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수능 날짜 - yeogdae suneung naljja

본격 2022학년도 수능 D-Day

2022학년도 수능 D-DayD-Day날짜6000일2005년 06월 15일(수)5000일2008년 03월 11일(화)4000일2010년 12월 06일(월)3000일2013년 09월 01일(일)2000일2016년 05월 28일(토)1000일2019년 02월 22일(금)900일2019년 06월 02일(일)800일2019년 09월 10일(화)777일2019년 10월 03일(목)700일2019년 12월 19일(목)600일2020년 03월 28일(토)500일2020년 07월 06일(월)400일2020년 10월 14일(수)300일2021년 01월 22일(금)200일2021년 05월 02일(일)100일2021년 08월 10일(화)90일2021년 08월 20일(금)80일2021년 08월 30일(월)70일2021년 09월 09일(목)60일2021년 09월 19일(일)50일2021년 09월 29일(수)40일2021년 10월 09일(토)30일2021년 10월 19일(화)20일2021년 10월 29일(금)10일2021년 11월 08일(월)9일2021년 11월 09일(화)8일2021년 11월 10일(수)7일2021년 11월 11일(목)6일2021년 11월 12일(금)5일2021년 11월 13일(토)4일2021년 11월 14일(일)3일2021년 11월 15일(월)2일2021년 11월 16일(화)1일2021년 11월 17일(수)수능일2021년 11월 18일(목)

본격 2026학년도 수능 D-Day

2026학년도 수능 D-DayD-Day날짜6000일2009년 06월 10일(수)5000일2012년 03월 06일(화)4000일2014년 12월 01일(월)3000일2017년 08월 27일(일)2000일2020년 05월 23일(토)1054일2022년 12월 25일(일)1000일2023년 02월 17일(금)900일2023년 05월 28일(일)800일2023년 09월 05일(화)777일2023년 09월 28일(목)700일2023년 12월 14일(목)600일2024년 03월 23일(토)500일2024년 07월 01일(월)400일2024년 10월 09일(수)300일2025년 01월 17일(금)200일2025년 04월 27일(일)100일2025년 08월 05일(화)90일2025년 08월 15일(금)80일2025년 08월 25일(월)70일2025년 09월 04일(목)60일2025년 09월 14일(일)50일2025년 09월 24일(수)40일2025년 10월 04일(토)30일2025년 10월 14일(화)20일2025년 10월 24일(금)10일2025년 11월 03일(월)9일2025년 11월 04일(화)8일2025년 11월 05일(수)7일2025년 11월 06일(목)6일2025년 11월 07일(금)5일2025년 11월 08일(토)4일2025년 11월 09일(일)3일2025년 11월 10일(월)2일2025년 11월 11일(화)1일2025년 11월 12일(수)수능일2025년 11월 13일(목)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서울 기준 영하 3도의 강추위가 찾아왔으며 일평균기온이 영하였다.[5] 다만 2014년 11월의 경우 수능 전후를 제외하고는 고온이 잦아서 평년보다 상당히 높았다. 그러나 12월 1일부터 강한 한파가 지속되어 1월 초까지 이어져서 12월은 평균기온이 매우 낮았다. 시험 난도 역시 문과 국어 빼면 얼음이었다.

  •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1월부터 잦은 한기 남하로 인해 수능일에 영하권으로 한파를 예측했지만 2017년 포항 지진으로 1주일 연기되었다. 그렇지만 추위가 풀릴 생각을 하지 않아서 연기된 날짜에도 여전히 추웠다. 아니, 연기된 날이 더 추웠다. 이는 2017-2018년 한파 및 폭설 사태로 이어졌다. 시험 난이도도 앞뒤 해보다 무난했다.

  •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전날 서울에 한파주의보가 발령되고 당일도 매우 추웠다. 심지어 수능날 전날과 다음날은 모두 최저기온 영상에 최고기온 10도 이상으로 올라갔지만, 수능 당일만 서울 기준 최저 기온 -3°C에 최고 기온 5°C 내외를 기록하면서 완벽한(?) 수능한파가 찾아왔다. 한편 수능 전날과 다음날에 중부지방에 비가 왔지만 수능 당일은 맑았다. 그렇지만 2019년 11월은 고온인 편이었고 12월에도 큰 한파 없는 따뜻한 날씨가 이어졌으며 이듬해 초에 역대 최고의 초고온 현상을 보여주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이 수능은 아예 대놓고 날짜가 12월이었다. 이상 고온이 오지 않는 이상 거의 확정이였고, 현실이 되었다. 평년 수준이더라도 영하 1~2°C이며 서울 기준 -2.3°C로 평년 수준이나 12월인 만큼 동남권을 제외하고는 영하의 날씨가 찾아왔으며 낮에는 4.2°C로 낮았다. 12월이라는 시기를 감안하면 평년보다 조금만 낮지만 일평균으로 치면 작년보다도 낮았다. 한편 만약 연기되지 않고 11월 19일에 치러졌으면 한파가 아니라 오히려 역대 최고의 이상 고온에 폭우까지 내리는 날에 수능이 치러졌을 것이다. 이 날은 많은 지역에서 잠깐이지만 평년보다 15~20°C 정도 높은 이상 고온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4.2. 수능한파가 찾아오지 않은 경우[편집]

여담으로 2017학년도 수능부터 수능한파가 찾아오지 않았을 때의 수능은 불수능이라는 징크스가 있다.

  •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정상회담으로 1주일 연기되었다. 그로 인해 수능 당일에는 따뜻했다. 시험 난이도는 특히 이과에게는 따뜻하다 못해 용암이었다.

