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위 두 사진은 2021.12.03 도로주행 시험 당시 촬영했던 안내문임. (인천면허시험장 기준)

1. 우회전은 전방 차량신호 (우회전 신호등이 있는경우 우회전 신호등) 기준으로 한다.

* 당연하지만 좌회전신호는 우회전할때 신경쓰지않는다.

(우회전할때는 직진신호 혹은 우회전 전용 신호등이 있을때는 그걸 우선해서 봐야함)

1-1. 전방 차량 신호등이 적색 등화 (적색 점멸 포함) 일때

(혹은 우회전 신호등이 적색 등화일때)

: 반드시 일시 정지한다.

정지하지 않으면 신호위반으로 실격이다.

출발시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있는지" 확인 후에 출발한다.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한발이라도 걸치고 있을 경우, 보행자 보호위반으로 실격)

1-2. 전방 차량 신호등이 황색 등화 일때

(혹은 우회전 신호등이 황색 등화일때)

: 왠만하면 적색등화처럼 정지 후 이동한다.

적색 등화로 바뀌면 당연히 실격이다. (신호위반)

(그냥 안전빵으로 정지했다가 서행하는게 좋다.)

1-2-1. 전방 차량 신호등이 황색 점멸 일때

: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있는지 확인 후 서행한다.

1-3. 전방 차량 신호가 녹색 등화일 경우

(혹은 우회전 신호등이 녹색 등화일 경우)

: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없는지 보고 없으면 서행한다.

2. 우회전 직후 보이는 횡단보도에서

2-1. 보행자가 없는경우

: 보행자가 오는지 보면서 서행하면서 진행한다.
* 이때, 우회전 직후 보이는 횡단보도의 신호는 신경쓰지 않는다. (신호위반 실격대상 아님)

2-2. 보행자가 건널려는 경우 / 보행자가 건너고 있는경우

: 보행자의 두 발이 "전부 인도에 올라간 경우" 서행하면서 진행한다.

(이때, 보행자의 한 발이라도 횡단보도에 있는데 진행한 경우 보행자 보호위반으로 실격) - 신호위반 실격이 아닌 보행자 보호위반 실격이니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 이때, 우회전 직후 보이는 횡단보도의 신호는 신경쓰지 않는다. (신호위반 실격대상 아님)

* 대각선 횡단보도일 경우

모든 보행자 신호가 한번에 켜지니, 차량 신호를 보고 진행한다.

(이 경우 대각선에도 횡단보도가 있기때문에 정지선 안에 서는게 이롭다.)

3. 우회전 섬 (교통섬) 일 경우

: 기본적으로는 신호등이 없기때문에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없다면" 서행해서 진행한다.

(이때는 전방 차량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단, 우회전 신호등이 따로 있을경우 해당 신호를 기준으로 한다.)

해당 글수정 및 도로주행 관련 궁금한점 있으면 댓글로

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도로주행시험 채점표(채점기준)

#자동차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 #합격점수(커트라인)은 70점입니다. 어떤 항목이 #감점 이 되고 어떤 항목이 #실격 이 되는지 알고 있으면 좋겠죰? 혹여 궁금해하실 여러분들을 위해~ 잠깐만 살펴볼게욤 ^^ 😋

응시생분들께선 끝까지 읽어보시공(피가 되고 살이 되는 지식임ㅋ) 초임 강사(검정원)님들께서도 강습에 참고하세요~

#도로주행시험의시험항목채점기준및합격기준 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26에 나옵니다. 맨아래에 링크를 걸어 둘게욤ㅎ 굵직굵직한 것만 짚고 넘어 가겠슴다~ 먼저 #실격사유 입니다. 3회이상 출발불능,

3회이상 엔진정지(1종), 3회이상 급브레이크

또는 급출발, 신호위반, 보행자보호위반, 어린이.노인.장애인 보호구역 최고속도 초과,

중앙선침범

(조금 밟는 정도는 금지장소진로변경 -7점, 또는 차로유지미숙 -5점 감점에 해당), 안전띠 미착용(주행중 풀려도 실격되므로 확실히 멜 것),

최고속도 10km초과

하여 10M이상 주행할 시, 긴급자동차 미양보, 어린이통학버스 특별보호의무 위반(승하차시 일시정지 안전확인), 코스이탈, 현저한 운전능력 부족.😝

