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낙상은 떨어지거나 넘어지면서 다치는 사고다. 나이가 들면 근육량이 줄어들고 평형감각이 둔해지면서 낙상 위험이 커진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낙상으로 인한 노인층의 입원율이 젊은층보다 8배 더 높다. 낙상으로 인한 부상이 크면 뇌출혈, 척추와 엉덩이뼈의 골절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노인 신체 기능 검사를 받아 낙상 위험도를 확인해야 한다.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노인 신체 기능 검사ㅣ출처: 하이닥
◇ 노인 신체 기능 검사 한 줄 요약


노인 신체 기능 검사는 하지 근력과 평형성을 확인함으로써 낙상 위험도를 진단하는 검사다.


◇ 어떤 검사인가요?


노인 신체 기능 검사에서는 하지 근력 검사와 평형성 검사를 실시한다. 하지 근력 검사는 걷는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다리의 근력을 진단하는 검사다. 환자는 팔걸이가 없는 의자에 앉아 검사를 준비한다. 시작 구령이 울리면, 3m 앞까지 최대한 빠르게 걸어간 후 다시 의자에 돌아오는 시간을 잰다.


평형성 검사는 한 발로 서 있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평형감각을 진단하는 검사다. 평형감각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눈을 감은 상태에서 시행하는 것이 좋다.


◇ 누가, 언제 받아야 하나요?


65세 이상의 노인이라면 질환 여부와 상관없이 노인 신체 기능 검사를 받아 낙상 위험도를 확인해야 한다. 더불어, 65세 미만이라도 평상시에 자주 넘어지거나 체력이 약하다면 검사받는 것이 좋다.


◇ 노인 신체 기능 검사 결과


- 정상 소견

· 하지 근력 검사 : 20초 미만
· 평형성 검사 : 6초 이상


"낙상 위험이 낮아요."

하지 근력 검사 결과가 20초 미만이고, 평형성 검사 결과가 6초 이상이라면 신체 기능이 정상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단, 낙상 경험이 2회 이상이라면 평소에 스트레칭과 걷기 운동을 꾸준히 함으로써 낙상 예방에 힘써야 한다.


- 이상 소견

· 하지 근력 검사 : 20초 이상
· 평형성 검사 : 6초 미만


"낙상 위험이 높아요."

하지 근력 검사 결과 20초 이상이고, 평형성 검사 결과가 6초 미만이라면 하지 근력이 약하고 평형감각이 둔한 상태이므로 낙상 위험이 높다. 신체 기능이 약하므로 외출 시 지팡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낙상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침실과 화장실에 안전 장치를 두어야 한다. 침대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침대 옆에 안전바를 놓아두는 것이 좋다. 또, 화장실 타일에 미끄럼 방지 매트나 스티커를 붙이고, 수건 걸이 외에 손잡이를 하나 더 설치하면 화장실에서 미끄러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근력을 강화하고 균형 감각을 향상하기 위해선 수시로 스트레칭을 하고, 걷는 습관을 형성해야 한다.


감수 = 하이닥 상담의사 이승화 과장 (성남시의료원 가정의학과 전문의)

<저작권©언론사 하이닥,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건강검진을 받아보세요.

65세 이상의 노인은 2년에 1회 이상 국·공립병원, 보건소 또는 노인전문병원, 요양기관 및 의료급여기관에서 건강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60세 이상의 노인은 안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기에 치료하여 실명예방 및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눈 정밀 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쇄체크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건강검진을 받아보세요.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검진 대상자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시·군·구 관할 구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노인건강진단 희망자. 다만, 전년도 수검자 중 건강한 사람과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외됩니다.

√ 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수검 가능

√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66세가 되는 해에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수검 가능

√ 그 밖에 보건소장이 노인건강진단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노인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건강검진 받기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보건복지부장관,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건강진단을 실시하려는 때에는 그 실시기간·실시장소·진단기관 및 대상자의 범위 등을 정하여 건강진단 실시 예정일 14일 전까지 이를 공고해야 합니다(「노인복지법 시행규칙」 제9조제1항).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건강진단은 1차 및 2차 진단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전년도 진단결과 유질환자는 1차 및 2차 건강진단을 동시에 받습니다[보건복지부, 2022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Ⅰ) 561쪽 참조].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1차 건강진단은 1차 건강진단 항목을 대상으로 실시. 다만, 의사의 판단이나 노인이 원하지 않는 경우(체혈 등)에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2차 건강진단은 1차 진단결과 유소견자 및 전년도 진단결과 유질환자에 한하여 해당 질환별로 실시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검진 후 유질환자 사후관리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질환이 발견된 노인은 보건소의 등록관리 및 공공의료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방문건강관리 또는 의료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받습니다[보건복지부, 2022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Ⅰ) 559쪽 참조].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성매개감염병 질환이 있는 노인은 보건소에서 무료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보건복지부, 2022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Ⅰ) 559쪽 참조].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치매가 의심되는 노인은 무료 치매조기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보건복지부, 2022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Ⅰ) 559쪽 참조].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치매를 진단받은 경우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되어 치매치료제 복용에 대한 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보건소와 연계하여 무료 안검진과 개인수술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보건복지부, 2022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Ⅰ) 560쪽 참조].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치과진료가 필요한 노인은 보건소의 구강보건센터와 연계하여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보건복지부, 2022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Ⅰ) 560쪽 참조].

