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이프 전송속도 - seuwaipeu jeonsongsogdo

토픽 암호화폐

블록체인 업계 종사자가 말하는 코인썰

새회사 · I********

작성일2021.02.03. 조회수6,963 댓글139

안녕 난 2018년 부터
대기업 때려치우고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몸담고 있어
어지간한 코인 플젝들은
국내외 막론하고 협업도 해보고 연락도 해봄

그런 의미에서
장기 투자할만한 코인을 굳이 꼽자면

비트랑 이더 뿐인 것 같다.

나머지는 이번 리플사태도 보았겠지만
시장 자체가 아직 미성숙 한데다가
여러가지 이슈로 인해 폭등락이 계속 될 수 있으니
가능하면 비트 이더 외엔 당분간 쳐다보지 마

체링 폴카닷 에이다도 이야기 나오는데
할많하않

우리나란 특히 알트 투자 비중이 높아서
이번 비트 강세장에 소외감 많이 느낀 것도 사실인데
가능하면 메이저 자산 위주로만 하는게
해외/기관 주도의 현재 흐름에 부합한다고 봐

암튼 모두들 성투하자

댓글 139

새회사 · j*********

후훗.. 간만에 재미있는 포스팅을 보았네..
댓글도 재미있고 말야....
어쩌다 보니.. 나도 2018년 초..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굴러와서 별의 별 일들을 겪으며.. 일하는 중인데..

계속 드는 생각은 '탈블'이야.. 그런데 그게 쉽지 않네.. 뭐.. 어쩌겠어.. 아는건 이쪽 업계인데..
어떻게든.. 관리자급으로 넘어갸야할 시기인거 같은데.. 여러가지로 머리가 복잡해..
횽은.. 계속 이바닥에 있을거야? 아무리 생각해도 상당수가 사기를 치고 있는 판이라서;;

코인에.. 장투가 좀 어울리는 단어는 아닌거 같아..
비트와 이더의 가치는 진짜 금과 은 처럼 올라갈거 같기는 한데..
그저 현실세계의 자산을 늘려주는 수단으로 코인을 잘 활용해라가 맞지 않을까 싶네..

속도라든지.. 속도라든지... 이런 문제로 Dapp이 defi로 발전할 수 밖에 없지 않나 싶고..
체인링크에 대해서는 나도 그렇게 생각해.. 외부에서 입력한 외부세계의 정보를 누구나 무료로 쓰는 구조라면... 이거 어떻게 유지할까 싶더라고.. 오라클이 필요한건 인정하겠는데... 에코시스템과 BM이 어디선가 꼬이거 같아...
아마도.. 이걸 개선한 오라클이 나올거 같긴한데.. 체인링크를 넘어서는데 오래걸릴거 같다는..

개인적으로는.. 트론이 실사용(?) 측면에서 잘 만든거 같은데...
오너리스크가 ㅠㅠ
가격도 거의 스테이블하고(ㅠㅜ) 전송 수수료도 무료(무료라고 하지 뭐..복잡하지만)에..
전송 속도도 빠르자나...
아직 뭐 이렇다할 킬러댑이 안나오는게 안타깝기도 하고.. 역시나 오너리스크인가..

뭐.. 디파이만 발전한게 기형적이라고 한다면...
돈복사 가능할때 돈을 버는게 나쁘지 않지 않을까 싶네....

형은 탈블 생각 안해?

Apple Korea · 2**

체인링크 토큰은 사용자가 데이터 볼 때 사용료로 내거나 서비스 제공자가 노드 운영에 스테이킹으로 쓰이는데 틀렸나요?

새회사 · j*********

그게.. 딱히 그런 토큰이코노미가 없더라고;;
회사에서 비슷한거 만들어보겠다고 해서 리서치좀 해봤는데..
그런 요소가 없던데 말야... 그래서.. 체링 가격이 좀 의심스럽더라고...

Apple Korea · 2**

천하의 메사리가 팩트가 아닌 걸 리포트에 올려둔건가 저도 확인해야겠네요 ㅋㅋㅋ

기술보증기금 · !*********

형 넴하고 오미세고도 좀 풀어줄래?

LG화학 · 1********

이더는 얼마까지 갈까요

한전KDN · i********

형 요새은 안와요?

