료로 가공해 입자가 층을 이루어 쌓인 판상형 구조로 입자 구조 사이에 공간이 많아 에너지 저장 용량이 강점

특히 포스코케미칼은 흑연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탄소소재 자회사인 피엠씨텍에서 공급받을 수 있어, 원료부터 최종 소재 생산까지의 밸류체인 전체를 내재화했다. 독자 개발한 제조 기술과 스마트팩토리 공정을 도입해 제조비용 절감과 실시간 품질 관리가 가능한 것도 강점이다.
*침상코크스 : 제철공정의 코크스 제조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콜타르를 고온 건류해 만드는 인조흑연 원료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포스코케미칼은 자동차사 및 배터리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북미•유럽 현지에서의 음극재 사업도 추진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Inflation Reduction Act) 시행 등의 권역별 공급망 강화 정책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글로벌 양산능력 확대에 적극 나서 현재 연산 8만 2천 톤의 음극재 생산능력을 2025년 17만 톤, 2030년 32만 톤까지 늘릴 예정이다.

이번 수주를 비롯해 포스코케미칼은 북미 현지와 국내에서 얼티엄셀즈*와의 대규모 양•음극재 공급 계약을 연이어 체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배터리소재 핵심 공급자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게 되었다.
*얼티엄셀즈 : GM의 빠른 전기차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해 올해 초 오하이오주에서 배터리셀 생산을 시작했으며, 2023년 테네시 공장을 가동할 예정이며, 3공장을 미시간주에 건설 중이다.

지난 5월 GM과 캐나다 퀘벡에 양극재 합작사 얼티엄캠(Ultium CAM)을 설립했으며, 올해 약 21조 원 이상의 양극재를 북미와 한국에서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향후 합작사를 통해 양극재 공장 증설과 중간원료인 전구체 공장 신설을 추진하는 등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은 “국내 유일의 음극재사로서 원료부터 소재 생산까지 완전한 밸류체인을 완성하고,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갖춘 사업경쟁력이 수주 결실로 이어졌다”며 “독자적인 기술과 원료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고객사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양•음극재 사업을 균형 있게 성장시켜 글로벌 탑티어 배터리소재사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 poseukokemikal injoheug-yeon eumgeugjae

▲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서 제조설비를 가동하고 있는 모습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 poseukokemikal injoheug-yeon eumgeugjae

▲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서 자동화 로봇을 활용해 음극재를 제조하고 있는 모습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 poseukokemikal injoheug-yeon eumgeugjae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국산화로 성장동력 마련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국산화로 성장동력 마련

  • 철강
  • 승인 2022.08.25 08:17
  • 댓글 0

기자명 박재철 기자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2,600억원 투자로 연 8,000톤 캐파 확보

포스코케미칼이 2차전지 음극재 소재인 인조흑연을 국산화했다. 연간 생산능력(캐파)은 8,000톤이다. LG에너지솔루션에 공급한다. 향후 1만3,000톤까지 캐파를 확대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장영진 산업부 제1차관이 경북 포항시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공장을 찾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의견 청취 간담회를 가졌다고 25일 밝혔다.

포스코케미칼은 업계 최초로 인조흑연 음극재 국산화에 성공했다. 2,600억원을 투자했다. 지난 1월 1단계 완공으로 연간 8,000톤 캐파를 확보했다. 최종 준공을 하면 1만6,000톤 캐파를 갖게 된다.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 poseukokemikal injoheug-yeon eumgeugjae

인조흑연은 배터리 음극재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다. 2020년 기준 음극재 소재 비중은 ▲인조흑연 76.3% ▲천연흑연 19.4% ▲실리콘 1.2% 순이다. 천연흑연 대비 배터리 수명 증가와 충전속도 단축에 유리하다. 전량 중국과 일본에서 수입했다. 2021년 기준 국내 인조흑연 음극재 시장 규모는 1만6,000톤이다.

인조흑연 국산화는 제3차 소부장경쟁력강화위원회 과제 중 하나다. 100억원 국비를 지원했다. 화학연구원이 인조흑연 피치 원천기술을 이전했다. 동양환경은 인조흑연 피치 제조기술을 개발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석탄계 콜타르를 활용한 인조흑연 원료 확보 등을 담당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인조흑연 음극재 성능평가와 수요파트너로 참여했다.

업계는 이날 향후 소부장 정책 방향으로 미래 글로벌 공급망 시장 선도를 위한 노력 강화를 요청했다.

장 차관은 “과거 주력산업 현안 해결을 위한 패스트 팔로어 전략 중심의 소부장 정책을 넘어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제조업 패러다임 대전환의 시대를 대비한 공급망 정책을 수립 중”이라며 “향후 추가적인 기업‧전문가 의견수렴,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포스코, 중소 고객사에 판매생산 노하우 전수
  • 포스코, 국제RP협회 '골든 월드 어워즈 2022' 소셜미디어 부문 수상
  • 광양제철소 재능봉사단, 정인화 광양시장과 상생협력 다짐
  • 한성희 포스코건설 사장, 칠레대사 만나 '2030 부산엑스포 지지' 요청
  • 포스코 대학생봉사단 비욘드 15기 출범
  • 포스코, 철스크랩價 인상
  • 포스코그룹, 기술개발과 성과 공유의 장…'2022 기술컨퍼런스' 개최
  • 포스코 임직원, 수해 예방과 이재민을 위한 봉사활동 전개
  • 포스코ICT, 2022 AI 유스 챌린지 개최
  • "포스코케미칼, 양극재 시장 지위 확보에 긍정적"
  • 포스코케미칼-KB국민은행, 이차전지핵심 소재 지원 협약 체결
  • "포스코케미칼, 미국 IRA 직접 대응 가능"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