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1 예수금 출금 - d+1 yesugeum chulgeum

예수금이란? D+1 D+2 / 주식을 팔았는데, 왜 출금이 안되죠?

D+1 예수금 출금 - d+1 yesugeum chulgeum

주식을 처음 시작할때,

두근거리는 마음은 주체하기 어렵습니다.

첫 매수를 하였을때, 첫 매도를 하였을때,

어른이 되었음을 스스로 뿌듯해 한 기억이 있습니다.

주식을 매도하고 왜 출금이 안되는지 이해를 못하던 이야기

안녕하세요 해뷰트입니다.

D+1 예수금 출금 - d+1 yesugeum chulgeum

분명 수익을 내고 주식을 팔았는데, 출금이 되지 않습니다.

당황스럽죠? 증권사가 내 돈을 떼어먹은 것일까요?정답은 증권사의 가래시스템때문 입니다

D+1 예수금 출금 - d+1 yesugeum chulgeum

주식에서의 특이한 거래 시스템이 있습니다.

예수금

주식 매매를 위해 증권사가 계좌에 입금한 투자금액

즉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금액

주식거래의 시스템

주식거래는 실제로 거래가 이루어지기까지 

3영업일의 시간이 걸립니다.

매도할때

2월23일(수) : 주식 매도 (예수금 D+2)

2월 24일(목) : 주식을 매도하고 다음 날 (예수금 D+1) 

2월 25일(금) : 실제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날 ( 예수금 입금 )

*영업일 기준

매수할때

2월23일(수) : 주식 매수 일부 증거금만 납부 (예수금 D+2)

2월 24일(목) : 주식을 매수하고 다음 날(예수금 D+1) 

2월 25일(금) : 실제로 거래(매수)가 이루어지는 날 ( 예수금 출금 )

*영업일 기준

D+1 예수금 출금 - d+1 yesugeum chulgeum

기본적으로 한 주에 연휴가 없다는 가정하에 돈을 출금하기 위해서는 

참고 출금 가능 날짜

월요일에 매도 -> 수요일에 출금가능

화요일에 매도 -> 목요일에 출금가능

수요일에 매도 -> 금요일에 출금가능

목요일에 매도 -> 다음주 월요일에 출금가능

금요일에 매도 -> 다음주 화요일에 출금가능

D+1 예수금 출금 - d+1 yesugeum chulgeum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주식공부를 꾸준히 진행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어려운 주식용어를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정말 처음에 용어에서 벽을 느껴

주식시장을 도망치고 싶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지금도 너무나 많은 어려운 용어들이 있는데, 

모든 것을 알려고 하는 것 보다

내가 이 정도면 차트를 보고도 이해할 수 있구나?

증권 뉴스를 보면 나도 이해할 수 있구나?

이 정도만 알고 있어도,

주식거래에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꾸준히 나아가는 파이어하우스의 일원이 되길 바라며..

주식계좌 개설하는 방법과 꿀팁들 한국투자증권, KB증권

📈 주식 계좌 개설하기 주식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주식을 거래하기 위한 계좌가 필요합니다. 요즘은 비대면으로 쉽게 스마트폰을 통해서 누구나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 당장 계좌개

haveyoutried.tistory.com

D+1 예수금 출금 - d+1 yesugeum chulgeum

정말 쉽게 설명하는 코스피 코스닥. 이제는 더 이상 헷갈리지 맙시다!

#코스피가뭐야? #코스닥이뭐야? 코스피와 코스닥 요즘 이런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코스피 떡락한다!! 코스피 3000간다!! 도대체 코스피가 무엇이길래 떡락을하고 3000을 가고 한다는걸까요? 한번

haveyoutried.tistory.com

D+1 예수금 출금 - d+1 yesugeum chulgeum

쉬운 경제 지식

주식 용어 : 예수금, 출금 가능 금액, D+2 등 쉽게 이해

방구석 숑숑이 2022. 5. 18. 12:05

처음 주식을 접하는 분들 중 용어와 계산법이 어떻게 되는지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특히 해외 주식(미국)은 더 복잡하게 느껴집니다. "예수금이 있는데 출금 가능 금액은 왜 이럴까?", "D+1, D+2 예수금은 무슨 뜻일까?"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 오늘은 쉽게 계산하는 법과 뜻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D+1 예수금 출금 - d+1 yesugeum chulgeum

주식 용어 : 예수금, 출금 가능 금액, D+2 등 쉽게 이해

NH 나무 증권 앱에서 해외주식(미국)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목차

- 총자산(순자산) 이란?