암호화폐 추천 글

토픽 베스트

스와이프 전송속도 - seuwaipeu jeonsongsogdo

스와이프 전송속도 - seuwaipeu jeonsongsogdo

스와이프(Swipe)는 디지털 암호화폐 지갑이자 비자카드 플랫폼이다. 스와이프의 티커는 SXP(에스엑스피)이다. 스와이프의 본사는 필리핀에 위치하고 있으며, 운영법인은 영국과 에스토니아에 설립되었다.

목차

  • 1 개요
  • 2 특징
    • 2.1 오라클
    • 2.2 지갑
    • 2.3 카드
    • 2.4 토큰 이코노미
  • 3 각주
  • 4 참고자료
  • 5 같이 보기

개요[편집]

스와이프는 사용자가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된 블록체인 기반의 멀티 자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다. 스와이프 지갑은 스와이프의 토큰(SXP)을 사용해 출금을 포함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스와이프 지갑 사용자는 지갑 내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그들이 가진 암호화폐를 통해 법정화폐를 사거나 팔고, 지불할 수 있으며, 선물 카드를 구입하거나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타 암호화폐로 교환할 수 있다.[1]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TC)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전자 결제수단의 대체품으로 사용되는 것이었다. 이후 이더리움(ETH), 라이트코인(LTC) 등 수많은 암호화폐가 탄생했지만 아직까지도 지불수단으로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스와이프는 암호화폐의 본래 목적을 되살려 통화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기존의 금융 시스템과 암호화폐를 연결하는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작된 프로젝트이다.[2]

특징[편집]

오라클[편집]

스와이프 오라클은 스와이프가 개발한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 애플리케이션 거래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실시간 마켓 데이터, 시세, 암호화폐 유동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스와이프 지갑 및 카드에서 사용되는 법정화폐로의 실시간 환전이 가능하다.

스와이프는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계약에 높은 보안성을 지닌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하는 분산 오라클 네트워크 제공업체인 체인링크(Chainlink)의 솔루션을 적용하여 이더리움-달러 페어의 실시간 시세 및 스와이프의 고유 토큰인 스와이프 토큰의 커스텀 스와이프-달러 시세 네트워크 등 다양한 레퍼런스 오라클을 도입했다. 체인링크의 오라클 솔루션은 스와이프를 온체인 트랜잭션과 오프체인 가격 사이에서 안정되고 탈중앙화된 다리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는 다수의 체인링크 오라클을 같은 데이터 포인트를 주시하도록 하여 한 오라클이 중앙화되어 독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디앱의 경우 취약점을 보완하는 것이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성패를 결정한다. 그러므로 블록체인 기반의 안전한 스마트 계약임에도 불구하고 한 곳에 중앙화된 오라클이 관측하는 시세를 기반으로 실행되면 신뢰할 수 없는 트랜잭션이 될 수 있다. 스와이프는 지분증명(PoS) 트랜잭션에 적용되는 토큰 시세 도출에 사용되는 데이터 소싱 과정을 탈중앙화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스와이프를 매매 및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는 데 기축이 되는 시세에 대한 신뢰도 및 정확도를 향상시켰다.[3]

스와이프 오라클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포함한다.

  • 유동성 프로토콜 : 스와이프 오라클을 거래소 및 OTC 거래자들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환전 및 거래를 진행함으로써 거래 실패를 최소화한다.
  • 시세 모듈 : 스와이프 오라클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장에서 가장 유동성이 뛰어난 거래소와 OTC 거래자들의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한다. 거래 진행 시 실시간 분석을 통해 최고의 시세를 제공한다.
  • 컴플라이언스 인공지능(CAI) : 스와이프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시스템으로 이것은 모든 규제와 절차에 준수함과 동시에 원활한 사용자 경험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컴플라이언스 인공지능은 스와이프 지갑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 세계의 고객신원확인(KYC) 인증자들과 스와이프 오라클 사이에 연동된 실시간 자동 고객신원확인 시스템을 관리한다.
  • 은행단 플랫폼 : 스와이프 지갑은 은행단 레이어에 의해 작동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를 통해 은행 사용자는 다양한 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 직불카드 처리 시스템 : 스와이프 지갑과 직불카드를 연동하는 핵심 요소로, 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스와이프 지갑과 연동된 직불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직불 시점에 사용할 암호화폐를 실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카드 또는 실물 카드 발행을 지원하며 애플 페이 및 구글 페이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갑[편집]

