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 높이 백스핀 - ti nop-i baegseupin

드라이버는 클럽헤드가 스윙의 최저점을 막 지나쳐 목표 방향을 향해 오르막을 타면서 어퍼 블로(upper blow)로 볼을 때리게 된다.

그러면 볼의 진행방향으로 스핀이 걸리게 되어 비거리는 물론 페어웨이에 떨어진 뒤 런(run.구르기)도 커지게 되어 전체 비거리는 많이 늘어나게 된다.

그림A에서와 같이 클럽헤드가 볼을 때릴 때 볼에 걸리는 스핀의 방향을 확인해보면 된다.

볼의 진행방향으로 정회전이 걸리게 되면서 비거리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문제는 그림B와 같은 상황이 아마추어 골퍼에게는 아주 많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티가 높아 클럽헤드의 윗면이 볼을 때리면서 찍어치게 되거나, 티를 낮게 꽂고 다운 블로 (down blow)로 찍어 치게 되는 스윙으로 인해 임팩트 타이밍을 잘못 맞추게 되어  볼은 뜨게 되고  백스핀으로 인해 역회전이 걸리면서 비거리의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것을 꼭 잊지 말자.

클럽헤드가 다운스윙의 최저점을 지난 직후에 임팩트가 되는 어퍼 블로가 아니라, 최저점에 이르기 직전에 다운 블로로 임팩트가 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볼이 높게 뜨면서 비거리를 잃고 방향성도 칠 때마다 들쭉날쭉해지게 된다.

그리고 백스핀까지 걸리면서 미스샷(?)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런 스윙은 스윙이 낮고 긴 궤도를 그리지않고 가파르고 급하게 이루어질 때 많이 만들어지며, 또는 볼을 놓는 위치가 왼쪽발 안쪽선보다 더 오른쪽으로 놓였을 때 만들어지게 된다.

그림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백스핀이 걸려서 볼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것을 볼 수 있다.

제가 스크린레슨을 하면서 샷의 결과수치를 설명할 때 드라이버 샷의 백스핀량은 적을수록 좋고, 아이언샷의 백스핀량은 많을 수록 좋다고 말하는 이유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그림C는 아이언 샷의 원리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런 다운 블로 샷으로 드라이버 샷을 하게 되면 그림B와 그림C의 볼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스핀이 걸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아이언 티샷은 클럽헤드가 볼의 아랫부분을 먼저 때린 후 스윙의 최저점에 이르면서 지면을 스쳐가기 때문에, 티를 낮게 꽂거나 티없이 티샷을 하면 된다.

참고로 요즘처럼 바람이 불 때의 티높이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맞바람이 불 때는 티를 약간 낮춰 볼이 낮게 깔려 날아 가도록 하는 것이 좋고, 뒷바람이 불 때는 평소보다 조금 높게 꽂는 것도 좋은데 당연히 볼도 높게 뜨기 때문에 뒷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가게  될 것이다.

(Jtbc golf - 박지은의 골프야 놀자에서 인용함)

스윙연습만이 살길이다!

#골프초보자레슨 #부천스카이골프클럽
#부천실내골프연습장 #부천스크린골프
#골프스윙배워보기 #골프스윙분석    
#드라이버샷 #티높이와 비거리

골프

티 샷과 골프볼 높이의 상관관계

티 높이에 따라 볼이 출발하는 각도, 스핀양이 달라지며 비거리에 영향을 미친다

  • 기자명 남지훈 기자
  • 입력 2022.03.04 09:22

18홀 코스에서 매홀 첫 번째 샷은 티에 골프볼을 올리고 한다. 골퍼는 코스 길이와 모양에 따라 드라이버, 페어웨이 우드, 하이브리드, 아이언을 사용한다. 이때 골프볼을 어느 정도 높이로 티에 올리는지가 중요하다.