실격사유에 해당하면 그 즉시 시험이 종결(실격)됩니다. 대충 뭔지 아시겠죠? 근데 가장 애매하게 보이는 #현저한운전능력부족?? 이건 대체 뭘까요? 이걸 판단하는 기준은 전적으로 #검정원(감독관)에게 있습니다. 안전거리미확보(주행시 30M이상 안전거리유지)나 사고위험 등의 사유로 사고가 날 것 같다.. 사고를 냈다.. 너무 엉망진창이다.. 통제(지시)에 따르지 않는다.. 와 같은 사유에 해당합니다. 코너를 돌 때 장애물에 부딪칠 것 같아서 조수석에 있던 검정원님이 대신 브레이크를 밟아서 충돌을 피했다고 하면 그게 바로 실격입니다. 😔

😝엉뚱하지만 자주(?)하는 질문🤪

Q. 도로주행시험 제한시간도 있나요?

A.일단 없습니닷. 하지만 규정속도 등을 지키다보면 주행시간이 크게 차이나진 않습니당. (유턴시 마주오는 차가 너무 많거나 하는 등의 사유로 기다리는 시간 등에 있어서 시간제한이 없다는 뜻으로 해석하심 돼욤^^)

Q. 좁은 길이나 커브길에서도 규정속도(최저속도)를 지켜야하나요?

A1. 당근 아닙니다! 학원마다 다른 차량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교통흐름) 너무 낮은 속도로 가면 안 되고 도로에서 최소한 몇km 정도의 속도는 내야 한다고 기준(규정속도)을 정할텐데 이건 차량소통이 원활한(달릴 수 있는 길) 큰 도로에서 속도를 준수하라는 뜻입니닷. 천천히 가야 하는 길(상황)은 당연히 미리부터 속도를 줄여서 가야겠지횸ㅎ

A2. 계속해서 너무 느린 속도로 주행하게 되면 검정원은 속도를 더 낼 것을 지시할 수 있으며 이에 불응하면 지시불이행으로 실격이 될 수도 있으므로 어느정도는 알아서 속도를 내주는 게 좋습니다.ㅠ

Q. 정지하면 중립기어는 무조건 넣어야하나요?

A. 아닙니다. 안전확인 등을 위해서 잠깐(10초 미만) 정지하는 경우에는 넣지 않아도 관계없습니다. 단, 1종은 출발기어(통상 2단)를 반드시 확인!! 또한 중립기어는 차가 완전히 정지한 후 넣어야 합니당.(정지하면서 동시에 중립~ 아닙니닷!)

Q. 담당강사님이 바뀌기도 하는데 왜 그렇죠?

A. 원생과 강사의 스케줄, 픽업 등의 학사일정에 따라 강사를 배정하기 때문에 강사는 바뀔 수 있습니다.(당일 제외) 다만 미리 강사의 지정 및 교체를 관리자께 요청한다면 최대한 맞춰줄 수는 있는데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 기타 궁금한 사항이 있으심 본 포스트에 댓글을 달거나 SNS메신저(페북/인스타)등으로 문의주심 BA로 답변해드릴게요ㅇ ✍

이번엔 #감점사유 입니다. 주차브레이크(사이드)미해제 -10점, 10초내미시동 -7점(1종), 주변교통방해 -7점, 엔진정지 -7점(1종), 신호계속(출발 후 도로 진입 전 좌측 깜빡이를 안 끈 경우) -5점, 시동장치조작미숙(엔진재시동) -5점, 엔진브레이크사용미숙(1종 타력주행) -5점, 제동방법미흡(정지선위반 포함) -5점, 정지때미제동 -5점, 급브레이크1~2회 -7점, 핸들조작미숙 -7점, 1미터간격미유지 -7점, 차로유지미숙 -5점, 진로변경시안전미확인 -10점, 진로변경 또는 좌.우회전(유턴포함)시 30M전 깜빡이를 안 넣은 경우 -7점, 진로변경후 깜빡이를 안 끈 경우 -7점, 진로변경미숙 -7점, 신호등이 없는 교통이 빈번한 교차로에서의 일시정지 위반 -10점, 신호차방해 -7점, 정지중기어미중립 -5점. 대충 실수하기 쉬운 감점사유를 나열해 봤습니다ㅎ; 🤓

보시면 알겠지만 주행중에는 "안전미확인" 이라는 항목이 -10점으로 가장 점수가 큽니다. 차선을 바꿀 때(내 차선이 아닌 다른 차선으로 가는 모든 경우엔 잠깐이라도 살핀다고 보면 돼욥) 반드시 백미러를 살펴야 하고(고개가 살짝 돌아가야 인정됨) 교차로에서는 보통 일시정지해서 좌.우 안전을 살피는 거(고개가 딱~딱 돌아가야 해욤)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

글고 코스(경로)이탈은 실격인데... 이건 너무 집중(공부)을 안 하신 거예요~ 분발하셔야 합니닷!!

