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직 아래 방향 - yeonjig alae banghyang

물리를 배우다가 갑자기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지구에 있는 거의 모든 물체는 중력을 가지는데 그 방향이 연직 방향, 즉 지구 중심방향이라고 하더라구요. 왜 하필 지구중심방향인지 궁금합니다!

연직 아래 방향 - yeonjig alae banghyang
연직 아래 방향 - yeonjig alae banghyang

총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신나혜 과학전문가입니다.

중력은 만유인력의 한 종류로 생각하시면 편할것같습니다. 만유인력은 두 물체의 중심에 힘의 작용점이 있고 그 두 물체끼리의 인력을 말합니다. 그래서 중력도 지구의 중심방향으로 힘이 작용합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중력은 만유인력의 자전에 의해서 생긴 원심력을 합한 힘이다. 지표근처의 물체를 연직아래로 당기는 힘인데 만유인력을 중력이라고 할때도있다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만유인력이 작용한다 특히 지구가 물체를 잡아 당기는 힘을 중력이라고 하는데 정확히는 만유인력의 지구의 자전에 따르는 원심력을 더한 힘이다

    중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공중에 떠다니지 않고 지표에서 생활한다

    2022. 01. 15. 09:33

    신고사유 :

      [개념정리] - '수직'과 '연직'의 차이

      2019. 8. 19. 00:40

      반응형

      수직과 연직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면 건축단면 작도시 낭패를 볼 수 있다.

      쉽게 요약하자면, 연직은 측정시작점에서 중력방향으로 닿는 부분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수직은 측정시작점에서 닿는 면과 수직되는 거리를 의미한다.

      아래 그림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연직 아래 방향 - yeonjig alae banghyang
      수직과 연직의 차이

      반응형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사 시험 딱 2주 남았다..학원 앞에서 샌드위치 먹으면서 느낀점  (0) 2019.08.24
      긴자6(Ginza six) 들여다보기 - (4) 식초전문점 쇼분스  (0) 2019.08.23
      긴자6(Ginza six)건축 들여다보기 - (2) 츠타야(Tsutaya books)긴자6 (꼭 가야 할 분명한 목적을 만들어 주는 서점)  (0) 2019.08.15
      긴자6(Ginza six)건축 들여다 보기 - (1) 아뜨리움조형물&루프가든  (0) 2019.08.13
      [건축상세도] 파라펫상세도 (잔디식재250, 알루미늄쉬트마감)  (0) 2019.08.08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

      PREV 1···184185186187188189190191192···362 NEXT

      + Recent posts

      • 연직 아래 방향 - yeonjig alae banghyang
        주변 예상 민원 고려하지 않⋯
      • 연직 아래 방향 - yeonjig alae banghyang
        플라폼 건축연구소 전문 협력⋯
      • 연직 아래 방향 - yeonjig alae banghyang
        서울특별시 주택 외 발코니⋯
      • 연직 아래 방향 - yeonjig alae banghyang
        지하수위가 높은 건물 왜 비⋯

      Powered by Tistory, Designed by wallel

      Rss Feed and Twitter, Facebook, Youtube, Google+

      * 연직으로 쏘아 올린 물체의 운동

      물체를 똑바로 위로 던져 올리면 위로 올라가고 있는 동안에도 연직 아래로 향하는 중력 때문에 속도는 매초 9.8 m/s씩 느려져 마침내 0이 되고, 그 순간부터 물체는 아래로 자유 낙하 운동을 시작하여 물체의 속도는 아래로 매초 9.8 m/s씩 빨라진다. 이 때 속도가 0이 되는 순간의 위치가 이 운동의 최고점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출발점을 좌표의 원점 O로 하고, 연직 위쪽을 y축의 양(+)의 방향으로 정하면, 이 운동은 가속도가 -g인 등가속도 직선운동이다. 등가속도 직선 운동의 관계식으로부터 출발 후 시각 t에서의 속도 v와 변위 y 사이의 관계식

      을 얻는다.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연직 아래 방향 - yeonjig alae banghyang

       

      이 경우 속도-시간 그래프는 그림 (가)와 같이 직선이며 이 직선과 시간축 사이의 넓이는 출발점으로부터의 변위를 나타낸다. 시간 tH는 속도가 0인 최고점 도달 시간이므로 시간축의 위쪽에 있는 삼각형의 넓이는 물체가 위로 최고점까지 올라간 높이이고, 아래쪽에 있는 삼각형의 넓이는 최고점에서 아래로 내려온 거리이다.

      물체가 최고점에 이르는 시간 tH는 최고점에서 속도가 0이므로 

      에서 

       


      임을 알 수 있다. 또 최고점까지의 높이 H는

      에서 


      으로 주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