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저축은행 2금융권 - sinhanjeochug-eunhaeng 2geum-yung-gwon

신한저축은행 2금융권 - sinhanjeochug-eunhaeng 2geum-yung-gwon
2금융권 은행 종류

2금융권 은행 종류

제 2금융권 은행 종류 어떤것이 있을까? 금융기관에서 은행은 중앙은행, 시중은행이라 불리는 1금융권과 2금융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어떤이는 3금융권이라 부르지만 사금융으로 불리우는 대부업체가 있습니다.

물론 대부업체 입장에서는 사채, 등록되지 않은 대부업체와 같이 묶여지는게 불편할 수 있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보통 이렇게 부르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시중은행은 제도권 은행이라고 불리기도하며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량등급의 은행을 말하며 부실의 위험이 낮은 국민, 신한, 우리은행 등이 있는데, 2금융권에도 비슷한 이름의 은행이 있기 때문에 종종 혼동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어서 간혹 2금융을 사용하고 있으면서 본인은 1금융을 이용하고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여신·수신 상품을 이용할 때 이러한 구분을 명확하게 아는것이 소비자에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는데, 여신상품의 경우에는 KCB평가기관의 기준으로 2금융권 그리고 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경우 1금융권보다 신용점수 하락 비중이 높기 때문입니다.

구별 방법

병원 간판의 경우 특정 기준을 충족해야만 전문과목 의원을 앞에 사용할 수 있듯 금융사도 마찬가지로 2금융권은 1금융에서 사용하는 이름처럼 내세울 수 없습니다.

2금융권 종류는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없이 이것만 기억을 하면 되는데 저축은행, 캐피탈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2금융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들어서 신한 금융그룹안에 신한은행과 신한저축은행이 있으며 신한은행은 1금융, 신한저축은행은 2금융으로 취됩니다.

카드사 역시 2금융권에 속해있으며 카드사에서 현금서비스, 장기카드대출, 신용대출 등을 이용하더라도 2금융을 이용한 것으로 취급이 되며,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은 신용평가에 매우 부정적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사용하는것을 자제하는걸 추천드립니다.

아마 이 부분이 가장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인데 새마을금고, 신협, 농협 등 상호금융·협동조합은 어떠한 금융권에 속하느냐인데 농협의 경우에는 중앙회라는 단어가 들어간 곳에서 이용을 했다면 1금융으로 취급이되며 해당 단어가 없는 곳에서 이용을 했다면 2금융으로 취급이 됩니다.

상호금융·협동조합은 단순하게 생각해서 본점을 제외하고는 2금융에 속한다고 보면 이해하기 수월하며, 한가지 더 보험사도 2금융에 속합니다.

보험사에서 본인의 해지환급금을 담보로하여 돈을 빌리는것이 아닌 보험사 신용·담보 대출로 돈을 빌리는 경우 마찬가지로 2금융 이용으로 취급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장점

이러한 종류의 은행에서 이용을 하는것은 과연 나쁘기만 할까? 소비자가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서 평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1금융권 수신상품과 마찬가지로 저축은행 예적금 상품도 예금자보호 적용 대상에 포함되며, 상호금융·협동조합 역시 예금자보험공사에서 보호는 받지 않지만 각 중앙회에서 보호를 하고있습니다.

특히나 수신상품과 관련해서는 시중은행에서 취급하는 상품보다 금리가 비교적 높다라는 장점이 있으며, 여신상품 이용시 1금융권보다 완화된 자격 조건, 부채비율 비교적 여유롭게 하여 높은 한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표 서민금융상품인 햇살론 이용이 가능한 금융업권이며, 햇살론에 대한 추가 정보를 원하신다면 아래 관련글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관련글: 햇살론 취급은행 과 자격조건 지금 확인해보세요

단점

단점이라면 당연히 안정성입니다. 물론 이러한 단점 역시 예금보호한도를 생각해서 소비자가 수신상품을 가입한다면 어느정도 상쇄가 될 수 있지만 대출같은 여신상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신용평가에서 하락 폭이 비교적 크고, 완화된 기준으로 이용이 가능할지라도 금리 등 부분에서 불리한 조건으로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물론 그렇게라도 자금이 필요한 사람이라면 도움이 된다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개인마다 처해진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좋다 나쁘다라고 섣부르게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신용평가와 관련해서 KCB의 경우에는 1금융권 보다 2금융권의 하락 폭이 크며, 그중에서도 저축은행 이용건 하락폭이 더 크다는것을 평가 기준표를 통해서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이 나쁘다는것은 아니며 이러한 사실을 소비자가 알아야하는게 중요하며, 반대로 저축은행에서 본인이 필요한 한도만큼 1건에 이용이 가능한데, 단순히 신용점수 하락 폭이 크다는 이유로 2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는 경우 차라리 저축은행을 이용하는게 현명할 수 있습니다.

결론

제 2금융권 은행 종류 그리고 혼동이 올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장점과 단점을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금융이라는 자체가 이용자가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따라서 최선의 방법인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단정짓기에는 매우 어려우며,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는 금융사, 상품 등 에 따라서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많은 소비자가 익숙한 시중은행에 더불어 캐피탈, 카드사, 증권사, 심지어 보험회사 등 많은 금융 기관이 대출, 예금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합니다. 각 금융 기관은 1금융권, 2금융권, 그리고 3금융권으로 분류 가능하며 각 금융권 마다의 특징 및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융 상품 사용 전 차이를 인지하는 것이 좋은 재무의사결정을 좌우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밸류챔피언에서 본인의 경제적 상황에 적합한 금융권을 확인해 보세요.