인쇄체크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눈 건강도 지키세요.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눈 건강검진 받기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60세 이상의 노인은 안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기에 치료하여, 노인들의 실명 예방 및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눈 정밀 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눈 건강검진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1. 검진 신청은 어떻게 하는 건가요?

☞ : 노인 안검진 사업은 보건복지부와 함께 (재)한국실명예방재단(www.kfpb.org)에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매년 1 ~ 2월경에 시·도에서 전국 보건소를 통해 검진 수요조사를 실행하고 희망 지역을 대상으로 일정을 계획하여 검진을 진행하고 있어요.

단, 1일 검진 예상인원이 최소 100명 이상일 경우 신청이 가능하고, 농어촌 및 안과 접근이 낮은 지역을 우선 순위로 실시하며 환자 개별적 신청을 받지 않고 있으니 주의하세요.

2. 우리 지역에서 무료 눈 검진이 실시된다고 하는데, 아무나 검사를 받을 수 있는 건가요?

눈 검진은 검진 사업 신청지역에 사는 60세 이상의 어르신이라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해요.

3. 검진을 받으러 갈 때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

검진을 받을 때에는 ① 주민등록증(신분증), ② 건강보험카드, ③ 전화번호를 준비해야 해요.

4. 검진할 때, 어떤 검사를 받을 수 있나요?

안과에서 진행되는 기본적인 검사를 받을 수 있는데요. 정밀 안저검사, 안압검사, 굴절검사, 조절검사, 각막곡률검사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검진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검진을 받으려는 당일 접수를 하면 바로 받으실 수 있고,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3시까지 검진 접수를 할 수 있어요.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개안(開眼)수술비 지원받기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다음에 해당하는 노인은 개안수술비를 지원받고, 본인 및 가족의 의료비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보건복지부, 2022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Ⅰ) 540쪽 참조].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60세 이상 노인

65세 이상 건강검진 - 65se isang geongang-geomjin
다음의 수술대상 질환자

√ 백내장 : 안과 전문의에 의한 백내장 진단을 받고 해당 눈 시력이 0.3 이하인 환자

√ 망막질환 : 안과전문의에 의한 당뇨성 망막병증, 망막박리, 그 밖에 망막질환의 진단을 받고 수술이 필요하다고 인정받은 환자

√ 녹내장 등 그 밖에 안질환 : 안과전문의에 의한 진단을 받고 수술이 필요하다고 인정받은 환자

※ 개안수술비 지원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1. 수술비 지원 신청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수술비 지원 신청 접수는 보건소에서 연중 수시로 받고 있어요.

신청할 때는 ① 안 질환 의료지원 신청서, ② 안과 진료소견서(수술병원의 진단서), ③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증명서 1부, 한부모가족증명서 1부: 모든 서류는 최근 1개월 이내로 발급된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수술비 지원 대상자 선정에는 1달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며, 지원결정 통보 전에 수술을 받으면 지원을 받을 수 없으므로 대상자 선정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한국실명예방재단 사업소개 눈 수술비 지원 자주묻는질문 참조)!

2. 수술비 지원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지원받을 수 있는 수술비의 범위는 초음파검사비 등의 사전검사비 1회, 수술비, 수술관련 재료비 등 개안수술비 총액 중에서 본인부담액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

3. 수술비는 환자가 직접 받게 되나요?

수술비는 환자가 직접 받는 것이 아니라, 개안수술을 실시한 의료기관이 직접 (재)한국실명예방재단에 청구하면 의료기관의 은행계좌에 바로 입금됩니다.

건강검진은 어떻게?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 건강검진표 수령.
일반건강검진 및 암검진 실시 건강검진표와 신분증을 검진기관에 제시한 후 검사(단체검진의 경우 해당 센터에 문의) 암검진 예약 필수.

건강검진 몇월?

국가건강검진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받을 수 있지만, 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10월 이후에는 약 38% 이상의 검사가 집중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