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일 아기 수면 시간 - 60il agi sumyeon sigan

안녕하세요.  대략 생후 7주경 (생후 48일) 부터 수면의식을 시작하고, 퍼버법 등으로 딸아이의 수면 교육을 시키고 있습니다.  대략 1주일 정도 지켜보니 저녁 6시-6:30분경 모유 수유 - 7-7:30분경에 재우다, 10-12시 사이 깨면 수유시키고, 쭉 재워서 새벽 3-5시 사이 모유 수유시키고 다시 재우는 사이클로 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낮에 애가 낮잠을 너무 오래 자네요.  그래서 보통 2.5시간 정도 되었을때 깨워서 모유수유 시키는데 이게 깨우는 것이 맞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어떤 데는 2-3시간 이상 자면 깨우라고 하고, 어떤 곳은 억지로 깨울 필요 없다고 하는 곳도 있는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대략 낮잠은 하루 3/4회 정도 (오전 7-10; 오전11-오후 1:30; 오후 3-5:30) 자는 것 같습니다. 매번 2.5시간 넘게 자는 것은 아니지만 매일 3/4회 낮잠중 최소 1-2회 이상은 2.5시간을 넘겨서 잘려고 해서 그럴때 깨워야 하는건지 잘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수면은 하나의 행동으로 변화하고 발달합니다. 하루 24시간 중 잠자는 시간은 나이에 따라 변합니다. 신생아는 배고파서 깨는 것 이외에는 잡니다. 그러나 생후 4주가 되면 우는 것 없이 깨게 되고 깨서 놀기도 합니다.
갓난 아기는 배고프면 깨서 먹고, 먹으면 또 자고 해서 일반적으로 하루에 대 여섯번 잠을 잡니다. 신생아는 많이 자지만, 반면 그 주기는 40-60분이므로 어른의 90-120분보다 짧습니다. 그러나 3-4개의 주기가 연속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3-4시간 동안 계속 잠을 자게 됩니다. 같은 시간을 자는 아기라 하더라도 자주 깨거나 자는 것이 어려운 아기들이 있는데 신경학적인 이상이 있거나, 기질적으로 까다로운 아기이거나, 영아 산통과 같은 신체적 불편이 있거나, 수유량이 적거나, 수유를 너무 자주 하거나, 방이 덥거나, 주위가 시끄럽거나, 기저귀가 젖었거나 하는 사소한 것도 아기가 자주 깨거나 오래 자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따라서 아기의 수면 시간이 15시간 이내의 아기들은 우선 정확히 하루에 몇 시간 정도 자는지 시계를 가지고 체크 해 보아야 합니다.
2. 수면시간이 15시간 이하라면 아기의 성장 즉, 머리둘레, 키, 체중 등을 측정하여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3. 성장과 영양상태가 정상이라고 한다면 깨어있을 때 아기의 행동에 주목을 해야 합니다. 주로 우는지 아니면, 주위의 것을 보고 있는 시간이 많은지, 기분 좋게 놀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깨어있는 것의 원인이 몸의 불편에 의한 것인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4. 만약 깨어 있을 때도 주로 울고 있거나 배앓이를 하는 것으로 생각되면 너무 빨리 먹이지 말고 먹인 후 완전히 트림시키고 배를 따뜻하게 해주고 울 때는 안아주거나 토닥거려주는 등 수유 방식을 점검하고 배앓이 대책을 세워주어야 합니다.

5. 성장이나 발달 상태도 적당하고 깨어있는 시간도 울지 않고 비교적 잘 논다면 수면시간이 적다고 걱정하실 것은 없습니다. 수면 시간은 아기마다 다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쉽게 바뀌는 경우가 많으며 1개월 아기의 수면 각성 주기는 불완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개월 아기의 수면 시간을 보고 아기의 향후 수면 시간이나 수면 습관을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어머니로서는 아기가 잠자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며, 너무 어머니의 생활 리듬에 맞게 유도하여서는 안되지만 밤에 오래 잘 수 있도록 수유시간 및 방법을 조절하고 조금씩 일정한 시간에 재우는 방향으로 교정해 나갈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이시기에는 일부러 깨우거나 일부러 재우려고 노력하는 일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수면, 각성 주기의 형태가 불안정한 시기이기 때문에 자는 시간의 조절이 거의 불가능하며 인위적으로 조절했다고 하더라도 오랫동안 고정되지 않고 쉽게 변하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아기가 자는 데로 따라가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