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선회 기생충 제거 - saengseonhoe gisaengchung jegeo

생선회를 잘 몰라도 '고래회충'이란 말은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최근 몇 년 사이 고래회충의 위험성을 다뤘고 일부 언론에서는 과장 보도로 불필요한 공포감을 조성하기도 했으며, 일부는 오보로 밝혀지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5년 3월에 있었던 고래회충 오보 사건이다. 한 방송사가 망상어에서 나온 기생충인 '필로메트라 선충'을 고래회충으로 오인하면서 전국의 횟집과 수산 업계가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망상어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생선이 아닌 데다 필로메트라 선충 또한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은 무해한 기생충임에도 불구, 고래회충으로 잘못 보도하면서 고래회충과 상관없는 양식업에 피해를 입힌 것이다.

해당 뉴스를 접한 나는 영상에 비친 것이 고래회충이 아님을 직감하고 서둘러 반박 글을 썼다. 이후 몇몇 방송사에서 연락이 왔고, 인터뷰를 통해 이 사실을 알렸지만, 해당 방송사는 끝내 정정 보도를 하지 않은 채 사건은 묻히고 말았다.

생선회 기생충 제거 - saengseonhoe gisaengchung jegeo

고래회충

#. 우리가 목격하게 되는 고래회충은 대부분 유충이다.

고래회충은 이름 그대로 고래를 종숙주로 삼은 바다 기생충이다. 중간 매개체인 갑각류와 어류를 통해 사람이 감염되는데 이때 발견되는 것은 모두 성장기에 있는 유충이다. 길이는 1~3cm 정도며 중간 숙주에서나 발견되는 미성숙 개체인 것이다.

양식 활어에는 잘 발견되지 않고, 대부분 자연산에 기생한다. 따라서 여름철 위생 관리가 안 된 자연산 생선회를 잘못 먹게 되면, 고래회충증에 걸릴 수 있다. 유충이라지만, 위장에 들어가면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기에 분명 조심해야 한다.

그렇다면 종숙주인 고래의 내장에는 얼만한 크기의 성체가 자랄까? 제가 알기에는 8~10cm에 달하는 그야말로 지렁이 크기의 고래회충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다만, 이를 본 사람은 극히 드물다. (고래의 배를 가르지 않은 이상)

생선회 기생충 제거 - saengseonhoe gisaengchung jegeo

고등어 한 마리에서 나온 고래회충

나는 어류 칼럼니스트로서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어획된 생선은 해부하고 살피는 습관이 있다. 사진은 고등어 한 마리에서 나온 고래회충이다. 기생충 번식률이 가장 높은 계절은 여름~가을이며, 이 시기에 잡힌 고등어에는 마리 당 평균 10~30마리 혹은 그 이상도 발견된다.

흔히 고래회충은 고등어나 갈치 내장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외에도 작은 베이트 피시와 갑각류를 잡아먹는 바닷물고기에는 많든 적든 고래회충이 있으며 이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다만, 날 음식을 즐기는 문화권(한국, 일본)에서는 고래회충(아니사키스)을 늘 조심해야 한다.

#. 고래회충의 생활사

고래회충은 부화 후 여러 단계의 중간 숙주를 거친다. 좀 전에도 썼지만, 이 녀석의 종착지는 고래와 상어 뱃속이며 거기서 알을 낳고 분변을 통해 자손을 뿌린다. 그 분변이 한동안 부유하다 부화하는데 여기서부터 부화 → 동물성 플랑크톤 → 갑각류 → 작은 베이트 피시 → 큰 물고기 → 더 큰 물고기 → 고래나 상어, 물개 등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먹이사슬의 중간에는 인간이 개입하게 되고, 생선회로 먹던 사람 중 극히 일부는 고래회충에 감염된다.

생선회 기생충 제거 - saengseonhoe gisaengchung jegeo

갈치구이에서 발견된 고래회충

#. 고래회충이 산 채로 입에 들어갔을 때의 증상

일단 감염되면 수 시간 뒤 복부에 극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구충제 한두 알로는 잘 듣지 않으니 미리 복용한다고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니 회를 먹고 3~5시간 즈음 복통이 오면 빨리 응급실을 찾는 것이 좋으며, 최악의 경우 내시경을 통해 고래회충을 적출해야 할 수도 있다.

