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통념 예시 - sahoejeog tongnyeom yesi

내가 지금까지 해온 작업의 내용을 한마디로 줄인다면 그것은 ‘통념’에 대한 저항이 될 것이다. ‘저항’이란 말이 너무 상투적으로 들린다면, 그것을 ‘반란’이라는 자극적인 단어로 바꿔놓아도 좋다. 하지만 내가 한 ‘반란’은 쿠데타적 성격을 가진 폭력적 반란이 아니라, 문학을 통한 ‘즐거운 반란’이었다. 내가 {즐거운 사라}라는 소설 제목을 만들어낸 것도 ‘즐거운’이란 단어에 초점을 맞추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자유로운 성(性)이나 진한 사랑 얘기만 나오면 모두 우울하고 비극적인 결말로 끝내며, 작가의 ‘음란성’을 변명하는 게 나는 보기 싫었다. 그래서 나는 ‘즐겁게’ 야하고, ‘즐겁게’ 통념에 반항하는 ‘즐거운’ 여자를 그려보고 싶었던 것이다.

대관절 ‘통념’이란 무엇인가? 통념은 인식과 실천의 디딤돌이기도 하지만, 과학적 인식과 실천을 가로막고 창의력과 변혁을 방해하는 최대의 적이기도 하다. 통념을 단지 ‘일반 사람들의 보통생각’이라고 간단히 정의하기에는 그것이 사회적으로 소비되는 방식이 너무나 무시무시하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자. 정치인들은 걸핏하면 ‘국민의 여론’을 들먹인다. 국민의 여론을 팔아먹으려는 전략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정략을 통념으로 위장하려는 전술이기도 하다.

‘고정관념’은 통념과 같은 말이 아니다. 고정관념은 ‘일부 사람들에게만 굳어있는 관념’이란 판단이 가능하지만, 통념은 그런 부정적 인식을 전제하지 않는다. ‘통념’은 모든 사람들의 머릿속을 떠돌면서 마치 진리인 것처럼 위장된다.

통념보다는 차라리 ‘거짓말’이 낫다. 거짓말은 최소한 거짓말이라는 형식 자체를 숨기지 않기 때문이다. 통념은 ‘보통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관념’이란 뜻이지만, 그 뜻 자체가 ‘통념’에 기초하고 있다. 통념은 모든 보통사람들의 생각이 아니라, 특정 계층이나 세력이 대세를 독점한 결과로 나타나는 ‘무의식화(無意識化)된 강제규범’인 것이다.

흔한 예를 들어보자. ‘순결’이라는 통념에 우리는 얼마나 시달려왔던가. 아직도 몰지각한 수구주의자들이 금과옥조처럼 떠받드는 ‘순결’, 그 통념은 누가 만들어냈는가. 결혼 전에 온갖 음란한 짓을 다했으면서 아내의 단 한번의 불행한 과거조차 용서하지 않는 뻔뻔스런 남자들이 만들어낸 것 아닌가.

통념과 ‘선입견’도 같은 말이 아니다. 선입견은 그래도 "인식 대상에 대해 미리 설정해 놓은 고정관념"이라는 명징한 부정적 의미와 투명한 시간개념이 들어가 있지만, 통념은 시간개념조차 들어가 있지 않다. 그래서 통념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두루두루 넘나들며 만고불변의 진리처럼 횡포를 부린다. ‘통념’보다는 차라리 ‘편견’이 낫다. 편견은 ‘치우친 생각’이라는 명징한 의미가 이미 그 말 안에 암시돼 있어 통념만큼 횡포를 부리지 못한다.

‘통념’의 일반성을 해체시키고 특정 권력의 은폐적 전횡을 폭로하기 위해 우리는 ‘이데올로기’라는 말을 쓴다. 순결이라는 통념을 구성해준 주체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라는 식으로 말이다. 이럴 경우 이데올로기는 통념보다 훨씬 객관화된 의미로 쓰여질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통념은 통념을 생산한 자를 돕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이 지적했듯이 ‘순결’의 통념을 남성들이 창출했다 할지라도, 그 통념에 희생당하는 것은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들어가기 때문이다.

물론, 통념이라고 해서 다 ‘나쁜 관념’이 되는 것은 아니다. 통념에는 나쁜 관념뿐만이 아니라 ‘좋은 관념’도 있고 기타 다양한 관념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좋은 통념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비판적으로 극복되지 않는다면 부정적 효과를 산출해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단순히 부정적 통념에 대한 저항뿐만 아니라 ‘좋은 통념의 획일화’까지 경계해야 하는 것이 지식인의 참된 의무라고 나는 생각한다. ‘합리성’, ‘창의성’, ‘민주주의’ 등이 아무리 좋은 관념이라 할지라도 ‘합리성의 획일화’, ‘창의성의 획일화’, ‘민주주의의 획일화’ 등으로 치닫게 되면 합리성, 창의성, 민주주의의 긍정적 측면까지 파괴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에는 특히 애매모호한 윤리적 ‘통념’들이 너무 많다. ‘순결’에 버금가는 ‘변태’, ‘음란’, ‘퇴폐’ 등의 통념이 빚어내는 문화 독재는 정말 두통거리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 ���ٸ� �̰�(�̸)���� ���ǰ� �ִ� ������ ��ȸ�� ���(��ҷ)�̶�� �Ѵ�. �� ����� ������ ����� ȫ�ϰ� �׷����� ���� ����� ����Ѵ�. ������ ������(������)������ '������(��������)'�� ����� ��ȸ�� �����Ͽ���. �۸� �˰� �ൿ���� ���� ���� ����ϰ� ������ ����� ������� ����ϴ� ��ȸ���� ���� ������ �ߴ��ϰ� ���밡 ���� �� �ְڴ°�. ������ ���밡 ���ѵ� ���� ���� �� ���� �� �ְڴ°�.