- 매입금액과 평가금액 이란?(수익률과 손익)

- 예수금과 출금 가능 금액 이란?(마이너스)

- D+1, D+2 예수금 이란?(개념 및 인출방법)

- 전체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D+1 예수금 출금 - d+1 yesugeum chulgeum

총자산(순자산) 이란?

- 화면에서 말하는 총자산(순자산)이란 전체 주식 가격과 현금을 더한 것으로 손쉽게 내 계좌에 있는 전체 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보유하고 있는 주식 가격 + 계좌에 있는 현금
예시) 평가금액 주식으로 100만 원이 있음 예시) 현금과 달러를 합쳐 100만 원이 있음
내 전체 총자산(순자산) = 200만 원

매입금액과 평가금액 이란?

- 매입금액은 내가 처음에 주식을 샀을 때 가격입니다.

- 평가금액은 매입금액으로 주식을 샀을 때 수익률에 대한 손익 평가입니다.

※ 단순히 거래세나 수수료를 넣지 않았습니다.

예시) 매입금액 = 120만 원 주식을 매입
예시) 매입금액 120만 원에서 수익률이 -17% 생김 예시) 총 손익 = 마이너스 20만 원
평가금액 = 100만 원 

예수금과 출금가능금액 이란?(마이너스)

- 예수금이란 쉽게 전체 남은 돈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출금 가능 금액이란 현금을 바로 출금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 주식 예수금이 마이너스가 되었다면 미수거래가 발생했다는 것으로 당일 매도나 2 거래일까지 계좌에 현금을 입금하셔야 합니다.(3 거래일 개장시까지 넣지 않으면 반대매매가 이루어지고 미수 계좌로 지정됩니다. 이때 한 달 동안 현금거래만 가능하게 됩니다.)

예시) 예수금 100만 원과 출금 가능 금액 50만 원으로 되어 있음
출금 가능 금액은 현금 50만 원(바로 다른 계좌로 인출 가능)
나머지 금액은 USD 외화 평가금액 50만 원으로 되어 있을 수 있음
예수금 - 출금 가능 금액 = USD 잔고 남은 금액

D+1, D+2 예수금 이란?

※ 단순히 거래세나 수수료를 넣지 않았습니다.

※ 주식을 팔아도 바로 정산(출금)이 되지 않습니다. 아래를 보시고 이해하셔야 합니다.

주식계좌에 200만 원을 입금하고 100만 원어치 주식을 매수하였으면 예수금은 100만 원이 됩니다.

예시) 200만 원 계좌 - 100만 원 매수 = 100만 원 예수금

다시 100만 원 매수한 주식 중에 부분적으로 50만 원을 매도하면 내 주식 계좌에 총 150만 원의 예수금이 남게 됩니다.

예시)100만 원 계좌 + 50만 원 매도 = 150만 원 예수금

- 위에 설명한 예수금뿐만 아니라 D+1, D+2라고 적혀 있는 것이 있습니다.

- 주식 결제일은 영업일 기준 3일입니다.

- 금일 거래한 결제 대금의 반영은 D+2이기 때문에 D+2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월요일 매매 주식 결제 대금 수요일에 결제됨
목요일 매매 주식 결제 대금 차주 월요일에 결제됨
금요일 매매 주식 결제 대금 차주 화요일에 결제됨
금요일 매매 주식 결제 대금 + 차주 월요일 공휴일일 경우 차주 수요일에 결제됨

주식 계좌에 200만 원을 입금 후 계좌 상태

예수금 : 200만 원

D+1 : 200만 원

D+2 : 200만 원

월요일에 주식 100만 원을 매수했다고 가정 후 계좌 상태

※ 계좌에서 수요일에 매매가 결제되어 출금됨

예수금 : 200만 원

D+1 : 200만 원

D+2 : 100만 원

※ 주식 거래를 할 수 있는 금액과 인출은 D+2가 반영된 100만 원이 됩니다.

D+2 예수금을 기준으로 거래와 인출을 하셔야 합니다.

전체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 단순히 거래세, 수수료, 환율을 넣지 않았습니다.

※ 1달러 = 1000원으로 가정

※ 결론적으로 바로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은 현금 50만 원

※ 밑에 예시에 나머지 달러(USD=300달러)를 인출하려면 달러를 다시 원화로 바꾼 후 환전하면 됩니다.

 주식 계좌에 200만 원 입금
USD 환전(1500달러) = 150만 원
USD 1200 달러 주식 매수 = 120만 원
손익(수익률) -17% = 해외 주식 평가금액이 1000달러 됨 = 100만 원
남아있는 예수금(현금 50만 원 + USD 300달러) = 80만 원
전체 예수금은 80만 원 = 인출 가능 현금 50만 원, 바로 인출 불가능 300달러
총자산 = 주식(평가금액 100만 원) + 예수금(80만 원) = 180만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