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1

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NBA Multimedia

인터넷의 언어는 참으로 재밌습니다.

과거 통신체나 외계어의 시대, 디씨 아햏햏의 시대 등을 거치면서

수많은 인터넷 방언들은 인기를 얻었다가 사라지고 있죠.

그 와중에 생명력을 오랫동안 얻은 것들도 꽤 있습니다.

언중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인터넷 방언은 "ㅋㅋㅋ"를 비롯하여

각종 자음어를 들 수 있겠네요. 한 때 유행했던 즐~, 고고씽 같은 철지난 말들은

이제는 쓰면 연식을 인정하는 것이죠. 또 의외로 한 때 유행했다가 사그라들었던 '긔'체의 경우

한 여초 카페에서는 여전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인터넷 커뮤니티 전반에서는 사라졌지만

하나의 폐쇄적 커뮤니티에서는 살아남은 셈이죠.

최근에는 그 기세가 덜하지만 근래에 가장 유행한 인터넷 방언에는 야민정음과 급식체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야민정음과 급식체에 대한 논문이 있어 재밌게 봤습니다.

조선대 국문학과의 강옥미 교수님이 쓴 <야민정음과 급식체의 해체주의 표현연구>가 그 논문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야민정음과 급식체 모두 음성언어에서 독립되어 활자적 측면에서 문자 유희가 일어나는,

해체적 기표의 유희라고 정리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는 일제시대 문학부터 시작된 포스트모던 문학에 나타난 한글의 해체적 현상부터

2000년대 초반의 외계어, 현재의 야민정음/급식체를 다루고 있습니다.

꽤 잘 정리된 논문이었고 재밌게 봤지만 인터넷 방언 연구에 있어서는 보완점이 좀 보이곤 합니다.

아무래도 교수님이 인터넷 방언에 완전히 익숙하지는 않으실 테니까요.

보론으로 몇 가지만 정리해보면

야민정음은 음성언어에 기반을 두지 않은 조형적인 것에 근거한 변형이죠.

귀태가 커태로, 이명박은 이띵박, 명곡은 띵곡으로.

그 시작은 아마도 커태가 시작일 것입니다. 강귀태 선수의 별명인 커태는 조형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사실은 그의 성향에서도 나타나죠. 기록 브레이커라고 불리곤 하는 강귀태선수의 별명은

cut을 한다는 점에서 커태와 잘 연결됩니다.

하지만 귀엽다가 커엽다로 바뀌는 순간에서는 일종의 공식처럼 되죠.

그전에는 조형적이긴 하지만 의미론적으로도 통하는 요소였습니다만,

야민정음의 전반적인 대전환에는 조형적인 것에만 근거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문자를 돌려서 읽는 것이죠.

이것을 야민정음으로 봐야하는지는 또 다른 문제이긴 합니다만 강교수님은 포함시키셨더군요.

비버가 뜨또가 되고, 으아아아가 호옹이가 되는 문자를 회전시키는 형태는

조형적이긴 합니다만 야민정음은 아닙니다. 논문에서 지적한 대로 '가로쓰기, 왼쪽에서 오른쪽 읽기'의 해체이긴 합니다만, 이러한 해체는 맥락적 정보가 중요하죠.

비버가 새긴 한글 문신이 뜨또로 읽히고, 김성모 화백의 작품에서 으아아아가 호옹이가 되는 맥락을

알지 못하면 이러한 조형적 변화의 원인을 알기 힘듭니다.

그리고 '오우야-ㅗㅜㅑ-퍄'로 변화하는 현상에서도 원산지가 야갤이나 디씨가 아닐 뿐더러

형식적 자음 ㅇ의 생략과 타이핑의 용의성, 그리고 ㅗㅜㅑ가 합쳐서 내는 소리인 퍄의 음성적 요소(감탄사)까지 개입된 현상입니다. '퍄퍄퍄'로 세 번 반복하는 용례에서 보듯 음성언어와 떨어져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죠.

(추가: 오우야-퍄의 원산지는 야갤이 맞습니다. 일단 오우야는 조선족(혹은 컨셉러)이 사용하던 언어사용 습관이며, 이 사용용례가 워낙 특이해서 일종의 밈이 되었습니다. 

용례: 오우야 죽인다야

이러한 용례에서 오우야만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디씨 방언에 스며들었고, 인터넷 전반적으로 퍼져나갔습니다. 그러다 2014년 3월 29일 즈음 누군가가 ㅗㅜㅑ를 퍄로 줄였습니다. 그리고 그 장소가 야갤이었습니다. 이런 맥락을 볼 때 오우야 자체는 애매하지만 오우야의 변화과정, 퍄는 야민정음의 하나로 봐야 합니다.)

문자언어 중 음성언어에 가장 가까운 방언으로 볼 수 있는 인터넷 방언의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급식체는 일종의 운율적 요소를 강하게 지닙니다. 힙합이 유행한 세대라는 점을 반영했죠. 