티 높이 백스핀 - ti nop-i baegseupin

골프볼은 날아간다. 골프볼 회사들은 이를 ‘비행’이라고 표현한다. 그리고 ‘최적의 비행=최대 비거리’로 설명한다. 최대 비거리를 위해서는 이상적인 비행 조건의 조합이 필요하다. 비행 조건은 볼을 치는 클럽의 속도(헤드 스피드), 볼이 날아가는 속도(볼 스피드), 볼에 걸린 회전(백스핀과 사 이드스핀), 볼이 출발하는 각도(론치 앵글), 볼이 날아가는 궤도(탄도), 볼이 하강하는 각 도(랜딩 앵글), 굴러가는 거리(런) 등이다. 각각의 조건이 더 함과 덜 함 없이 서로 충족할 때 볼은 최대한 멀리 날아간다.
헤드 스피드, 볼 스피드, 스핀, 론치 앵글, 탄도, 랜딩 앵글, 런까지 골프볼의 비행에는 다 양한 조건이 있다. 골퍼는 노력을 통해 최상의 조건을 갖출 수 있다. 하지만 골퍼마다 신 체 능력치가 다르고 골프에만 집중할 수 없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가장 중요한 헤드 스피드가 특히 그렇다. 속도 10마일을 높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다. 페이스 중심에 볼을 맞혀 볼 스피드를 높이는 것도 마찬가지다. 수많은 샷 연습을 통 해 향상할 수 있지만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골퍼는 최대 비거리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그것도 간단하게. 최근 미국 유명 교습가들이 골프볼을 최대한 멀리 치는 방법으로 ‘티 높이’를 언급해 주목받고 있 다. 적정한 티 높이를 설정하면 볼을 페이스 중심에 맞힐 확률이 높아지고, 스핀, 론치 앵 글, 탄도, 랜딩 앵글, 런까지 최적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티 샷에서 볼의 높이는 비거리에 영향을 미친다. 페이스 타점과 볼이 출발하는 각도, 스 핀양이 티의 높이와 상관이 있다. 그리고 비거리를 결정한다. 미국 골프교습가들은 드라 이버 샷 때 이상적인 티 높이를 1.5인치(3.81cm)라고 소개한다. “이보다 높으면 볼이 높이 떠올라서 멀리 날아가는 추진력이 약해지고, 낮으면 적정 높 이까지 떠오르지 못하고 빨리 땅에 떨어진다”라고 했다. 그런데 1.5인치는 드라이버 기준이며 일반적인 헤드 모양일 때 티 높이다. 위아래가 높 은 딥 페이스 드라이버와 옆으로 넓은 샬로 페이스 드라이버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 다. 또 헤드가 작은 페어웨이 우드와 하이브리드, 아이언도 적정한 높이가 따로 있다.
골프교습가들은 티를 1.5인치 꽂았을 때 골프볼 위치를 살피라고 조언했다. 그리고 골프 볼 아래쪽이 크라운과 평행하게 놓이게 하라고 했다. 예전에는 골프볼 반이 크라운 위로 올라오도록 하라고 했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는 게 교습가들의 설명이다. 스핀양이 줄어든 최신 드라이버는 최적의 탄도를 위해 론치앵글이 13도로 높아야 한다. 티에 볼을 낮게 올리면 적정 탄도를 위한 론치앵글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조금 더 높게 꽂으라는 조언이다. 특히 상향 타격을 통해 볼을 최대한 멀리 날리는 힘도 커진 다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페어웨이 우드와 하이브리드는 완만한 궤도로 쓸어서 친다. 다운블로 샷으로 찍어 치면 헤드가 지면에 걸리며 볼을 쳐내는 힘이 줄어든다. 또 스핀양이 늘어나며 볼이 높이 뜨 는 문제가 있다. 비거리 손실이 발생한다는 뜻이다. 기준은 티 높이 0.5인치다. 티를 꽂고 볼이 어느 정도 높이인지 살핀다. 3번 우드는 크라 운 위로 볼 1/2 또는 1/3이 올라오도록 한다. 5번 이하 페어웨이 우드와 하이브리드는 1/3 또는 1/4 높이가 적당하다.
아이언과 웨지는 다운블로 샷을 한다. 헤드가 하향 타격으로 볼을 치고 계속 아래를 향 한다. 그래야 볼에 적정한 스핀이 걸려 그린에 멈추는 제어력이 커진다. 페어웨이에서 다운블로 샷을 하면 헤드가 땅에 박힌다. 우드와 하이브리드보다는 덜하 지만 볼을 쳐내는 추진력이 감소한다. 티 샷을 한다면 지면 걸림에 의한 헤드의 감속이 덜하다. 또 잔디나 흙 등 이물질이 끼지 않아 볼을 깔끔하게 칠 수 있다. 그래서 티에 볼 을 올리고 플레이하는 게 좋다. 티 샷을 한다면 볼의 높이는 최대한 낮추는 게 좋다. 티를 깊게 꽂아서 머리 부분만 나오 도록 하고 볼을 올린다. 볼은 지면 가까이 조금 떠 있는 상태가 된다. 볼이 너무 높으면 페이스 윗부분으로 타격하며 비거리가 줄어든다. 스핀양도 줄어든다.