스와이프 지갑은 사용자가 자신이 가진 암호화폐를 통해 결제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다. 스와이프 지갑을 통해 사용자는 스와이프 네트워크 상에 있는 암호화페에 접근할 수 있다. iOS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암호화폐 사용뿐 아니라 시세, 뉴스 및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모든 기타 자산을 확인할 수 있다. 스와이프 지갑은 20개의 암호화폐를 우선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며, 사용자의 암호화폐는 콜드월렛에 보관, 스와이프의 예비금으로 유지되는 핫월렛을 통해 사용 가능하게 될 것이다.[1]

카드[편집]

스와이프 카드는 전 세계에서 사용 가능한 직불카드이다. 스와이프 카드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지갑과 연동되며, 스와이프 오라클에 의해 실시간으로 암호화폐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와이프 카드에는 카드 정지 및 해제 가능한 보안 설정 기능, 위치를 포함한 실시간 사용 내역, 스와이프 지갑에서 PIN 즉시 변경 기능, 실시간으로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환전할 수 있는 스와이프 오라클 기능, 직불카드, 애플페이 및 구글페이 지원, 스와이프 보상 프로그램을 통한 캐시백과 같은 기능이 들어갈 예정이다.[1]

스와이프는 일반 카드, 메탈 카드라는 직불 카드를 출시한다. 일반 카드는 모든 결제에 대해 1% 캐시백을 받으며 ATM 현금 인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메탈 카드는 프리미엄 카드로 모든 결제에 대해 4% 캐시백을 받을 수 있으며 2,000 달러 추천 보상, 외국 거래 수수료가 없다는 점 등이 특징이다. 메탈 카드를 받기 위해서는 6개월 동안 30만 스와이프 토큰을 스테이킹 해야 한다.[2]

토큰 이코노미[편집]

스와이프 토큰은 플랫폼을 위한 자체 암호화폐로서 스와이프 제품라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동한다. 이더리움 플랫폼으로 제작된 ERC-20 기준 토큰이며 총 발행량 3억 개, 스와이프 토큰은 모두 거래 수수료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스와이프 제품에서 수수료가 발생되는 거래가 이뤄질 경우 해당 수수료는 스와이프 토큰으로 처리될 것이며 이중 80%는 소각, 나머지 20%는 운영 예비금 목적으로 예치된다.

  • 분배(20%) : 스와이프 토큰은 1년 락업을 조건으로 기관 투자를 통해 분배될 것이며 허용된 지역에서 공식 판매자를 통해 분배될 것이다.
  • 팀(20%) : 스와이프 팀에게 분배되는 물량은 자금 분배를 통해 참여자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활동적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하기 위함이다.
  • 설립자 및 어드바이저(20%) : 설립자 및 어드바이저에게 분배되는 물량은 프로젝트를 위해 작업한 수고에 대한 보상이다. 이 물량은 스마트 계약에 의해 락업된 물량이며 6년에 걸쳐 해지된다.
  • 생태계 예비금(20%) : 네트워크 인센티브 및 사용자 보상과 프로모션 등을 위한 물량이다. 추후 지갑 및 기타 탈중앙 제품에 기여하는 커뮤니티에게 다양한 보상 형태로 지급될 것이다. 생태계 예비금은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고 사용자를 확대하기 위해 예비된다.[2]

각주[편집]

  1. ↑ 1.0 1.1 1.2 1.3 카페 관리자, 〈빗썸 스와이프(SXP) 암호화폐 검토보고서〉, 《빗썸 공식 카페》, 2020-01-30
  2. ↑ 2.0 2.1 2.2 재공이, 〈스와이프코인(SXP) 정보, 재공이의 코린이스쿨〉, 《네이버 블로그》, 2020-03-22
  3. Swipe KR, 〈스와이프 네트워크, 체인링크 오라클 솔루션 도입〉, 《미디엄》, 2020-02-13

참고자료[편집]

