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취업 현실 - 30dae chwieob hyeonsil

30대 취업 현실 - 30dae chwieob hyeonsil

30대 취업 현실 - 30dae chwieob hyeonsil
공선생2020. 10. 29. 15:04

로나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힘들고 취업시장

도 얼어 붙고 있습니다. 고졸의 학력으로써

더욱 더 크게 느끼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20대라면이제 고졸이라는 학력 때문에 취업시장에

서 벽을 느끼고 있을테고 30대라면 화려한 경력과

기술이 없다면 20대와는 다르게 더 큰 벽을 느낄껍니다.

그래서 20대 초중반의 고졸분들 보다는

20대후반~30대 초중반 분들이

더 치열하게 준비하는게 사실입니다.

30대 취업 현실 - 30dae chwieob hyeonsil

20대의 취준생 많은 이가

취업 한계에 부딪쳐 상담을 받으러 오지만

결국 그분들이 찾는 건...

-연봉은 4 년제 졸과 비슷하게..

-또는 조금 낮더라도 안정적인..

-그리고 그 준비과정이 길지 않은..

-그 준비과정조차 어렵지 않은...

-마지막으로 어렵지 않았으면..

참 요구 조건이 많습니다...

이런 저런 핑계도 많습니다..

4년제 나와도 심지어 좋은 대학을 나오고

스펙이 높더라도 쉽지 않은 게 취업입니다.

물론 좋은 대학에 좋은 스펙이 있다면

그냥 취업이 어렵다가 아닌

"(대기업. 외국계, 공기업) 취업이 어렵다 "

라고 말해야겠죠

30대 취업 현실 - 30dae chwieob hyeonsil

학력: 연세대 4학년 ( 경영학과 )

학점 : 3.3 점

토익 : 990(만점)

자격증 : 컴활 1급

관심분야 : 컴퓨터, 데이터 사이언스

위 스펙 보이시나요?

물론 공부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진 것도

무시 못 하지만 평일에는 과외랑 아르바이트하고

주말에는 학원을 다니며 공부하는 학생이었습니다.

데이터 사이언스 로드맵 그려주고 현재는 공부하고 있습니다.

30대 취업 현실 - 30dae chwieob hyeonsil

학력: 고등학교 졸업

학점 : X

토익 : 없음

자격증 : 없음

관심분야 : 학력 잘 안 보는 분야

전망이나 연봉을 생각하자니..

① 비교적 취업이 용이한 매장, 식당 서비스 직은 NO

②이동이 많은 외근직보다는 내근/사무직을 선호

그렇다면 내근/사무직/전문직을 가기 위해선 최소

8개월에서 1년 정도는 준비하면서 자격증 준비와

공부해야 한다고하면? 의지는 바로 떨어지며

좀 더 짧고 어렵지 않은 건 없냐고 되묻습니다.

또한 가장 큰 문제는 실천력도 없다는 것입니다.

30대 취업 현실 - 30dae chwieob hyeonsil

모든 20대 고졸분들이 그렇지는 않습니다.

특성화고에서 열심히 준비한 학생들은 대기업도 가

고 공기업도 잘 가는 편입니다. 그리고 자격증이나

NCS등 목표잡고 열심히 준비하신 분들은 오히려

대졸보다 낫다는 소리도 들으며 근무하고 있죠

오늘 이야기하는 대상은

솔직히 X뿔 내세울 만한 스펙도 없으면서주변에 잘

되는 케이스만 듣고 눈만 높아진 취준생, 구직자들입니다.

는 20대,30대 취준생분들 취업상담을 도와

드리고 다른 분야에 비해 학력과 나이를 안

보는 IT 분야 안내 드리고 있습니다. 국비지원 제도도

있기에 비용을 줄일 수도 있겠고요. 요행 바라지 마시

고 노력하고 공부해서 성과 만들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therapy92/222085558152

30대 취업 현실 - 30dae chwieob hyeonsil

출처: 그림 정찬동 님

"많은 분야가 위 그림과 같지만

IT분야는 가능합니다.

저는 20대,30대 취준생분들 취업상담을 도와

드리고 다른 분야에 비해 학력과 나이를 안 보는

IT 분야 안내 드리고 있습니다. 국비지원 제도도

있기에 비용을 줄일 수도 있겠고요. 요행 바라지

말고 노력해서 결과 만들어보길 바라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therapy92/222085558152

※위 내용은 비단 고졸분들에게만 국한된 건 아닙니다. 인지도 낮은 대학생과 인 서울 좋은 대학교 학생들도 적용되겠죠 고졸이라는 꼬리표와 주변의 인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학교를 가던지 아님 전문성을 높여 떳떳하게 이겨내시던지 선택은 개인의 몫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