그래서 에바 쎄바 줌바 같은 각운(엔드라임)을 맞추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엔드라임을 살렸기 때문에 급식체는 일종의 음성언어를 문자로 기록한 것에 가깝다고 봅니다.

분명히 '인정? 어 인정, 동의? 어 보감, 용비? 어 천가' 같은 문자의 나열은 

ㅇㅈ?ㅇㅇㅈ이라는 이라는 2-1-2조의 운율적 구조를 반영한 결과물입니다.

동의보감, 용비어천가라는 전혀 의미가 상통하지 않는 고유명사를 분해해서 반영한 것에는

이런 운율적 구조가 첫번째 요소이죠.

두번째는 이러한 급식체 구사력의 자랑(스웩)에 있습니다. 급식체는 만연체마냥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혹은 의미가 생략된 운율적 용어의 반복이 길어질수록 훌륭(?)해집니다.

인용된 예를 보면, "오지고요 지리고요 고요한 밤이고요....에바 참치 넙치 꽁치 가문의 수치....예각 둔각 사각 삼각 오각....빼박캔트 버벌진트 버켄스탁..." 이렇게 앞의 의미적 핵심을 이루는 부분(오지고)과 상응하는 일종의 후렴구(지리고 고요한 밤이고)가 길수록 1급 급식체로 평가됩니다.

이러한 상응 후렴구를 길게 구사하는 급식체가 좋은 급식체이고, 잘 구사하는 이가 스웩을 부릴 수 있고 또 요즘 말로 인싸로 인정되었습니다.

유희적 측면에다가 인싸로 인정받기를 원하는 일종의 소속감, 타인의 평가까지 곁들여진 사회적 욕구의 반영체가 급식체인 셈이죠. 또 실생활에서 구어로 사용되기 보다는 인터넷 커뮤니티나 메신저같은 문자 채팅 구조에서 더 인정받는다는 것 역시 주목할 점입니다. 수없이 발화 주체가 오고가는 구어환경에서는 랩배틀하듯이 길어지는 상응후렴구를 구사하기는 힘들죠. 구어에는 가까우면서 동시에 자신의 급식체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에서 빛을 보는 언어가 급식체입니다. 해체주의적이기는 하지만 사용맥락과 사회적 환경 요소 역시 강한 작용배경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 방언은 그 변화가 매우 빠르지만,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언어의 생사멸과 동일한 구조로 흘러갑니다.

그런 점에서 최근 감소세로 돌아서는 것으로 파악되는 야민정음이나 급식체의 자리를 차지할 다음 타자는 누구인지 궁금하기도 하네요.

SERVER HEALTH CHECK: OK

RaphKay

IP 175.♡.216.178

19-05-29 2019-05-29 17:38:45 / 수정일: 2019-05-29 17:49:21

·

(수정) 이런것도 논문으로 쓸 수 있다는 걸 오늘 알았네요.
전 진지한 것만 논문 쓰는줄 알았습니다.

aftermoon

IP 59.♡.167.33

19-05-29 2019-05-29 17:39:54

·

언어를 연구하는 입장에선 너무나 당연하게 나올 수밖에 없는 주제 아닌가요?

쿠키앤크림

IP 124.♡.244.225

19-05-29 2019-05-29 17:40:11

·

RaphKay

IP 175.♡.216.178

19-05-29 2019-05-29 17:41:08

·

@aftermoon님 제가 문과가 아니라 모르는 세계 였군요 !!

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IP 121.♡.213.200

19-05-29 2019-05-29 17:41:17

·

dumbx3

IP 59.♡.235.15

19-05-29 2019-05-29 17:41:20

·

닭나루

IP 119.♡.93.179

19-05-29 2019-05-29 17:41:40

·

RaphKay

IP 175.♡.216.178

19-05-29 2019-05-29 17:42:19

·

@dumbx3님 아무거나 꼰대로 보시면 안되죠. 공대 입장에선 저런것도 논문으로 쓸 수 있다는 것에 놀라울 따름 이었습니다.

요켠

IP 220.♡.95.20

19-05-29 2019-05-29 17:42:38

·

cliemet

IP 112.♡.187.3

19-05-29 2019-05-29 17:45:10

·

문과 입장에서 보면 공대 논문중에 태반은 그게 그건데 그것들이 어떻게 논문 심사를 통과하는 건지 의아할겁니다.

그리고 이과 입장에서 봐도 저건 충분히 논문감이고요.

차단해제

IP 39.♡.47.147

19-05-29 2019-05-29 17:47:40

·

견족자K님 // 상대학문을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평가하는게 꼰대가 아니면 뭐겠습니까

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IP 203.♡.212.21

19-05-29 2019-05-29 17:48:19

·

(9ㅡㅡ)9

IP 5.♡.5.5

19-05-29 2019-05-29 17:48:26 / 수정일: 2019-05-29 17:48:54

·

공대라서 문과의 논문 주제가 놀라운 게 아니라 표현만 보면 그냥 단국대 비하 아닌가요??
단국대는 아무거나? 심사같은거 안 한다니...
놀라움을 이런식으로 표현한다는 게 더 놀랍네요.