  • 스와이프 공식 홈페이지 - https://swipe.io/
  • 카페 관리자, 〈빗썸 스와이프(SXP) 암호화폐 검토보고서〉, 《빗썸 공식 카페》, 2020-01-30
  • 재공이, 〈스와이프코인(SXP) 정보, 재공이의 코린이스쿨〉, 《네이버 블로그》, 2020-03-22
  • Swipe KR, 〈스와이프 네트워크, 체인링크 오라클 솔루션 도입〉, 《미디엄》, 2020-02-13

같이 보기[편집]

  • 암호화폐 지갑

 

스와이프 전송속도 - seuwaipeu jeonsongsogdo
스와이프 전송속도 - seuwaipeu jeonsongsogdo
이 스와이프 문서는 암호화폐 종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암호화폐 : 암호화폐 종류, 암호화폐 종류(국가별), 암호화폐 종류(가나다), 암호화폐 분류, 암호화폐 거래소, 암호화폐 거래, 암호화폐 지갑, 암호화폐 역사, 채굴기, 채굴업체, 채굴지역
비트코인 이전 넷캐시 • 비머니 • 비트골드 • 이캐시 • 해시캐시
비트코인 계열 그로스톨코인 • 도지코인 • 라이트코인 • 랩트비트코인(WBTC) • 루트스탁 • 모나코인 • 버트코인 • 비트코인 • 비트코인골드 • 비트코인 다이아몬드 • 비트코인에스브이 • 비트코인캐시 • 아인스타이늄 • 옴니레이어(마스터코인) • 타이드코인 • 해시쉐어
이더리움 계열 도지더리움 • 레이든 • 비트셰어(비트쉐어) • 오에스티 • 이더리움 • 이더리움 2.0 • 이더리움 클래식 • 이더리움페어 • 이더리움피오더블유 • 이더제로 • 질리카 • 카르다노(에이다)
리플 계열 나노코인(레이블록) • 레밋 • 리플 • 모비우스 • 빔 • 스텔라루멘
플랫폼 코인 너보스 • 널스 • 네오 • 넥서스 • 넴(젬, 뉴이코노미무브먼트) • 다온 • 다프체인 • 드래곤체인 • 드렙 • 디지털비츠 • 디크레드 • 로커스체인 • 루니버스 • 루비디움 • 루크 • 리스크 • 리프토큰 • 립체인 • 맘모스 • 메타무이블록체인 • 메타코인 • 메트로놈 • 모아 • 모악체인 • 모파스 • 모피어스랩 • 미디움 • 베카즈 • 벨라스 • 보스아고라 • 보스코인 • 볼러 • 부머 • 브이시스템즈 • 비트체리 • 세이체인 • 셀러네트워크 • 솔라나 • 슈코인 • 스카이코인 • 스트라티스 • 스페이스메시 • 시그마체인 • 심버스 • 썬더코어(썬더토큰) • 아더코인 • 아르고 • 아이온 • 아이콘 • 아크 • 아크블록 • 알고랜드 • 알체인 • 애터니티 • 앤드어스체인 • 얍체인 • 에덴체인 • 에이오케이(AOK) • 에코체인 • 엔엑스티(NXT) • 엔케이엔 • 엘라스토스 • 엘론드 • 엘프 • 엠씨에스에스(MCSS) • 엠아이비코인 • 오디세이코인 • 오로라체인 • 오르빗체인 • 오바이트 • 오브스 • 오아시스블록 • 완체인 • 요코인 • 웨이브즈 • 웨이키체인 • 위고체인 • 위즈블 • 위피드 • 유니피케이션 • 이그드라시 • 이니그마 • 이디씨블록체인 • 이오스 • 이오스블랙 • 이오스크롬 • 이오스트(아이오에스티) • 인솔라 • 제나로네트워크 • 지엠비(GMB) • 카드스택 • 캐논체인 • 컬러코인 • 코드체인 • 코스모스코인 • 콘플럭스 • 쿼크체인 • 큐브체인 • 큐텀 • 큐어코인 • 크레딧츠 • 클레이튼 • 택사네트워크 • 테조스 • 텔로스 • 트루체인 • 티티씨 • 폴라리스 • 폴카닷 • 프로토콘 • 플래틴코인 • 플레타 • 피어코인 • 하모니 • 하이콘 • 하이퍼블록 • 하이퍼캐시(에이치셰어) • 해시그래프 • 홀로체인