남지훈 기자
저작권자 © 골프앤갤러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티 높이 백스핀 - ti nop-i baegseupin

골프공은 날아간다. 골프공 회사들은 이를 ‘비행’이라고 표현한다. 그리고 ‘최적의 비행=최대 비거리’로 설명한다.

최대 비거리를 위해서는 이상적인 비행 조건의 조합이 필요하다. 비행 조건은 공을 치는 클럽의 속도(헤드 스피드), 공이 날아가는 속도(볼 스피드), 공에 걸린 회전(백스핀과 사이드스핀), 공이 출발하는 각도(론치 앵글), 공이 날아가는 궤도(탄도), 공이 하강하는 각도(랜딩 앵글), 굴러가는 거리(런) 등이다. 각각의 조건이 더 함과 덜 함 없이 서로 충족할 때 공은 최대한 멀리 날아간다.

티 높이 백스핀 - ti nop-i baegseupin

비행의 7대 조건
헤드 스피드, 볼 스피드, 스핀, 론치 앵글, 탄도, 랜딩 앵글, 런까지 골프공의 비행에는 다양한 조건이 있다. 골퍼는 노력을 통해 최상의 조건을 갖출 수 있다. 하지만 골퍼마다 신체 능력치가 다르고 골프에만 집중할 수 없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가장 중요한 헤드 스피드가 특히 그렇다. 속도 10마일을 높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페이스 중심에 공을 맞혀 볼 스피드를 높이는 것도 마찬가지다. 수많은 샷 연습을 통해 향상 할 수 있지만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티 높이 백스핀 - ti nop-i baegseupin

골퍼가 선택할 수 있는 것
그렇다면 골퍼는 최대 비거리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그것도 간단하게. 최근 미국 100대 교습가들이 골프공을 최대한 멀리 치는 방법으로 ‘티 높이’를 언급해 주목받고 있다. 적정한 티 높이를 설정하면 공을 페이스 중심에 맞힐 확률이 높아지고, 스핀, 론치 앵글, 탄도, 랜딩 앵글, 런까지 최적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100대 교습가들이 밝힌 이상적인 티 높이는 3.81cm(1.5인치)다. 더 높으면 공이 높이 떠오르며 멀리 날아가는 추진력이 약해진다. 더 낮으면 적정 높이까지 떠오르지 못하고 빨리 땅에 떨어진다. 골퍼의 스윙 스타일이 달라서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인 범주 내에서는 이상적인 티 높이라고 입을 모았다.

3.81cm의 높이를 가늠할 수 없다면 골프공을 참고하면 된다. 골프공 지름이 4.267cm다. 골프공보다 0.5cm 정도 낮게 티를 꽂고 공을 얹는다. 3번 우드와 아이언 티샷 때는 높이를 1/4로 줄인다. 0.95cm(0.375인치)다.

류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