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록렌즈 오목렌즈 차이 - bolloglenjeu omoglenjeu chai

  • 2019
볼록렌즈 오목렌즈 차이 - bolloglenjeu omoglenjeu chai

여러분은 물체가 물체에 떨어질 때마다 물체가 빛을 반사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반사 된 빛이 우리의 눈에 도달하면 우리는 그것을 봅니다. 빛과 관련된 많은 사실들이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는 거울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와 렌즈를 통한 빛의 굴곡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거울 은 매끄럽고 광택이있는 유리 표면을 말하며, 그 표면을 통해 빛이 반사되어 이미지가 반사되어 형성됩니다.

다른 극단에서 렌즈 는 투명한 굴절 매체 (즉, 유리)의 일부이며 두 개 이상의 표면이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구형입니다. 빛이 매체를 통과 할 때 이미지 형성에 도움이됩니다. 이 기사에서 발췌 한 내용에서는 미러와 렌즈의 차이점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 할 예정입니다.

비교 차트

비교의 근거거울렌즈
의미 거울은 반사광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은빛 배경을 가진 유리 표면을 의미합니다. 렌즈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투명한 물질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구부러진 두 개의 표면으로 구속되어 있습니다.
자연 평면이거나 곡선 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면 또는 양쪽면이 곡선입니다.
작동 원리 반사의 법칙 굴절 법칙
방정식
볼록렌즈 오목렌즈 차이 - bolloglenjeu omoglenjeu chai
볼록렌즈 오목렌즈 차이 - bolloglenjeu omoglenjeu chai

거울의 정의

거울은 반짝이는 유리 물체로 정의되며 빛을 반사하여 앞에있는 물체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뒷면에 은빛 코팅이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얼굴이나 다른 물체의 반사를보기 위해 가정에서 사용됩니다. 그것은 두 가지 유형입니다 :

  • 평면 거울 : 평평한 표면을 가진 거울을 평면 거울이라고합니다. 가상 및 직립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볼록렌즈 오목렌즈 차이 - bolloglenjeu omoglenjeu chai
  • 구면 거울 : 축소되거나 확대 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곡면을 가진 거울을 구형 거울이라고합니다. 아래에 설명 된 것처럼 두 가지 유형의 볼록 및 오목 거울입니다.

렌즈의 정의

렌즈는 투명한 재료, 즉 유리 또는 플라스틱 조각을 의미하며, 그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구부러진 두 개의 대향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전을 수정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렌즈는 단독으로 또는 광학 장치 내의 2 개 이상의 단순한 렌즈의 조합으로 광 빔을 수렴함으로써 이미지를 생성한다.

렌즈의 작동은 굴절의 원리에 기초합니다. 즉, 광선이 렌즈를 통과하여 구부러져서 방향이 바뀌고 렌즈에서 보이는 물체가 실제 물체보다 크거나 작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거울과 렌즈의 주요 차이점

미러와 렌즈의 차이점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된 사항은 상당합니다.

  1. '거울 (mirror)'이라는 용어는 반짝이는 유리 조각을 말합니다. 뒷면에서 광택을내어 그 앞에 놓인 물체의 선명한 이미지를 반영합니다. 반면에 렌즈는 구형 표면을 지닌 투명한 유리 조각으로 떨어지는 광선을 집중 시키거나 분산시킵니다.
  2. 거울은 평면이거나 구형입니다. 대조적으로, 렌즈는 2 개의 표면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는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만곡되어있다.
  3. 광선이 거울을 때리면 다른 방향으로 빛을 반사하여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반대로, 렌즈의 경우, 광선은 매체 (렌즈)로 들어가고 광선은 다른 방향에서 굴절 (굴절)하여 광선이 발생하는 것으로부터 초점을 만듭니다.
  4. 거울과 렌즈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의 성질을 계산하기 위해 우리는 아래 방정식을 사용합니다.
    거울 방정식 :
    볼록렌즈 오목렌즈 차이 - bolloglenjeu omoglenjeu chai

    렌즈 식 :
    볼록렌즈 오목렌즈 차이 - bolloglenjeu omoglenjeu chai

    여기서 v = 극으로부터의 이미지 거리.
    u = 극 물체의 거리.
    f = 구면 거울의 초점 거리

결론

거울과 렌즈는 앞에 배치 된 모든 것을 이미지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물체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실제 또는 가상 일 수 있습니다. 거울은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금속이지만 렌즈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되어 있습니다.