RaphKay

IP 175.♡.216.178

19-05-29 2019-05-29 17:49:46

·

@

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님 네, 전 논문 써보지 못한 학부생 출신 입니다.

RaphKay

IP 175.♡.216.178

19-05-29 2019-05-29 17:51:05

·

RaphKay

IP 175.♡.216.178

19-05-29 2019-05-29 17:57:03

·

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IP 211.♡.25.197

19-05-29 2019-05-29 17:39:10

·

재밌는 논문이네요.
세상이 바뀌면 언어도 바껴야 된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그런가 봐요 ㅋㅋ

B1_66ER

IP 59.♡.135.242

19-05-29 2019-05-29 17:39:33

·

학술대회 발표용이라면 충분히 나오고도 남을 주제이긴 하죠 ㅎ

삭제 되었습니다.

밀레이유

IP 111.♡.202.137

19-05-29 2019-05-29 17:40:38

·

게임 내 버그 현상(와우 전염병 사건)도 논문으로 있을 정도인데, 저런 것쯤 하나 있어도 이상하지 않죠...

weakness

IP 221.♡.203.8

19-05-29 2019-05-29 17:40:47

·

특이점이 온 게 아니라 언어학자라면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에 대한 학술적인 호기심은 당연한 거라고 보는데요.

국어교육학자 - 맞춤법을 맞춰 쓰자.
언어학자 - 그 상황에서 왜 그걸 틀리게 쓰는 걸까?

zo202

IP 210.♡.46.70

19-05-29 2019-05-29 17:40:56 / 수정일: 2019-05-29 17:41:37

·

요켠

IP 220.♡.95.20

19-05-29 2019-05-29 17:44:07

·

zo202

IP 210.♡.46.70

19-05-29 2019-05-29 17:45:37

·

@요켠님 그러네요 링크 보니까.. 저쪽 학문 논문 처음 봤는데 단 나눔 없이 주욱 쓰네요..

요켠

IP 220.♡.95.20

19-05-29 2019-05-29 17:46:48

·

@이렐정
그러니깐유...
저도 저런 논문은 평생 읽어 볼 일이 없어서...

(이 논문도 초록만 봤습니다 ㅋ)

나오클

IP 175.♡.85.163

19-05-29 2019-05-29 17:40:59

·

충분히 나올만한 논문이긴 하네요. 가치를 떠나서 인터넷 언어사용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려면..

요켠

IP 220.♡.95.20

19-05-29 2019-05-29 17:42:01

·

YKid

IP 175.♡.10.72

19-05-29 2019-05-29 17:50:52

·

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Riverside

IP 221.♡.224.66

19-05-29 2019-05-29 17:42:24

·

cuoh

IP 117.♡.2.90

19-05-29 2019-05-29 17:42:28

·

충분히 재밌는 논문이네요. 수학적으로 매듭을 몇개나 만들 수 있나도 발표하는데요.(위상수학)

삭제 되었습니다.

흘렙

IP 112.♡.43.130

19-05-29 2019-05-29 17:51:03

·

한국어가 유창한 외국인도 해석이 어려운 토종 한국인만 해독 가능한 위대한 야민정음!!

weakness

IP 221.♡.203.8

19-05-29 2019-05-29 17:55:52

·

외국인도 어학당 다니고 한국어를 읽을 정도만 되도 해독 가능하더군요.
다만 번역기가 번역을 못할 뿐이지.

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IP 211.♡.22.79

19-05-29 2019-05-29 17:57:17

·

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IP 106.♡.192.83

19-05-29 2019-05-29 18:10:40

·

세종머앟은 이런 띵작들에 대해 롬곡 흘리지 않고 커여워할 각이다 는 ㅋㅋㅋㅋ초록인가요 ㅋㅋㅋㅋㅋㅋㅋ

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IP 155.♡.132.227

19-05-30 2019-05-30 09:27:51

·

running title 개념 아닐까요? ㅋㅋㅋㅋㅋ

야 민정 음 논문 - ya minjeong eum nonmun

IP 155.♡.132.227

19-05-30 2019-05-30 09:28:49

·

뭐 부부 금슬이 좋을 수록 MHC class 차이가 크다 뭐 이런 논문도 나오는데 국문과에서 충분히 나올 수 있는 논문이죠..어떻게 보면 다른 학자들보다 더 넓은 관점에서 최근 트렌드에 대해서 분석하고 쓴 논문이니 더 나을지도 모르죠..

Voila!

IP 166.♡.112.64

19-06-10 2019-06-10 13:13:06

·

읽어보면 묘하게 설득되네요.. 기존의 은어와는 궤를 달리한다는 내용인거 같은데.. 이과는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