유틸리티 토큰 28VC • 가트코인 • 골드블록 • 골프로체인 • 그랑엑스 • 기프토 • 기프트랜드 • 네뷸러스 • 네스트리 ​• 넷플러스 • 누비츠 • 뉴파워체인 • 다이아토큰 • 데이탐코인(에델코인) • 드래곤베인 • 디브이피 • 디스커버엑스 • 디씨씨 • 디알씨 모빌리티 • 디카르고 • 라운드엑스 • 럭키아이오 • 레디 • 레이온 • 레포코인 • 로또포엘 • 로보티나 • 로제우스 • 롬코인 • 리니지코드 • 리버마운트 • 리션 • 링플랫폼 • 마스크도지코인 • 마이스 • 마인드AI • 마일벌스 • 만타네트워크 • 메이커토큰 • 메인프레임토큰 • 메크로 • 메타노이아 • 메타디움 • 메타무이 • 메타비트코인 • 모조엑스 • 밀크 • 바나나톡 • 바르크 • 배니웨어 • 베리드 • 베리타시움 • 베이시스 • 벤코인 • 브론토노드 • 블랙웨일 • 블록틱스 • 블루웨일 • 비에이치피캐시(BHP캐시) • 비체인 • 비투어체인 • 비트리워드 • 비트씨이오 • 산타비전 • 센티넬 프로토콜 • 솔트코인 • 스마트켐 • 스테픈 • 스톰토큰 • 시린토큰 • 시빅코인 • 시얼 • 싱코토큰 • 씨로드토큰 • 씨비토큰 • 아그렐로 • 아다노스체인 • 아비코인 • 아이즈 프로토콜 • 아트초이스 • 아피스 • 애스톤 • 어셈블프로토콜 • 에너고 • 에이피이앤에프티 • 에프앤비 프로토콜 • 에바아이오 • 에스브이브이씨 • 에이코인 • 에이피엠코인 • 엑스와이오 네트워크 • 엑시얼 • 엔에프유피 • 엔픽블록 • 엘라마체인 • 엘리넷 • 엘리시아 • 엠투오 프로젝트 • 오리온볼트 • 오리진 • 와일더월드 • 위파워 • 유벡스 • 이그니스 • 이넥트 • 이머코인 • 이비코인 • 익스트림 • 인비토큰 • 인코디움 • 인피니투스 • 일렉트리파이 • 임브렉스 • 잉크프로토콜 • 잿고 • 저널코인 • 제나코인 • 주어 • 지퍼코인 • 직토큰 • 체리 • 체인코인 • 칠리즈 • 카바 • 칼리스토 • 컨셀 • 케이뷰티체인 • 코르텍스 • 코박토큰 • 코스미 • 콘센티움 • 크레딧코인 • 클링 • 킨코인 • 타미토큰 • 테크라코인 • 텔코인 • 토큰포스트코인 • 톤코인 • 트라도브 • 트러스트버스 • 트러스트서치(암호경찰) • 트웰브쉽스 • 파워렛저 • 파퓰러스 • 팍소스골드 • 팍소스스탠다드 • 팝켓코인 • 팩텀 • 팬텀코인 • 페이파이 • 페치에이아이 • 폴리곤 • 퓨처피아 • 프레시움 • 프롬카 • 플루토 • 피르마체인 • 피오에이트(PO8) • 피즈토큰 • 하이브 • 해시팟 • 해피버스데이코인
결제 코인 AWNEX • GP코인 •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그랑 • 글로브코인 • 글루와코인 • 넥스티플랫폼 • 노즈코인 • 다빈치코인 • 더블유플러스 • 델리오 • 디엠(리브라) • 디피이씨(DPEC) • 레드코인 • 루나 • 리퀘스트 네트워크 • 리퀴디티 네트워크 • 링카 • 메탈코인 • 모네로스 • 모네타프로 • 바이낸스 비너스 • 발카리 • 베리 • 베잔트 • 블루콘 • 