실상과 허상

어떤 물체를 보면서, 우리는 그 곳에 물체가 있다고 느낍니다. 그런데 물체나 발광체가 그곳에 없는데도, 어떤 반사체 또는 발광체가 그곳에 있다고 느끼는 경우 우리는 그곳에 ‘상(image)’이 있다고 말합니다.
광학에서 말하는 ‘상(image)’은 빛이 굴절 혹은 반사되어서 생깁니다.

실상(Real image): 실제로 빛이 그곳에서 모였다가 다시 출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실상이 맺혀지는 위치에 종이를 대보면 종이에 맺힌 상이 실제로 보입니다.

허상(Virtual image): ‘상’이 맺힌 곳에 실제로 빛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허상이 맺혀지는 위치에 종이를 대보면 아무런 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오목 렌즈의 허상

투영된 상은 언제나 허상이고, 물체와 같은 모양으로 서있고, 또한 실물보다 작게 보입니다.

볼록렌즈 오목렌즈 차이 - bolloglenjeu omoglenjeu chai

볼록 렌즈의 허상과 실상

볼록렌즈는 물체가 볼록렌즈의 초점 거리 안쪽에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입니다.

허상: 물체가 렌즈의 초점 거리 안에 있을 경우 물체는 실물보다 확대되어 보입니다. 그리고 항상 똑바로 서있습니다.

볼록렌즈 오목렌즈 차이 - bolloglenjeu omoglenjeu chai

실상: 물체가 렌즈의 초점 거리 밖에 있을 경우 렌즈와의 거리에 따라 확대되거나 축소되어 보입니다. 그리고 항상 뒤집혀 있습니다.

볼록렌즈 오목렌즈 차이 - bolloglenjeu omoglenjeu chai

맺힌 상의 거리 구하기

물체의 렌즈로부터의 거리 o, 상의 렌즈로부터의 거리 i, 렌즈의 초점거리 f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공식이 성립합니다.

\[\frac { 1 }{ o } +\frac { 1 }{ i } =\frac { 1 }{ f } \]

  • o: 렌즈에서 물체까지의 거리. 항상 양(+)의 값을 가집니다.
  • i: 렌즈에서 상까지의 거리
  • f: 초점 거리

오목렌즈의 경우

  • o > 0: 실물체
  • i < 0: 허상 (V쪽)
  • f < 0: 허초점 (V쪽)

볼록렌즈의 경우

  • o > 0: 실물체
  • f > 0: 실초점 (R쪽)
  • i = ?: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 o < f 인 경우: i < 0 (똑바론 선 허상)
    • o = f 인 경우: i 값을 구할 수 없다.
    • o > f 인 경우: i < 0 (뒤집힌 실상)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음수에 대한 표현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호에 관한 규칙은 곡면거울에 있어서의 부호 법칙과 같습니다. 즉, 실상(R쪽)에는 양수를, 허상(V쪽)에는 음수를 씁니다.
렌즈에 있어서 주의할 것은 물체의 거리 o는 물체가 V쪽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수라야 한다는 점입니다.

광선추적법

어느 두 광선의 경로를 추적하면 맺힐 상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1. 중심축에 평행한 광선은 굴절 후 초점을 지납니다.
  2. 거꾸로 생각하면, 초점을 통과한 후 렌즈에 입사한 광선은 렌즈를 지난 후 중심축에 평행하게 진행해 나갑니다.
  3. 렌즈의 중심을 향해 입사한 광선은 경로의 변화 없이 진행합니다.

배율 구하기

렌즈에 맺힌 상의 크기 비율은,

\[m=-\frac { i }{ o } \]

  • m: 배율
  • i: 렌즈에서 상까지의 거리
  • o: 렌즈에서 물체까지의 거리

계산된 m의 값에따라 상은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 m > 0: 상은 똑바로 서 있습니다.
  • m < 0: 상은 뒤집혀 있습니다.
  • |m| > 1: 상은 확대되어 있습니다.
  • |m| < 1: 상은 축소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