고래회충은 먹이사슬로 전파되기 때문에 사료를 먹고 자란 양식 활어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대부분 양식 활어회를 먹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기생충 감염에서 자유롭다. 다만, 여름부터 가을 사이 자연산 생선회를 먹을 땐 주의가 필요하다. 고래회충은 평소 내장에만 기생하다가 숙주가 죽으면 무너진 생체방어력을 틈타 수시간 내 근육에 파고든다. 이를 '근육 이행률'이라고 한다. 고래회충은 전부 파고들지 않고 일부 만이 파고드는데 그 비율이 생각했던 것보다 높지는 않다. (어종마다 이행률이 다르다.)

모든 고래회충이 살로 파고들 수 없는 이유는 해당 개체의 활력 둔화와 환경적인 변수 때문입니다. 한 예로, 위 사진에서 보이듯 생선에는 내장을 감싸는 내장 막이 있다. 이 내장 막을 뚫고 들어가기가 쉽지 않기에 옆구리의 연한 살을 통하거나 항문 근처를 통해 살 속으로 파고들며, 이러한 근육 이행률은 전체 개체 수 중 10%도 되지 않는 것이다.

고래회충 이행률이 가장 높은 어종은 열빙어(시샤모)로 죽은 열빙어 살에서 고래회충이 나올 확률이 매우 높고, 그 외 고등어나 붕장어, 오징어류는 1~5% 정도의 이행률을 보인다. 다시 말해, 한 생선에 고래회충 100마리가 들었다면, 그중 1~5마리가 살 속으로 파고들고 대부분 내장에서 생을 마감한다.

물론, 1~5%라도 산술적으로는 발생 가능한 확률이므로 전처리(활어 상태에서 피와 내장을 제거해 신선한 횟감 상태로 만드는 작업)가 되지 않은 선어의 근육에서 고래회충이 발견되기도 한다. 그것을 모르고 먹다 걸리는 것이 고래회충증이다. 이 고래회충증은 자체 검열이 까다로운 일식집이나 마트(마트는 대부분 양식만 사용)에서는 발생하기 어렵다. 그럼 어디서 감염될까?

주로 위생의 사각에 놓인 일부 관광지 횟집과 시장 좌판에서 발생한다. 특히, 여름에 회를 먹고 배가 아파 응급실에 간 사례는 대부분 산지로 여행 가서 먹었거나, 그 지역 수산시장을 이용했거나, 행락객이 주로 찾는 관광지 횟집이며, 낚시꾼이 직접 낚아 먹는 경우에도 해당된다.

그러니 우리가 일반적으로 회를 먹고 고래회충에 감염될 확률은 생각 이하로 낮다 할 수 있으며 이를 수치적으로 나타내자면 1/10,000 확률도 되지 않는다. (하루 평균 생선회를 구매한 소비자가 전국적으로 만 명 이상은 넘을 테니 감염률은 한없이 낮아질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회를 먹고 나서 고래회충에 감염되는 것은 '대중교통 이용하다 사고 날 확률'보다 못하다고 보는 것이다.

오늘 이 시간을 통해 고래회충은 무엇이고, 왜 감염되며, 어떻게 하면 감염률이 높아지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이 고래회충은 겨울이라고 아예 없거나 안전한 것은 아니다. 위생 관리가 소홀한 곳, 죽은 생선으로 회를 친다면 1/10,000 확률이 1/100 이상으로 올라갈 것이다. 그러니 여름이라고 무조건 회를 배제하기보다는 위생 관념이 좋으면서, 어느 정도 맛집 반열에 오른 검증된 식당을 이용해 달라고 당부하고 싶다.

기생충으로 부터 안전한 생선회는 없는걸까요??

  4245

Updated at 2018-12-28 00:07:16

회 좋아해서 자주먹는데 얼마전 매니아 글에 방어회 기생충 게시글을 보고 식겁했는데

오늘 연말회식에서 모듬 회 세트를 시켰는데 그중에 방어회로 짐작되는 회 한점사이에 지렁이 같은(?) 기생충을 실제로 보고 이제 생선은 익혀먹어야겠다고

결심 아닌 결심을 했습니다

별도로 소 간을 생으로 먹으면 진짜 회충약 무조건 먹어줘야하고 되도록 생간은 안먹는게 건강에 좋다고

알고 있는데요 

생선류중에 삭힌 홍어 같은건 기생충으로 부터 안전할까요?

진정 생선회는 기생충으로부터 멀어질수 있는 어종은 없는걸까요?

매니아분들도 맛있는 식사 건강하게 영양섭취 하셨으면 좋겠네요

생선회 기생충 제거 - saengseonhoe gisaengchung jeg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