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물이 되어 문제 - uliga mul-i doeeo munje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
우르르 우르르 비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 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아아, 아직 처녀인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로 만나려 한다.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만 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저 불 지난 뒤에
흐르는 물로 만나자.
푸시시 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율격 : 내재율
* 성격 : 의지적. 상징적
* 표현 : '물이 되어 만난다면'이라는 가정법 문장식으로 만남에 대한 소망을 물과 불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형상화하였는데, 일반적으로 물은 화합, 생성, 정화을 나타내며, 불은 갈등, 투쟁, 소멸 등을 상징함
* 특징 : 이별의 고통을 뛰어 넘어, 만나고 싶은 열망, 만남에 대한 기대를 적극적, 능동적 자세로 노래하였으며, 물과 불의 이미지로 만남을 노래한 것이 특징이다.
* 구성 :
       1-2연 물이 되어 만나고 싶은 심정
       3연 물과 불의 대비
       4-5연 불이 지난 뒤의 만남
* 제재 : 물의 흐름과 만남
* 주제 : 순수한 마음으로 만나는 삶. 원시적 생명력과의 만남에 대한 희구

<황소 강의>
  이 시는 '나'와 '너'를 '우리'로 合一 시킬 수 있는 매체인 물의 현상에 비겨 노래했다. 물이 흘러 강물이 되면 결국 바다로 향한다는 자연의 섭리를 바탕으로 생명력의 합일에 대한 희구를 '물'과 '불'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형상화한 작품이다. 이 시에서 '물'은 '나'와 '그대'라는 고립된 개체들을 '우리'로 합일시킬 수 있는 매개체이자, '가뭄'으로 표상된 삶의 고독을 해소시킬 수 있는 객관적 상관물이다. 또한, '물'은 '죽은 나무 뿌리를 적시'는 생명의 기원인 동시에, 다른 것들과 섞여 '아직 처녀인 / 부끄러운 바다'로 흘러감으로써 삶의 다른 세계를 맛보게 하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그러나 시인은 '물'로 상징되는 조화로운 합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세상의 온갖 더러운 것들을 깨끗이 태워 버릴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기에, 3연에서 '불'로 만나야 한다는 당위성을 역설하는 것이다. 여기서 '불'은 삶의 기본 원리가 되는 '물'의 이미지와 대비되는 것으로, 현실 세계의 부조리와 모순에 맞서는 대결의 정신을 의미한다. 그 때,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음을 발견한 시인은, 이 불이 지나가고 난 후, 모든 사람들이 '만리 밖'의 '넓고 깨끗한 하늘'에서 마침내 '흐르는 물'로 만날 것을 확신하게 되는 것이다. 시인이 지향하는 '넓고 깨끗한 하늘'이란 바로 완전한 합일과 충만한 생명을 맛볼 수 있는 곳으로 새로운 창조적 만남의 공간을 상징한다.

<작가 소개> - 아래의 성명을 누르세요.

    강은교

<참고 사항>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해석 / 해설

우리가 물이 되어 문제 - uliga mul-i doeeo munje
우리가 물이 되어 문제 - uliga mul-i doeeo munje
우리가 물이 되어 문제 - uliga mul-i doeeo munje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상징적, 의지적

주제 : 완전한 합일과 생명력 넘치는 순수한 삶의 추구

특징 1. 가정법(~다면)을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

       2. '물'과 '불'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주제를 표현

       3. 현재와 미래를 대비하여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 가정법을 통한 소망의 표출

가정법 : '만난다면', '흐른다면', '적시기도 한다면', '닿는다면'   (현실의 상황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비롯됨)

가정법 사용 효과

만남에 대한 호자의 소망이 매우 간절함을 표현하며

현실 상황에 대한 강한 극복 의지를 나타낸다.

* '물'의 의미 확장

우리가 물이 되어 문제 - uliga mul-i doeeo munje

* '물'과 '불'의 대립적 이미지

우리가 물이 되어 문제 - uliga mul-i doeeo munje

* '물'의 역할

 - 고립된 개체를 합일시켜주는 매개체

 - 현대인의 고독 해소

* 바다와 하늘의 의미

우리가 물이 되어 문제 - uliga mul-i doeeo munje

강은교, '우리가 물이되어'  원문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

우르르 우르르 비 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아아, 아직 처녀인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로 만나려 한다.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만 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저 불 지난 뒤에 

흐르는 물로 만나자.

푸시시 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 화, 포용, 생명력 상징

              : 죽음, 파괴, 메마름, 삭막함의 이미지       

우리 이 되어 만난다면              : 가정법의 사용 1. 소망의 간절함 표출

(공동체적 가치 지향)                                           2. 현실의 상황이 그렇지 못한 것에 대한 부정적 인식

                                                                      3. 현실 극복 의지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설의법)      

(메마른 현대 사회)

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

         (넉넉한 생명력을 지닌 존재)

우르르 우르르  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메마름과 삭막함을 해소하고 불순한 것들을 씻는 정화와 생명력의 소리. 청각적 심상)

                                                                            1연 : 물이 되어 만나기를 바라는 소망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

                   (성찰의 시간)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성찰을 통해 더욱 성숙해가는)

죽은 나무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황폐해진 현대사회)

아아, 아직 처녀인 

(영탄법)  (순수함, 때묻지않음)

부끄러운 바다 닿는다면.

(순수함. 물이 결국 가고자 하는 곳. 순수한 이상향)             2연 : 생명력 넘치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소망

그러나 지금 우리는

(역접, 시상의 전환)

로 만나려 한다.

(물과 대립되는 파괴, 죽음, 갈등, 소멸의 이미지)

벌써 이 된 뼈 하나가

(파괴되고 소멸된 존재)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연민과 위로)

(소멸할 운명을 지닌 것들)                                             3연 : 불이 되어 만나야 하는 현재의 상황

만 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

(그대와의 정서적 거리감)  (조화와 화합의 대상)

저 불 지난 뒤에 

흐르는 물로 만나자.   (청유형)

푸시시 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대립과 갈등이 종식되는 소리. 청각적 심상)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명령형)       - 청유형, 명령형 종결 : 간절한 소망 표출, 의지 강조

(불이 꺼진 이후 시적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 이상향, 궁극적 만남의 공간.  완전한 합일과 생명력의 세계)

(바다와 비슷함)                                                      4연 : 불이 지난 뒤에 물로 만나고 싶은 소망과 현실 극복 의지

# 현대문학 현대시 고등국어 국어영역 고등문학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해석 해설 핵심정리 갈래 특징 주제 성격 표현 의미 현대문학 현대시 고등국어 국어영역 고등문학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해석 해설 핵심정리 갈래 특징 주제 성격 표현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