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사 합격 후 대학 - semusa habgyeog hu daehag

1. 세무사 시험 합격 후 세무법인에서 근무세무사(월급쟁이 세무사)로서 일한다.

나이가 젊은 일반 세무사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케이스입니다. 수습하고 2~3년 근무하고 나서 개업하자... 경험과 지식을 쌓아서 개업하는데 도움이 되자... 나쁘지만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년간 세무사 시험 합격생이 상당히 증가했습니다. 그 합격생의 상당수는 20대 후반, 30대 초반입니다. 그 분들이 벌써 세무법인에 자리잡으셨죠. 또한 많은 일반세무사들이 2~3년 일하고 나서 뛰쳐나와 개업하기 때문에 기존 세무법인에서는 페이세무사를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습니다(요즘에는 세무법인에서 위의 사정 때문에 상대적으로 여성세무사를 좀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나가서 개업해서 자신과 경쟁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죠. 기존에 개업하신 분들은 경력 1~2년짜리 근무세무사 뽑는것보다 경력 5년차 이상의 베테랑 여직원 뽑는게 훨~씬 낫습니다. 대형회계법인에 비해 세무법인은 상당히 영세한(?) 편이니, 이 길 택하시는 분은 절대로 큰 기대 안 하는게 좋습니다.

2. 세무사 시험 합격 후 7급 세무직 시험에 응시한다.

제가 생각하는 최고의 길입니다. 세무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면 5%의 가산점이 붙습니다. 엄청난(?) 혜택입니다. 남들보다 7문제 덜 맞추고도 합격할 수 있습니다. 140문제중에 7문제 정도 더 틀려도 합격할 수 있다는 것은 엄청난 메리트입니다. 게다가 합격후에도 좋은 부서(조사과 등등)에 배치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제 세무사 동기 형님 왈, '세무사 합격 후 세무직 7급은 세무사의 엘리트코스다. ' 틀린 말은 아닙니다. 나이제한에 걸리지만 않는다면 도전할 만 합니다. 다른 진로에 비해 국가 공권력을 행사하면서 권력의 단맛(?)을 느낄 수 있는 길입니다. 월급받아 가면서 세무에 대해 공부할 수 있으며 어깨에 꽤 힘주고 다니실 수 있을 겁니다. 집안에서도 세무서 다닌다고 하면 잘보이려고 하는 분들 아마 있을 겁니다. 합격하고 나서는 동기 세무사분들도 찾아와서 잘 부탁한다고 술 사드릴겁니다. 대기업 가기에는 학력, 나이, 학벌, 성별이 걸리고 중소기업에는 가기 싫고 근무세무사 하기 싫으신 분이 세무 지식 더 배우고 싶으며 국세청 분들과 인맥쌓고 싶다고 세무직 7급이 최고의 진로라고 감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세무직 7급 + 세무사 자격이면 어지간한 A급 공사 및 일반 대기업과 맞먹는다고(또는 능가할 수 있음) 말씀드리고 싶네요. 세무사 자격을 소지한 경우에는 공부기간을 약 1~2년 잡으면 대체로 합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저 개인적 견해입니다만, 일반 고시 출신 수험생은 합격 후 수습처 구한다면서 이리저리 알아보시는 것보다 마음 비우고 세무사 2차 시험직후 잠시 쉬고 바로 세무직 7급 시험에 올인하셔서 다음해 또는 다다음해에 붙는게 최고라고 감히 말씀드립니다.

3. 합격 후 바로 개업

불가능하다고 생각할지는 모르겠지만, 가능합니다. 수습직후 얼마든지 개업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망할 가능성이 가장 높죠. ㅡ.ㅡ;;; 주위에 잘 아는 분이 있어서 거래처 50~60개만 넘겨줄 수 있으면 실패하지 않습니다. 집안이 경제적 여유가 있고 아버지나 친척 분들이 좀 밀어준다면 가능합니다. 부모님을 잘 만나야 하겠죠. ^^;;;;;

4. 일반기업 회계/세무 팀에 입사

세무사 시험 합격 후 일반회사 회계/세무 팀에 입사하여 세법 및 회계 지식을 쌓는 것도 좋은 길입니다. 대기업 or 공사 회계/세무 팀에 입사할 경우에는 한국세무사회 실무수습교육보다 훨~~~~~씬 좋은 회계/세무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종 회계 및 세무 지식을 많이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월급 좀 모아서 나중에 개업하기에도 상당히 유리하고요. 이직하기에도 좋습니다. 단, 이쪽 방면은 뭐니뭐니해도 나이, 학벌, 학력, 성별이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입사하기가 쉬우나(그만큼 대우 및 복리후생은 좋지 않겠죠?), 대기업 회계/세무 팀에 신입 또는 경력으로 입사하기 위해서는 나이가 20대 후반 또는 30대 초반 정도로 젊어야 하고 대학은 필수로 졸업해야 하며, 학벌 및 성별이 꽤 중요합니다(좋은 대기업일수록 학벌이 좋아야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학벌이 안좋으면 기회가 상당히 좁아짐. 또한 여성의 경우 기회가 남자들보다 더 좁은게 현실임). 나이가 젊고 학벌이 되는 남자 군필(공사는 모르겠으나, 대기업은 군필 남성을 선호하는게 일반적입니다.)의 경우에는 도전해볼만한 합니다. 제가 지금 이 길에 도전하고 있죠. ^^ 제 개인적인 생각은 세무사 + 세무직 7급 만큼 좋은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5. 금융권 입사 - PB