사이버마일즈 • 세인트웨이토큰 • 센터코인 • 소다코인 • 쉽코인 • 스와이프 • 슬레저 • 시스코인 • 쎈 • 아몬 • 아스타 • 알트리 • 애슬론 • 에이비비씨 • 에잇페이 • 엑스바 • 엑스피체인 • 엠씨에이엠(MCAM) • 엠유에프지코인(MUFG코인) • 오미세고 • 와라코인 • 유비코인 • 일렉트로늄 • 쟁크 • 제이피엠코인(JPM코인) • 지오프로토콜 • 커피추얼 • 코인덕 • 코인커피 • 코티 • 쿠션코인 • 큐알비트코인 • 크립토닷컴(모나코) • 테라 • 텐엑스 • 템텀 • 토리움 • 통통코인 • 파즈코인 • 패션코인 • 펀디엑스 • 펑키페이 • 페이엑스 • 페이코인 • 퓨마페이 • 퓨즈엑스 • 프로톤체인 • 하메비토큰 • 해피코인 • 휴페이엑스 • 히든코인
프라이버시 코인 그린코인 • 대시 • 머큐리 • 모네로 • 믹신 • 바이트코인 • 버지 • 불웍 • 스마트캐시 • 스타크웨어 • 에이아이피피(AIPP) • 오리고 • 지캐시(제트캐시) • 지코인 • 지클래식(제트클래식) • 코모도 • 파티클코인 • 피벡스
자산관리 토큰 BAYC • 골드에스엑스 • 깨비 • 다이 • 더마이다스터치골드(TMTG) • 디앱코인 • 디직스다오 • 랜드박스 • 레이븐코인 • 리트(LIT) • 메타젤리스 • 메타콩즈 • 바이텀 • 선미야클럽 • 성난황소클럽 • 세미토큰 • 세이빙스코인 • 섹터오브랜드 • 신세틱스 • 씨씨에이 • 아이뱅크 • 아이하우스토큰 • 아즈키 • 에너지토큰 • 에스티피 • 에이브 • 이에프지토큰(EFG) • 젬마 • 지르코인 • 지에스디티(GSDT) • 컴파운드 • 코나코인 • 쿨캣츠 • 퀸비 • 크립토펑크 • 트레이드윈드 • 트로이 • 트릴리온 • 팁스코인 • 폴리매쓰 • 피이코인 • 피투피고 • 해시가드
게임 토큰 게임닷컴(GTC) • 게임엑스코인 • 게임트리 • 기프코인 • 닉스 • 더솔저스골드 • 디마켓 • 디센트럴랜드 • 디지바이트 • 라쿤 • 레이드 • 루데나 프로토콜 • 룸네트워크 • 메시코인 • 모스코인 • 미네랄토큰 • 믹스마블 • 브릴라이트 • 비스킷토큰 • 비전메타버스 • 스마트리워드토큰 • 스포츠플렉스 • 신드럼 • 실리카넥서스 • 아이텀게임즈 • 알토 • 엔진코인 • 엔파스 • 엠펀 • 오아시스게임 • 왁스 • 코코스BCX • 템비트(마그넷) • 펀페어 • 플레이어원 • 플레이엑스 • 히어로북토큰
콘텐츠 토큰 ANV • 동글 • 드림캐쳐토큰 • 디튜브 • 루도스 • 메카코인 • 메타비트 • 모스트코인 • 무비블록 • 무비코인 • 뮤지카 • 미라클토큰 • 미스릴 • 베라시티 • 보라토큰 • 블루바이칼 • 비엠피(BMP) • 사운드블록체인프로토콜 • 산타토익코인 • 소바코인 • 스노우닥 • 스노우메이커스 • 스캐넷체인 • 스타시아 • 스타체인 • 스테이지 • 스토리체인 • 스팀 • 스팽크체인 • 스페로 • 식스 • 심토큰 • 썸씽 • 쎄타토큰 • 쎄타퓨엘 • 씨펀 • 아라 • 아소비 • 아이엠어코인 • 아이템버스 • 아트링크 • 아하토큰 • 애니버스 • 애드볼 • 에듀해시 • 에드체인 • 에브리피디아 • 에이콘 • 에토스 • 엘비알와이크레딧(LBRY) • 엠피코인(MP코인) • 오뎀 • 오픈뉴스토큰 • 요요우 • 위쇼토큰 • 위싱코인 • 유네트워크 • 유니오 • 유비너 • 이더소셜 • 제너레이션 • 지팝 • 체인플릭스 • 캐스트윗 • 케이튠 • 케이팝코인 • 콘텐츠프로토콜토큰(CPT) • 콘텐토스 • 콘텐트박스 • 퀴즈톡 • 크레당액티브 • 크레당코인 • 크레당토큰 • 크레마뇽 • 클레버스 • 클레입스 • 타타투 • 톡큰 • 튜다 • 트론 • 팝체인 • 팬덤체인 • 팬덤코인 • 프리마스 • 픽션네트워크 • 하바