    ����� �츮���󿡼��� ����� ��� ��ȸ�� ����� Ⱦ��(����)�ϰ� �ִ�. ������ ���� �͵��ε� �̷� ������ ���з��� �����ǰų� �������� ������ �츮���� ����� ����.

    1. �������Ǵ� �ϴ����̰� �����̴�.(�������Ǵ� ������, ������ �ƴ� �����̸� ��Ȱ����̴�.)

    2. �ѱ������� �������̰� �������̴�. ���ڴ� �ܱ����̴�.(���ڴ� �츮 ����� 1õ6��� �̻� �츮�� ������ �������� �츮�� �ܾ��� �� 70%�� ���� �츮�� �����̴�. ���ڸ� ������ ���� �츮�� ����� ��ȭ�� ������ �ű��� �����̴�.)

    3. �⼺����� �����̵��� ���޵��� �Ѵ�.(�⼺����� �����̵��� ����ġ�� �ܷý��Ѿ� �Ѵ�.)

    4. �Ŷ��� �ﱹ������ �ܼ��������̾���.(�߱������ �ִ��� �����̾��� ��(��)�� ���� �Ͽ� ���������� ���� ���� ������ ������ ���ѳ� �Ŷ� �־��⿡ ������ �ѹݵ��� �����Ѵ�.)

    5. �豸(����)�� ����������� �ֱ����̰� �̽¸�(��ع)�� �ܵ����μ����� �Ƿ¿��̴�.(������ ������ �ֱ����� ��������� �̿���ϰ� �������� �Ƿ¿��� ������ �Ǽ��ߴ�.)

    6. 4.19�� �����̰� 5.16�� ����Ÿ�̴�. ������ ���� ���̰� ����Ÿ�� ���� ���̴�. ������ �� ���� ���� ���̰� ����Ÿ�� ������ �� ���̴ϱ�.(���þ� ������ ������ ������ ������ �ҷ���, 5.16�� ������ ������ �ٴ�ȭ ������ �̷��ߴ�.)

    7. �����ϰ� ���� ����� ���ϴ�.(������ ����� ���п� ���� ����� ������ ���ϴ� ��ȸ�� ���Ѵ�.)

    8. ��������� �����������̴�.(��������� ������ �������Ǹ� �䱸�ϴ� ������� ������ ��õ�ϴ� ����̶� ������ ����. ����� ��õ���� �ٸ���.)

    9. �Ϻ��� ����.(�Ϻ��� ���� �̿��� ��ȭ�ǿ��� �����ϰ� �������� �� ���� ��2�� �����뱹�̴�. 20������ �ֿ����̴�.)

    10. �������Ǵ� �����̴�.(���Ŵ� ��ġ���� ����Ǵ� �����̴�. �ƹ����� ���ŷ� ���� ���� ����. ���������� ���ŷ� ���� �ʿ䰡 �� �ִ� ���� �ƴϴ�. ���ֱ����� �̱����� ���������� �����Ѵ�.)

    11. ������ �������� ����ϴ�.(������ �������� ����ϱ� ������ ���ϰ� �̱����� ��ġ ���ϰ� �ο���.)

    12. �츮�� �߱��ΰ� ����ϰ� ����ij�ʹ� �ٸ���.(�츮�� ����ij�� ������ �������� �� �����̰� �߱��� �������� �ִ�. �߱����� ���� ������ �߱����� �Ŀ��� �ƴ϶� �������� �Ŀ��̴�.)

    13. ��ȸ���ǰ� �����̴�.(��ȸ���Ǵ� ��������� �������� ���ϰ� ���� ���������̴�. �츮 ������� ���������� ���ϼ�, ���������� �������.)

    14. ���Ծ��� ����(���)�� �ְ��� �����̴�.(������ �ʴ� ���� ����. ������ �ܸ��ϴ� ������ ȭ���̴�.)

    15. ������ ��Ų �����(������)�� ����(����)�̰� �׺��� �ָ���(��ٰ��)�� �����̴�.(�ָ����� �鼺�� ������ ���������ڿ��� ������� ������ ������ ���з��ڿ���.)

    16. ���� ��ġ���� �����ϰ� �ΰ��� ��ġ���� �����ϴ�.(������� �۰�, �׸�, �ø� �ƴ� �������̾��� �迵���� '������'�� ������.)

    17. �Ƿ�, ����, ���� �����ϴ� ���� ���Ǵ�.(����� �����ڰ� �ƴ� �Ǽ����� ���̴�.)

    18. �������� �������� �غ��ϰ� ���Ѱ� ȭ���ؾ� ������ ����������.(�������� �̹����� ���ϼ�-������ ������ �����ϰ� �����ֹ��� �����ؾ� ���ϵȴ�. �������ǰ��� ȭ���� �� ����.)

    19. ��ȭ�� ��(�)�̴�.(��ų �� ���� ��ȭ�� ��(�)�̴�.)

    20. ��������� �������� �ְ��ι��̴�.(�������� �̷��� ���ϱ����� �����ٸ� �ѹ����� ������ �ѱ۵� �ʿ� ������ ���̴�.)

    <1998�� 6�� �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