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토픽 홈페이지

http://www.topik.go.kr/usr/cmm/index.do 

http://www.topik.go.kr/usr/cmm/subLocation.do

홈/정보마당/기출문제

원고지 사용법.hwp(26 Kb)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원고지 사용법.pdf(168 Kb)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원고지 사용법.doc(110 Kb)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원고지 사용법>

1. 원고지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2. 글을 처음 시작할 때와 문단이 바뀔 때는 그 줄의 첫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쓴다.
3. 한 문단 내에서는 처음 시작을 제외하고는 첫 칸을 비우지 않는다. 줄의 끝에서 비울 칸이 없는 경우 띄어 쓰지 않고 다음 줄 첫 칸부터 쓴다. (V 표시 유무 관계없음)
4. 아라비아 숫자는 한 칸에 두 자씩 쓴다.
5. 문장 부호는 한 칸에 하나씩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줄표(―), 줄임표(……)는 두 칸에 쓴다.
6. 물음표(?), 느낌표(!) 다음에는 한 칸을 비운다. 다만, 온점(.), 반점(,), 쌍점(:), 쌍반점(;) 뒤에는 칸을 비우지 않아도 된다.
7. 글자가 마지막 칸을 차지하여 문장 부호를 찍을 칸이 없을 때는 문장부호를 끝 칸에 글자와 함께 넣는다.

원고지 쓰는법 자세하게 설명했어요

원고지 쓰는법 자세하게 설명했으니 이 글만 읽으시면 좋은 글을 쓸 수 있을 거예요^^

원고지만 작성해서 제출할 경우에는 원고지 첫 장에 제목과 소속, 이름 등을 기재하여 작성하지만, 논술이나 한국실용글쓰기 검정에서는 대개 본문부터 작성합니다.

글의 목차는
1. 원고지 첫 장 쓰는 법
2. 논술형 원고지 사용법
 ⑴ 칸 비우기 및 줄 바꾸기
 ⑵ 알파벳, 숫자, 로마자 쓰기
 ⑶ 문장 부호 쓰기 규칙 
 ⑷ 띄어쓰기
 ⑸ 제목 쓰기
 ⑹ 원고지 칸 밖에 쓰기


1. 원고지 첫 장 쓰는 법(글의 종류와 제목과 이름)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원고지 첫째 줄의 2번째 칸에는 글의 종류에 대해서 씁니다. 생략해도 괜찮습니다. 글의 종류에는 설명문, 기사문, 기행문, 논설문, 시, 소설, 수필, 자서전, 사설, 평론, 유언장, 일기 등 다양하게 있으니 성격에 맞게 써주시면 됩니다.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글의 제목은 두 번째 칸의 중심부에 작성합니다. 좌우 남는 칸 수가 다르다면 좌측의 칸수가 하나 더 많게 하시면 됩니다.  제목이 길어 한 줄에 다 들어가지 않을 경우는 두 줄에 나누어서 작성하면 되고, 두 줄로 나눌 경우 각 줄의 글자 수가 비슷하도록 배치합니다.

네 번째 줄에는 소속을 써 주면 되는데요. 학생이라면 'OO학교 O학년 O반'으로 써 주면 되겠죠. 다섯 번째 칸에 이름을 써 주시면 됩니다. 소속과 이름은 오른쪽에 2칸이 남도록 정렬해서 씁니다. 제목과 소속, 이름 뒤에는 마침표를 쓰지 않습니다.

본문은 작성자 이름에서 한 줄 띄고 쓰기 시작하고, 첫 글자는 한 칸 띄고 시작합니다. 한 칸을 띄는 이유는 글의 시작이나 문단이 바뀌고 쓰는 첫 글자는 한 칸 띄우도록 되어 있습니다.

⑴ 칸 비우기 및 줄 바꾸기

① 글을 맨 처음 쓸 때는 반드시 첫 칸을 비운다.
② 단락이 바뀔 때는 첫 칸은 비운다.
③ 첫째, 둘째, 셋째 또는 하나, 둘, 셋, 1, 2, 3 등으로 전개할 때에도 첫 칸을 비운다.
④ 긴 인용문일 때에는 한 줄을 띄우고 첫 줄 두 칸을 띄우고 쓰며 다음 줄은 한 칸만 띄운다. 긴 인용문이 끝나고 다음 문장이 시작될 때에는 한 줄을 띄운 다음 쓰기 시작한다. 
⑤ 대화로 시작하는 문장은 한 칸 비운다. 한 문장이 길어 다음 줄과 연결될 때도 한 칸을 띄우고 쓰기 시작한다.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① 알파벳 소문자와 아라비안 숫자는 한 칸에 두 자씩 쓰고, 낱자일 때는 한 칸에 한 자를 씁니다.
② 알파벳 대문자(A, B, C...)는 한 칸에 한 자를 넣습니다.
③ 로마 숫자(Ⅲ, Ⅳ 등)는 한 칸에 한 자를 씁니다.
④ 단위(㎤, ㏈)는 한 칸에 한 자로 합니다.
숫자와 점을 같이 쓸 경우 한 칸에 두 자를 씁니다.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문장 부호 쓰기 규칙

 문장 부호는 한 글자로 취급하기 때문에 한 칸에 하나를 표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논술문에서 주로 쓰이는 문장부호는 마침표(온점), 쉼표(반점),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가운뎃점, 소괄호, 물음표, 느낌표 등이 있습니다.