대기업 세무/회계 팀 만큼 좋은 길입니다. 신입일 경우 나이가 어려야 가능합니다(여성은 20대 초반~20대 중반, 남성은 20대 중반~후반). 특히 은행권에 PB(Private Banker)팀에 들어갈 수 있으면 최고라 할 만합니다. 증권쪽도 PB가 발달된 곳에 들어가면 좋습니다. 능력에 따라서는 평범한 개업세무사 이상의 수입도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및 자신의 계발 여부에 따라 상속, 증여 등의 고급 세무업무를 다룰 수 있습니다. 정말 좋은 길입니다.

6. 학원강사

세무사 시험 때의 노하우 및 지식, 세무사라는 간판(?)을 사용하여 다시 수험계로 나가는 것도 좋은 길인 듯 합니다. 성공하면 대박입니다. ^^ 제가 다닌 학원 강사님 중에서도 고소득 올리는 분 많았습니다. 특히 원장님이신 임태종 세무사님이 젤 부러웠음 ^^ 이 분야는 치열하고 항상 수험생과 호흡해야 합니다. 연령, 학벌, 성별에 상관없이 강의 잘 하고 시험에 나올거 잘 찍어주면 대성공할 수 있는 길입니다. 게다가 시간제한이 덜해서 개업세무사들도 학원강사를 같이 병행하면서 사무실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분야는 나이, 학벌, 성별의 제한이 덜하니 자신이 강의에 관심이 많고 강의를 잘 할 수 있다면 정말 해볼만한 길입니다.

올해 세무사 시험 유예를 앞두고 있습니다.

다름이아니라 아직 학교가 4학년 1년이 남았어요.

학교 특성상 제가 2학기만 다닐 수 없고 1학기 2학기 모두 다녀야 졸업이 가능한데 만약 이번 시험 후에 2학기 다니고 수습교육? 후에 학교를 다녀서 졸업을 한 후에 수습기간을 가져도 괜찮을까요?

정리하면

2021-2 4학년1학기 복학

2022-1 4학년 2학기 재학 및 대학 졸업

2023 수습기간 후 세무직업 시작

정말 열심히 유예 준비중입니다.

제발합격하고 고민하세요란 답변 달아주지 말아주세요..힘빠집니다..

세무사 합격후에 공백기간이 수습기관이나 후 취업에 안좋은 영향이 있을까 걱정되어 질문남깁니다!

세무사 합격 후 대학 - semusa habgyeog hu daehag
세무사 합격 후 대학 - semusa habgyeog hu daehag

총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졸업하고 수습교육을 받아도 전혀 지장 없습니다. 저도 재학시절에 합격하였고, 학점 모두 이수하고 1년뒤에 수습을 받았습니다. 이런 분들 의외로 많습니다.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조급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문용현 세무사

세무회계 문

서울시 강서구 강서로 385, 우성에스비타워 8층 85호 02-6403-9250

세금은 저에게 맡기시고 일상에 집중하세요!

세무사 합격 후 대학 - semusa habgyeog hu daehag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전~~혀 상관없습니다.

    합격하고 1년 해외여행다녀오고 수습받고 취직하는 사람도 여럿 봤습니다.

    저도 금전적 여유만 있었다면 1년놀고 수습받았을거에요~

    여러이유로 수습을 나중에 받으시는 분들 많습니다.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2021. 04. 21. 12:43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마승우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2차시험이 얼마 안 남았는데 기운내시길 바라며 답변 드립니다. 결론적으로 합격 후 복합한 졸업 후에 세무법인 등에 수습기간을 거쳐서 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저는 1학기 남겨두고 합격하고, 사회에 진출하고 싶은 마음이 강해서 수습과 학교를 병행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좋지는 않았습니다. 학교 졸업 후 미래 진로에 대해 조금 더 고민 후 수습하셔도 충분합니다.

      2021. 04. 21. 08:17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임현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세무사 합격후에 공백기간이 길더라도 취업이나 개업에 영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재학중 세무사시험에 합격하고 졸업후 수습교육을받고 취직하는 경우에도 전혀 본인에게 불리한것은 아닙니다.

        세무사의 경우 언제 합격했느냐보다 세무업무를 얼마나 오래하였으며 어떤업무에 강점이 있고, 영업력은 어느정도 인지가 세무사로서 인정받는 가장큰 능력입니다.

        감사합니다.

        2021. 04. 20. 23:17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신학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네 상관없습니다. 수습의 경우 붙고 바로 해야 하는것도 아니고 언제받을지 선택할 수 있으니 졸업후에 받는게 좋습니다.

          저도 합격 후 학교다니다가 졸업 후에 수습받았습니다. 다만, 집체교육과 실무수습은 따로 받는것보단 한꺼번에 받는게 더 좋아보입니다.

          2021. 04. 19. 16:51

          신고사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