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유행 안 타는 맛"…'손이 가요 손이 가' CM송 히트에 '깡' 열풍까지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국내 최초 스낵 제품인 농심 '새우깡'이 올해로 출시 50년을 맞았다.

새우깡은 고소하고 짭짤한 맛을 앞세워 반세기 동안 82억봉 넘게 팔리는 대기록을 썼다.

◇ 제품 개발에 4.5t 트럭 80대분 밀가루 사용…고 신춘호 회장 작품

16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1971년 국내 첫 스낵 제품 개발에 나서면서 주재료를 새우로 결정했다.

김기복 농심 스낵마케팅팀장은 "백지상태에서 개발을 시작하다 보니 연구원들이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며 "제품 개발을 위해 4.5t 트럭 80여대 분에 달하는, 당시로서는 엄청난 양의 밀가루를 쏟아부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밀가루가 많이 들어간 이유는 시제품 제작 과정에서 튀김 온도가 적절치 않아 태우는 일이 수도 없이 반복했기 때문이다. 먹기에 가장 적당한 강도를 찾아내기 위한 실험도 계속됐다.

새우깡이라는 제품명은 지난 3월 세상을 떠난 신춘호 농심 회장의 작품이다. 당시 그의 어린 딸이 민요 '아리랑'을 '아리깡 아리깡 아라리요'라고 부른 데에서 '∼깡'이라는 독특한 제품명을 떠올렸다.

1971년 12월 탄생한 새우깡은 출시와 동시에 큰 인기를 누렸다.

당시 서울 대방동 공장 앞은 새우깡 물량을 받아 가기 위해 지방에서 올라온 트럭으로 장사진을 이뤘다. 지방영업소는 선금을 들고 찾아오는 도소매점 업주들로 북적였다고 한다.

김 팀장은 "새우깡의 인기 비결은 남녀노소 질리지 않고 유행도 타지 않는 '고소하고 짭짤한 맛'"이라며 "실제로 새우깡 한 봉지에는 5∼7㎝ 크기의 생새우 4∼5마리가 들어간다"고 말했다.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 '손이 가요 손이 가'에서 '깡' 열풍까지…마케팅도 한몫

새우깡 인기에는 마케팅의 성공도 한몫을 했다.

특히 1991년 처음 선보인 '손이 가요 손이 가'로 시작하는 TV 광고는 소비자의 뇌리에 강렬하게 각인돼 30년이 지나도록 회자됐다.

이 광고음악을 만든 가수 윤형주는 "새우깡의 재료나 맛 등을 자세히 설명하기보다는 한 번 맛보면 계속 먹게 되는 제품의 속성을 편안한 멜로디와 단순한 가사로 소비자에게 확인시켜 줘 친근함을 강조한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새우깡은 지난해에는 전국을 강타한 '깡' 마케팅으로도 재미를 봤다.

가수 비의 '깡' 노래가 발매 수년 뒤 뒤늦게 온라인 공간에서 큰 인기를 끌자 농심은 그를 광고 모델로 채택했는데, 이 광고는 40여 일 만에 유튜브 조회 수 270만 건을 기록하기도 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복 70년/한국의 장수 브랜드 10]<6>농심 ‘새우깡’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1971년 출시 이후 지금까지 맛과 포장 등의 제품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는 새우깡. 왼쪽은 출시 당시 모습, 오른쪽은 현재 판매되는 제품. 농심 제공

‘손이 가요, 손이 가∼.’

국민 대부분이 알고 있는 이 광고음악의 주인공. 바로 농심이 1971년 만든 ‘새우깡’이다. 새우깡은 44년 전 국내의 첫 스낵 과자로 출시된 이후 지금까지도 꾸준히 ‘1위 스낵’ 자리를 지키는 장수 브랜드다.

새우깡의 장수 비결로 손꼽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인상적인 이름이다. 재료인 ‘새우’와 과자를 씹을 때 나는 소리를 형상화한 듯한 ‘깡’의 결합은, 소비자들에게 친숙하면서도 고소한 느낌을 동시에 전해 준다.

농심에 따르면 제품 이름은 신춘호 농심 회장(83)이 출시 전에 직접 작명했다. 신 회장은 새우깡을 출시하면서 여러 이름을 동시에 검토했다. 후보군에는 ‘새우스낵’ ‘새우튀밥’ ‘새우뻥’ ‘서해새우’ 등이 있었다. 하지만 마음에 드는 제품명이 없어 고심하던 신 회장은 집에 돌아가 3남 2녀 중 막내딸이 부르는 ‘아리깡∼ 아리깡∼’ 노래를 듣고 “이거다” 하고 무릎을 쳤다. 어린아이가 ‘아리랑’을 잘못 불렀던 것이 44년을 이은 장수 브랜드의 첫걸음이 된 셈이다. 그 막내딸은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52)의 부인 신윤경 씨(47)다.

