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위험성 - saema-eulgeumgo wiheomseong

제1금융권이 안전하다는 거는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제2금융권도 예금자 보호가 5천만원까지5천만 원까지 되니까, 대부분의 금융권에 1인당 5천만 원까지를 넣으면 안전하다고 보면 됩니다.

 

그래도 그 중에 좀 안전한 곳을 골라서 넣고 싶은 게 사람 마음이잖아요. 그래서 새마을금고의 안정성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새마을금고중앙회에서 각 법인별로 원금과 이자를 합쳐서 최고 5천만 원까지 보장을 해줍니다. 새마을금고 중앙회는 1조 원이 넘는 예금자보호준비금이 있기 때문에 5천만 원 안에서는 자유롭게 예금하셔도 안전합니다.

 

 

새마을금고 위험성 - saema-eulgeumgo wiheomseong

 

1.  새마을금고 안전성을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새마을금고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우측에 보면 3줄이 보입니다. 이 곳으로 들어가 주세요.

 

새마을금고 위험성 - saema-eulgeumgo wiheomseong

 

2.  전자공시-------> 정기공시로 들어가 주세요.

 

새마을금고 위험성 - saema-eulgeumgo wiheomseong

 

3.  금고명 검색을 합니다. 지역명 검색을 해도 됩니다. 기준년도 확인합니다.

 

새마을금고 위험성 - saema-eulgeumgo wiheomseong

 

 

4.  25~29. 경영지표 부분을 확인을 합니다. 4가지 지표를 확인합니다.

 

①  자본적정성 : 8% 이상, 높을수록 안전합니다. 위험가중자산대비 자기 자본비율 (BIS비율)을 확인해주세요. 충분한 자본을 보유하고 있는지 또는 보유 가능성을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금융기관의 경영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BIS비율이라고 부릅니다.

 

BIS비율

11% 이상 : 1등급 (우수), 9% 이상 : 2등급 (양호), 국제결재 은행은 BIS비율 8% 이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위의 새마을금고 BIS비율 9.95는 양호함에 속합니다. 안전합니다.

 

②  자산건전성 :  순고정 이하 여신비율을 확인해 주세요. 순고정 이하 여신비율이란 금융기관이 얼마나 많은 부실여신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지 표입니다. 이 비율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순고정 이하 여신비율의 평가등급 : 3% 이하 (1등급, 우수), 5% 이하 (2등급, 양호), 0에 가까울수록 안전합니다. 위의 새마을금고는 0.75로 우수합니다. 안전한 금고입니다.

 

③  유동성 : 50% 이상이 안전합니다. 유동성 비율이란, 고객의 요구에 맞춰 현금화할 수 있는 현금 동원력을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그러므로 위의 새마을금고 유동성 비율은 52,68로 괜찮은 편에 속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④  수익성 : 총자산 순이익률을 확인합니다. 위의 새마을금고는 0.42이므로 보통에 속합니다.

 

새마을금고 위험성 - saema-eulgeumgo wiheomseong

 

 

 

 

신협 안정성 확인하는 방법

신협 안정성 확인하는 방법 요즘은 지역마다 제2금융권이 많이 있습니다. 제2금융권이 이자율이 조금 놓은데요. 그래서 없던 관심도 생깁니다. 신협은 새마을금고와 마찬가지로 제1 금융권에 비

  • 새마을금고 위험성 - saema-eulgeumgo wiheomseong
  • 새마을금고 위험성 - saema-eulgeumgo wiheomseong

제 목 : 새마을금고도 위험한가요?ㅠㅠ

작성일 : 2008-09-02 10:35:31

올 2월에 적금탄거랑 해서 8000만원이상 되는 돈을 새마을금고에 넣어놨어요.
2금융권도 위험할수도 있다고하셔서, 그돈을 지금 빼서 농협이나 이런데로 넣어야하는건지..
어찌해야 좋을까요..ㅠ.ㅠ 제 전재산인데요...

지금 빼면 작은 이자도 못받는데 말이죠.
그냥..이런저런 글들 읽어보니 답답하네요..

  • 1. 저 같으면

    '08.9.2 10:46 AM (210.121.xxx.54)

    빨리 빼서 제1금융권에 분산 예치하겠습니다.

  • 2. ..

    '08.9.2 10:47 AM (211.178.xxx.73)

    저 같아도 5000만원 안 넘기게 분산시켜서.........
    우체국 같은데 넣겠어요..

    친정 아버지 두번이나 제2금융권 망하는 바람에~
    돈 몇달치 묶이고 이자 날라가버린 경험이 있었지요..

  • 3. 새마을금고

    '08.9.2 10:55 AM (96.250.xxx.75)

    는 예금자보호법 대상 기관이 아닙니다.
    새마을금고연합회에 설치된 예금자보호준비금이 유일한 안전망(?)인 셈인데,
    피해대상이 많으면 당연히 힘들겠지요?

  • 4. 윽

    '08.9.2 10:57 AM (218.50.xxx.178)

    새마을금고는 에금자보호법도 안되나요?
    저희 남편도 제발 주식 좀 처분했으면 좋겠는데
    골수콘크리트안에 쇠심줄고집이라 아예 얘길 꺼내기도 싫네요.싸우는 것도 지치지만
    근본적으로 아주아주 요상한 사고방식이 뿌리박혀 있어서 대화가 가능한 상대가 아니라.
    답답해요.

  • 5. 인천한라봉

    '08.9.2 11:02 AM (211.179.xxx.43)

    새마을은 2천만원 아닌가요?

  • 6. 으..

    '08.9.2 11:06 AM (122.35.xxx.119)

    저희는 삼성전자 새마을금고에 적금있는데, 여기도 위험할라나요?

  • 7. ...

    '08.9.2 11:07 AM (220.122.xxx.155)

    새마을 금고 전화하니까 모든 은행이 마찬가지라네요.
    피해대상이 많으면 모든 은행이 다 똑같다며...

  • 8. 혀니랑

    '08.9.2 11:13 AM (211.206.xxx.44)

    이런 시기에 더더욱 금고는 위험하지 않을까요??

  • 9. 점세개님

    '08.9.2 11:16 AM (211.199.xxx.206)

    마을금고 직원 말을 믿으시겠습니까?
    예금보험공사 홈피 들어가서 직접 확인하시죠

  • 10. 새마을금고

    '08.9.2 11:18 AM (96.250.xxx.75)

    는 새마을금고법에 의하여 원금이 3천만원 이하일 경우,
    이자 포함 3천만원까지 보장하고
    3천만원 이상일 경우 이자 없이 원금전액을 보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만 제가 말씀드릴려구 했던 건,
    이를 보장하는 안전망(?)이란 게 지불준비금제도라는 건데....
    아무래도 피해대상이 많으면 힘들지 않을까 하는 차원에서 말씀드린겁니다.
    걱정끼쳐드렸다면 죄송. 꾸벅

  • 11. 광팔아

    '08.9.2 12:22 PM (123.99.xxx.25)

    자신이 판단 하시길.
    이놈의 세상이 하루아침에 바꾸어 버릴수도...

  • 12. 제2금융권

    '08.9.2 12:31 PM (121.254.xxx.158)

    저축은행도 5000만원이하는 보장 받을수 있다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