데이터 토큰 가나토큰 • 갭스 • 노시스 • 뉴머라이 • 다드 • 덴타코인 • 덴트 • 디클리닉 • 땀 • 레이팃 • 루시디티 • 리버스코인 • 리베인 • 리빈 • 리퍼리움 • 림포 • 마이크레딧체인 • 메디블록 • 메디우스 • 메타미 • 베이직어텐션토큰 • 보니콘 • 블루젤 • 비토큰 • 세이프인슈어 • 솔브케어 • 스크라이인포 •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 • 아모베오 • 아몬드 • 알파체인 • 알파콘 • 애너그램 • 애드엑스 • 애드토큰 • 어거 • 에어블록 • 에어체인 • 엔도르 • 엘리시움-지 • 엘픽스 • 오션 • 오션체인 • 온톨로지 • 왐토큰 • 요타체인 • 위블락 • 이디코인 • 인슈어리움 • 지에스이네트워크 • 지엑스체인 • 징크 • 체인링크 • 카디오코인 • 캐리프로토콜 • 코바 • 코스모체인 • 큐브코인 • 트리고 • 패브릭코인 • 필라코인 • 흄 • 힌트체인
사물인터넷 토큰 뉴클리어스비전 • 라임코인 • 러프체인 • 리베츠 • 린피니티 • 머신익스체인지코인 • 블록체인카 • 스마트블록체인시티 • 아모 • 아이오타 • 아이오티체인 • 에스디체인 • 에이치닥 • 엔티온 • 엠블 • 오아스체인 • 월튼체인 • 인터넷노드토큰 • 타락사
분산 클라우드 토큰 AI네트워크 • 골렘 • 디피니티 • 람다코인 • 메이드세이프코인 • 블록스택 • 비트토렌트토큰 • 서브스트라텀 • 소늠 • 스토리지코인 • 시아코인 • 앵커 • 에이콘 • 유토큰 • 지비티프로토콜(그래비티) • 코넌 • 타키온 프로토콜 • 파일캐시 • 파일코인 • 펑션엑스 • 프록시마엑스
거래소 코인 게이트체인 • 넥시 • 데이 • 덱스코인 • 디지털유에스디 • 레일 • 루프링 • 리퀴드코인(QASH) • 링크코인 • 바이낸스GBP • 바이낸스USD • 바이낸스코인 • 방코르토큰 • 밸러토큰 • 벤타스코인 • 비센트토큰 • 비트소닉코인 • 비트칸 • 비티씨비(BTCB) • 빅스 • 빗썸코인 • 씨엔에이치티(CNHT) • 에프티코인(FT코인) • 오비트 • 오케이비 • 원루트 네트워크 • 유에스디코인(USD코인) • 제로엑스 • 제미니달러 • 체인저토큰 • 카이버 네트워크 • 칼라스왑 • 캡 • 코니 • 코즈 • 쿠코인셰어(KCS) • 크립토넥스 • 테더 • 트루USD • 프로비트토큰 • 후오비USD • 후오비토큰
국가지역 경북코인 • 김포페이 • 노원화폐 • 서울코인 • 울산페이 • 페트로
논란 중인 코인 고믹스 • 곰토큰 • 마그나체인 • 블럭셀 • 비트커넥트 • 에스블록 • 원코인 • 이골드 • 이엑스투(EX2) • 젠서 • 코인업 • 크립토커브 • 파이트투페임 • 플러스토큰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인물, 기업, 단체, 행사,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