새우깡의 또 다른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손이 가요’ 광고음악은 1988년부터 방송했다. 방송인 윤형주 씨(68)가 작곡한 이 노래는 27년이 지난 지금도 새우깡 광고에 사용하고 있다.

포장은 제품 정체성(브랜드 아이덴티티·BI)을 지킬 수 있도록 변화를 최소화했다. 출시 이후 바뀐 것은 내용물이 보이는 투명한 포장이 1980년대 후반 짙은 빨간색으로 바뀐 것 정도다. 세로로 쓴 ‘새우깡’이라는 한글 표기와 큼지막한 붉은 새우 그림은 여전히 제품 디자인에 반영돼 있다.

너무나 친숙한 맛이라 제품 개발이 쉬웠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농심은 새우깡을 개발하기 위해 4.5t 트럭 80대 분량의 밀가루를 소비했다. 고소한 새우 소금구이 맛을 살리기 위해 기름 대신 가열한 소금의 열로 과자를 튀기는 일명 ‘파칭’ 공법을 처음 개발하기도 했다.

출시 이후 지금까지 팔린 새우깡은 76억 봉지가 넘는다. 국민 1인당 152봉지를 소비한 셈이다. 최근 허니버터칩 등 달콤한 과자류 판매가 늘고 있지만 새우깡은 올해 상반기(1∼6월)에도 여전히 스낵 제품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안승호 숭실대 경영대학원장은 “한국에서 새우깡은 여러 세대가 나란히 둘러앉아 먹을 수 있는 대표적인 과자류”라며 “사람들에게 다가서는 친숙한 이름과 광고음악, 제품의 맛 등이 종합적으로 결합된 결과”라고 말했다.

박재명 기자

손이 가요~ 손이 가~ 농심 '새우깡'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국민과자 새우깡. 새우깡 누리집 캡처) 

[이모작뉴스 김남기 기자] 러브마크 브랜드 스토리는 역사가 깊고 소비자로부터 사랑받는 브랜드를 재밌는 에피소드와 함께 소개한다. 러브마크 브랜드 세 번째는 손이 가요~ 손이 가~ ‘농심 새우깡’편이다.

‘소비자 심리지수’는 생활형편이나 물가상황들을 알아보는 지수이다. 이 지수에 영향을 끼치는 제품들이 있다. 과자시장에 부동의 1위 제품인 농심 새우깡이 “800원에서 1000원으로 올랐다“면 소비자들 반응은 어떨까?” 왜 이렇게 물가가 올랐어“하고 대답할 것이다. 이렇게 새우깡은 소비자 심리지수에 영향을 끼칠 만큼 대단한 제품이다.

새우깡 브랜드명의 비밀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새우깡 포장지의 변천사. 사진=농심 제공)

1971년 런칭된 새우깡은 롯데 회장의 딸이 아리랑을 "아리깡 아리깡 아리리요∼"라고 불렀고, 새우깡의 이름을 고민하던 차에 새우를 넣은 과자 ‘새우’에 ‘~깡’을 넣어 새우깡이라고 정했다고 한다.

농심 새우깡이 롯데 회장 딸이 이름을 지었다니 이상할 것이다. 원래 농심은 신격호회장의 롯데그룹 안에서 동생이 경영하던 ‘롯데산업’으로 출발했고, 후에 롯데그룹에서 독립해서 지금의 농심을 만들게 됐다.

새우깡이 히트한 이후로도 농심의 스낵제품에 ‘깡’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감자깡’, ‘고구마깡’, ‘양파깡’ 등의 제품을 출시했고, ‘~깡` 하면 대다수의 국민들이 농심스낵을 연상하게 됐다.

‘새우깡’ CM송계의 국가대표 추억소환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1998년 새우깡 광고모델 SES) 

새우깡하면 생각나는 것은 70, 80년대 대학교 잔디밭이나, MT 가서 소주 안주로 즐겨먹던 과자이다. 그리고 그 유명한 새우깡 CM송이 생각이 날 것이다.

손이 가요 손이 가~ 새우깡에 손이 가요~
아이 손, 어른 손, 자꾸만 손이 가~
언제든지 새우깡, 어디서나 맛있게~
누구든지 즐겨요~ 농심 새우깡!