1금융권

1금융권에는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 더불어 시중은행, 특수은행, 그리고 지방은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1금융권의 은행들은 정부적 차원에서 예금자 보호 제도를 통하여 최대 5천만원까지 원금을 보호해주기 때문에 가장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입니다. 따라서 예금 및 적금 시에는 이러한 보호 제도로 인하여 수익성이 낮은 반면 대출의 경우 가장 낮은 이율로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우수한 신용등급을 보유한 소비자에게만 제공 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소비자들은 1금융권 대출 사용이 제한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금융권 은행은 전국적으로 지점이 많아 사용이 용이하면 개개인의 신용등급에 가장 적은 악영향을 미칩니다.

1금융권 은행 정보

은행지점수총자산 현황
KB국민 1,128 365조 2510억원
KEB하나 863 348조 9036억원
신한 872 341조 9023억원
우리 894 331조 8889억원
NH농협 1,160 299조 3546억원
IBK기업 616 298조 512억원
KDB산업 77 253조 7466억원
한국씨티 133 73조 6261억원
SC제일 254 63조 7321억원
BNK부산 265 59조 683억원
DGB대구 259 57조 657억원
BNK경남 167 44조 2979억원
Sh수협 123 34조 4265억원
광주 140 27조 1215억원
전북 101 16조 9615억원
제주 37 5조 6797억원

2금융권

2금융권은 증권사, 종합금융회사, 보험회사, 카드사, 캐피탈사,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 다양한 비은행금융기관을 일컷습니다. 이는 산업은행 등의 개발기관, 금융회사 등의 투자기관, 저축은행 등의 저축기관, 그리고 생명보험회사 등의 보험기관으로 세분화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금융권보다 이율이 높아 저축에는 유리하지만 이로 인하여 대출은 덜 합리적입니다. 유사히 높은 이율에 비해 예금 및 적금에 법적 보호 적용이 되지 않아 영업 정지라는 최악의 경우 원금을 모두 잃을 수도 있습니다. 더 나아가 일부 2금융권 대출 발급의 경우 1금융권보다 신용등급 하락의 폭이 더 클 수 있습니다.

2금융권 금융회사

  • 증권사
  • 종합금융회사
  • 보험회사
  • 카드사
  • 캐피탈
  • 저축은행

3금융권

3금융권 혹 사(私)금융권은 합법적인 대부업체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2002년부터 정부 차원으로 합법화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20%에서 법정 최고 금리인 24%의 금리로 대출을 제공합니다. 주요 기업들은 러시앤캐시, 산와머니, 리드코프 등이 있으며 주 사업 모델은 1금융권에서 낮은 금리로 받은 대출로 고금리 대출을 제공하여 금리 차익을 취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3금융권 대부업체에서 대출을 받는 경우 장기적으로 1금융권 대출 이용이 불가능 할 수도 있으며 금리도 매우 높습니다.

불법사채

불법사채는 대부업에 미등록되어 있는 업체들로 24%인 법정 최고 금리를 현저히 초월하는 금리에 더불어 선이자 등 비합리적인 수수료를 추가 적용합니다. 더 나아가 이자 적용 주기도 1,2,3금융권에 비해 짧을 수도 있기 때문에 복리의 특성상 상환금액이 가차 없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불법사채의 경우 법적 보호가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큰 불행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온라인 P2P금융

P2P금융은 신금융기술로 기존 금융권 체제에 속하지는 않지만 1금융권에서 대출이 불가능 상당수의 소비자에게 우수한 대안이 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3금융권 대출 활용 시에는 신용등급이 크게 하락할 수 있으며 불법사채 활용 시에는 감당 불가능한 수준의 고금리가 적용되기 때문에 신용등급 하락의 폭이 적으며 금리도 가장 합리적인 수준의 P2P 대출이 더욱 부각됩니다. 따라서 1금융권에서 대출 거절 시에는 P2P 대출 가능 여부를 확인 하는 것이 현명한 재무의사결정입니다.

마치며

보시다시피 각 금융권에는 뚜렷한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1금융권에 속한 은행들의 금융 상품을 활용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특히 대출의 경우 금융권에 따라 연 이율이 20% 이상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이자 금액 절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1금융권 상품 이용은 신용등급이 우수한 소비자에게만 제공되기 때문에 신용등급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노경석 (Mike Rho) 애널리스트는 신용카드, 대출, 그리고 투자 분석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밸류챔피언에서 근무를 시작하기 전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USC에서 국제관계 및 스페인어를 전공하였습니다.

저축은행은 몇 금융권?

경제학에서는 1금융권을 통화기관이라고 칭하는 데 비해 2금융권은 비통화금융기관이라 칭한다. 우체국예금보험[1], 증권사, 종합금융회사, 보험회사, 카드사, 캐피탈, 지역농협, 지역수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2], 신협, 상호저축은행 등이 제2금융권에 해당한다.

신한은행 몇금융?

1금융권하면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농협은 몇금융?

참고로 NH농협은행은 제1금융권이구요 지역 농협은 보험이나 증권사 저축은행처럼 제2금융권입니다.

SBI저축은행은 몇금융?

제2금융권: 앞서 언급한 증권 및 보험회사, 신용카드회사, 상호금융회사, 캐피탈, 저축은행 등 제1금융권에 속한 일반 은행을 제외한 금융기관을 포함합니다. SBI저축은행도 바로 제2금융권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