  •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최저기온이 11°C로 거의 10월 날씨였다. 여담으로 이 해는 서울의 11월 평균 기온이 10.7°C로, 역대 11월 기온 1위였다. 그렇지만 시험 난이도는 비교적 쉬운 편이었다.

  •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안개가 좀 많이 꼈지만 날씨는 따뜻했다. 다만 일시적이지 이후 다시 추워서 2012~2013년 한파가 시작되었다.

  •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전날에 비가 내렸지만 수능 당일에는 맑고 따뜻했다. 그러나 이로부터 2일 뒤 또다시 전국이 폭우가 내리면서 추워졌다.

  •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아침기온이 10°C, 낮기온이 21°C까지 올라갔다. 비가 많은 11월이었지만 다행히도 이날은 비는 오지 않았다. 2012 수능처럼 날은 포근해도 시험 난이도는 끓는 물 정도로 비교적 쉬운 편이었다.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예비소집일날 낮에 추위가 풀리면서 수능날은 최저기온 4도, 최고기온 16도로 맑고 따뜻했다. 시험 난이도도 6년만에 어려운 편이었다.

  •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0월에는 추웠지만, 11월 16일까지 10월 중하순과 비슷한 기온을 유지해서 평년보다 높아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수능 예비소집일날 기온이 17°C까지 올랐고, 수능날 기온이 16.2°C까지 올랐다.[6] 그러나 수능 끝난 뒤 16일 밤부터 찬공기가 내려와서 17일에는 평년과 비슷한 날씨로 회복되었다. 역시 날씨답게 국어영역은 헬파이어였다.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1주일 전에 추운 날씨가 나타났으나 수능이 있는 주에는 난기로 인해 평년보다 높았고 수능 당일에는 최저기온 영상권에 최고기온 16도 안팎, 서울도 아침에 8°C에서 낮에 16.2°C까지 오르는 높은 기온에 바람도 불지 않아 하루종일 특출난 추위가 없는 나름 10월 하순 수준의 따뜻한 날씨였다. 수능시기에 추워지는 일반적인 수능한파와 정 반대의 양상이었던 셈. 날씨에 맞게 국어 영역을 중심으로 한 대부분 과목의 난이도 역시 뜨거웠다.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심한 이상 고온을 보이다가 13~14일 이후 평년 수준으로 기온이 떨어지고 복사냉각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아침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고 일교차도 크게 벌어져 17일도 평년 수준의 추위를 유지할 것이라 전망했으나[7] 비가 온 이후로도 고온을 유지해서 올해 ‘수능 한파’ 없다…“맑고 일교차 커, 얇은 옷 껴입는 게 좋아요”로 말을 바꿨다. 서울의 수능 당일 최저기온은 5.4°C였으며 최고기온은 16.6°C까지 올라 10월 말~11월 초 수준으로 꽤 따뜻했다.역시나 올해도 국어를 제외하면, 특히 탐구 영역을 중심으로 한 대부분 과목이 뜨거웠다.[8] 사실 이 해 11월 자체가 마지막날을 제외하면 2011년에 버금가는 이상 고온으로 점철되어 있어 수능한파가 생길래야 생길 수가 없었다.

5. 해외의 유사 사례[편집]

  • 일본은 예전 대학입학자선발 대학입시센터시험 시기에 폭설이 내린다는 징크스가 있었다. 수능폭설

  • 중국은 한국, 일본과 정반대로 9월 학기제 특성상 초여름인 6월에 치르는 보통고등학교학생모집전국통일고시 때마다 입시 폭염이 찾아온다. 기사[9]


[1] 14~20일[2] 7~13일[3] 서울 기준, 기온이 빨리 떨어지는 10,11월에 한 달 동안 일평균 기온이 약 7~8도씩 떨어진다. 그 중에서도 11월 6일(평균 11.2도)에서 19일(평균 5.5도)은 13일 동안 6도 가까이 급강하한다. 보통 수능시험이 있는 날이 11월 13~20일 경이다.[4] 과거 기준으로는 상당히 추운 정도였다.[5] 수능일이 11월 13일로 당시 기준으로는 가장 늦은 날이었으나 현재 기준으로는 사실상 가장 빠른 시기이다.[6] 기온 기준 2년 전과 비슷했다.[7] 짙은 미세먼지 주말간 다소 해소…올해 '수능한파' 있을듯[8] 지난해 불수능 못지 않게 어렵게 출제되었다.[9] 베이징같은 중국 북부 지역은 북부 사막의 영향으로 5월부터 일찍 폭염이 찾아오고 6~7월에 폭염이 절정을 맞이한다. 그래서 8월에는 입추가 지나면 기온이 많이 낮아진다. 한국에서 9월 학기제를 반대하는 주된 이유 중에는 한여름에 수능을 쳐야 한다는 거부감도 있다.

수능 몇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역사.

수능은 몇문제?

문항 수는 과목당 20문항입니다. 과목당 배점 50점(2점 10문항, 3점 10문항)입니다. 배점 교육과정상의 중요도, 소요 시간,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2점, 3점으로 차등 배점합니다.

수능 과목 몇개?

또한, 특수직업 적성시험,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을 측정하는 지능검사와 다르다고 분명하게 밝혔다. 기존 학력고사 9개 과목을 3개 영역으로 축소하고, 통합교과적으로 출제의 소재를 활용하도록 정했다.

수능 몇회?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019년 수능
날짜
2019년 11월 14일 (목)
지역
대한민국 전역
필적확인
너무 맑고 초롱한 그 중 하나 별이여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ko.wikipedia.org › wiki › 2020학년도_대학수학능력시험nu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