이 CM송은 1991년에 제작됐는데, CM송계의 레전드 가수 윤형주가 불렀고, 가사는 카피라이터 이만재가 만들었다. 2013년에 고려대학교 초대가수로 간 윤형주가 자신의 노래를 학생들이 따라 부르지 못하자 ‘롯데껌’, ‘롯데월드’ 등 자신이 작곡한 CM송을 불러주자 그제야 환호했다고 한다. 그리고 피날레로 새우깡노래를 부르자 마치 아이돌 공연을 보듯 학생들이 떼창을 했다. 그렇게 새우깡은 국민 CM송을 만들어 냈다.

가수 비의 노래 ‘깡’이 새우깡을 만나다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비의 깡노래에 힘입어 새우깡 광고모델되다)

2020년 유튜브를 통해 비의 노래 ‘깡’이 유명해졌다. 관련 페러디물도 많았고, 팬들은 비가 새우깡 광고를 찍어야 한다는 댓글을 달기 시작했다. 그래서 실제 비가 새우깡의 모델이 됐다. 비와 새우깡의 역사적인 만남이 이루어졌던 것이다. 비는 새우깡 CM송에 깡 노래를 리믹스해서 불렀고, “1일 3깡해야 된다. 아침 먹고 깡, 점심 먹고 깡, 저녁 먹고 깡”하고 외쳤다.

군산 꽃새우가 미국산 새우로 바뀌다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새우깡 성분 표시, 새우가 미국산80% 국산20%이다)

새우깡은 군산 꽃새우를 원료로 사용했지만, 품질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48년 만에 수입산 새우를 사용하려고 했다. 실상은 수입산에 비해 국산 새우가 좀 비쌌다.

다행히 지역주민, 국회까지 나서서 품질 유지를 조건으로 농심은 군산 꽃새우를 계속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지금은 미국산 새우 90%와 국산 새우10%로 섞어서 새우깡을 만들고 있다.

‘새우깡’에 얽힌 풍문들

#1 인천에서 배를 타고, 새우깡을 손에 들고 있으면, 갈매기들이 몰려들어 새우깡만 쏙 배먹고 날아갔다. 두시탈출 컬투쇼에서 이와 관련한 에피소드로 “갈매기들이 새우깡을 받아먹고는 계속 바닷물에 입수했다, 나왔다를 반복했는데 먹이로 준 매운새우깡을 먹고 이상행동을 했다”고 한다. 사실 조류는 매운맛을 못 느낀다. 유튜브 ‘엑셀TV’ 채널에서는 앵무새가 영양식으로 청양고추를 먹는다.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앵무새청양고추 엑셀 TV 캡처)

#2 새우깡에 얽힌 여러 에피소드 중에 가수 god는 가난했던 시절에 새우깡을 물에 넣고 끓여서 죽처럼 만들어서 먹었다는 전설도 있다.

#3 새우깡에 라이터로 불을 붙이면, 꼭 촛불처럼 잘 타오른다. 새우깡은 기름 덩어리라는 오명을 갖기도 했는데, 요즘엔 튀기지 않고 구워 만든 스낵이라고 겉 봉지에 써 놓았다.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새우깡 봉지에 "튀기지 않고 구원만든 스낵" 표기, 기자가 실험해 본 결과 촛불처럼 잘 탄다)

#4 어떤 소비자가 2008년 노래방에서 판매하는 일명 노래방 새우깡 속에서 쥐의 머리부분으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 이 사태 이후 생쥐깡, 쥐머리깡이라는 별명과 함께 새우깡으로 인기가 추락하기도 했다.

#5 2010년에는 쌀벌레가 나왔다. 농심에서는 제품 공정상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며, 새우깡 한 봉지를 교환해 주겠다고 하는 바람에 구설수에 올랐다.

#6 새우깡+라면=새우탕면. 라면에 새우깡을 넣어서 먹으면 새우탕면 맛이 다고 한다. 가격대비 성능은 그리 권장할 정도는 아니다. 그냥 새우탕면이 가격이나 맛에서 더 좋을 듯하다. 

손 이 가요 손 이 가 - son i gayo son i ga
(라면에 새우깡을 넣은 유튜버. 돌콩이TV 캡처)

농심 새우깡은 과자계의 국가대표답게 여러 에피소드와 구설수가 공존한다. 국민과자 새우깡의 변치 않는 맛과 품질을 기대해 본다. 물론 가격도 유지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이모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