①  마침표와 쉼표, 큰따옴표 및 작은따옴표는 칸의 좌측 및 우측에 치우쳐서 써 줍니다.
② 물음표(?), 느낌표(!), 가운뎃점(·), 줄임말(······, ···)은 칸의 가운데 써 주시면 됩니다.
③ 문장 부호가 연달아 나올 경우 각각 다른 칸에 쓰면 되지만,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를 사용하여 인용할 경우에는 인용문이 종결되는 부분에 찍은 마침표와 따옴표가 겹칠 때에는 이 둘을 한 칸에 쓴다. 참고로 2014년 개정된 <한글맞춤법>에서는 직접 인용문 끝에 쓰는 마침표를 생략하는 것을 허용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래도 가급적 써 주면 좋겠죠? 바뀐 걸 모르는 채점관도 있을 수 있으니까요.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⑴ 큰따옴표의 인용문이나 강조문, 마음속 생각 등에 쓰는 작은따옴표가 들어가는 문장을 쓸 때는 새로운 줄로 바꾼 다음, 한 칸을 띄고 쓰기 시작합니다. 따옴표 안의 글이 여러 줄에 걸쳐 써야 할 경우에는 첫 줄 외에도 여러 줄 모두 한 칸씩 띄고 작성합니다. 또한 따옴표 안의 글과 '~라는', '~라고', '~이라는'등의 인용격 조사를 쓰지 않는 경우 새로 시작하는 글은 새로운 줄에 시작하며, 인용격 조사를 쓰는 경우에는 따옴표 뒤에 바로 이어서 글을 쓰면 됩니다. '하고'로 이어받는 경우엔 다음 줄 맨 처음 칸에 시작하면 됩니다.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문장부호의 띄어쓰기에서 느낌표(!), 물음표(?) 다음에는 한 칸을 띄어 쓰고 마침표나 쉼표는 다음 칸에 글을 쓰면 됩니다.

① 문장 부호 띄어쓰기에서 마침표(.)와 쉼표(,), 가운뎃점 다음에는 칸을 띄우지 않고 쓴다.
② 물음표와 느낌표 다음에는 한 칸을 띄고 쓴다.
③ 소괄호의 경우 앞말을 보충하는 설명이라면 앞말에 붙여 쓰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띄어 쓴다.
④ 마침표와 쉼표, 물음표와 느낌표는 첫 칸에 쓰지 않는다.
⑤ 따옴표나 괄호와 같이 짝을 이루는 부호를 쓸 때는 줄의 마지막 칸에서 시작되는 것을 피하고 다음 줄의 첫 칸에 부호를 쓴다.
⑥ 숫자의 경우 오른 쪽 칸 밖에 다 못나타낼 경우는 새로운 줄에 시작해서 쓰도록 한다.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5. 제목 쓰기

 대학에 따라 제목을 쓰는 경우와 쓰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목 쓰기에 대한 방법을 알아 두어야 한다. 제목이 없다면 본문은 원고지 맨 첫 줄에서 한 칸을 띄고 시작하면 된다. 제목은 포스팅의 상단에 설명한 것과 다르지 않으니 참고하시고, 제목을 쓴 다음에 본문은 한 줄을 비우고 시작하면 됩니다.

①, ②처럼 숫자나 알파벳의 몇 글자가 칸 수가 부족할 경우에는 줄을 바꾸지 말고 칸 밖에 쓰도록 합니다.
③ 영어 단어가 길어 칸 밖에 쓰기가 곤란할 경우 하이프(-)으로 연결 후 다음 줄에 쓰도록 한다.
④, ⑤와 같이 문장 부호가 남는 경우는 줄을 바꾸지 말고 칸 밖에 써 주면 됩니다. 문장 부호가 하나만 남을 경우는 위에서 설명한 '⑴ 칸 비우기 및 줄 바꾸기'의 ⑤ 번 항과 같이 글자와 부호를 한 칸에 써 주시면 됩니다.

원고지 작성법 PDF - wongoji jagseongbeob PDF


 지금까지 원고지 쓰는 법에 대해 기술했는데요, 내용에 빠진 것이 있거나 보완할 내용이 있으면 조금씩 수정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2014년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한 문장 부호 규칙에 대한 해설을 첨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