좌.우회전 등의 진행방향이 달라지는 분기점에서는 내비의 음성을 듣고 움직이는 게 코스이탈을 방지하는 데 좋습니다. (잘못된 기억을 맹신하고 가다가는 😱) 단, 차선변경은 스스로 기억해야 함.
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4~6월, 9~10월은 방학기간이 아니기에 운전(연습)하기 훨씬 좋답니닷ㅎ 😂

🚙 보령.대천.청양.홍성.천안.평택.수원.서울(수도권)

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제일자동차학원이 좋은 이유(⬆️클릭~)

감점사유 중에서 아마 이해가 잘 안 되는 내용도 있을 거예요. 강사님들께서 알아서 잘 지도해주시겠지만 조금 더 궁금할 수는 있잖아요?ㅎ 굵직한 것만 하나씩 풀어볼테니 참고만 하세욥^.^ 😊

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도로주행시험 합격기준 및 실격사유1
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도로주행시험 합격기준 및 실격사유2

1. 10초내미시동: 시동을 꺼뜨리고 10초 안에 시동을 걸지 못하면(1종에서 발생하죠) 자동 감점.

시동을 꺼트리면 침착하게 기어를 중립에 넣고 바로 시동을 걸거나, 시동을 켜고 출발기어를 새로 넣고 천천~히! 출발.🤜(기어가 잘못 들어간 상태에서 출발하거나 클러치를 빨리 떼면 연거푸 시동이 꺼지기 때문.)🤛

2. 주변교통방해(검정원의 판단): 일명 주방ㅋ 운전미숙 등으로 다른 차량에 불편을 초래한 경우 수동 감점. 예를 들어, 교차로에서 파란 신호로 바꼈음에도 한눈 팔고 있다가 한참을 출발하지 않은 경우 등. (단순히 안전을 위해 천천히 출발하는 건 괜찮고욤ㅎ)

3. 엔진브레이크사용미숙: 주행중(30km이상에서) 클러치를 밟은 채로 5초 이상 지나면 자동 감점. (1종에서 기어 바꾸고 클러치를 떼지 않거나 정지시 너무 일찍 클러치를 밟은 경우)

4. 정지때미제동: 정지한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있지 않은 경우 자동 감점. (3초후 자동감점 되는데 이건 시행규칙에도 안 나오는 고급정보~ㅎ 즉, 발이 아파서 2초 안에 잠깐 브레이크를 뗐다가 얼른 다시 밟고 있으면 감점은 되지 않는다 ^^;)

5. 핸들조작미숙: 저는 걍 핸미 라고 부릅니다만ㅋ 가장 감점 때리기 쉬운 항목입니다. 어디까지가 미숙이고 어디까지가 허용인가? 수동 채점항목이며 모든 수동 채점은 검정원의 판단에 의해 좌우됩니다. 물론 법적 테두리 내에서 검정원의 재량에 따라 달라지죠. 법대로 했는데 감점을 때렸다? 이건 이의제기를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수동채점은 학원마다 조금씩 다르고 검정원님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강사들도 다르게 채점하고는 합니다. 바로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가기 때문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최대한 법규를 준수하여 안전운전을 능숙하게 연습해야 하는 것입니다. 본인이 거의 완벽하게 주행실력을 갖춘다면 감점을 줄 수가 없겠죠.(도로주행은 운도 많이 따라야 하기 때문에 100점이라는 건 사실상 어렵습니다ㅎ;;)

※ 핸들조작미숙에는 한손운전(최소한 다른 손을 핸들에 대고는 있어야 함)이나 양팔교차운전도 포함됩니다.

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도로주행시험 채점기(태블릿PC) 화면

6. 1미터간격미유지: 장애물(주차된 차량, 보행자, 기타 장애물)옆을 너무 가깝게 지나간 경우. (1미터는 문을 열었을 때 부딪치지 않는 정도를 뜻합니다.) 물론 너무 좁은 곳은 가깝게 해서라도 최대한 천천히 지나가야겠지요~

7. 안전미확인: 진로변경이나 교차로에서 백미러 또는 좌.우 고개를 돌려 차가 오는지 안전확인을 하지 않은 경우 수동 감점. 때문에 눈만 돌려서는 안 됩니다. 어느 정도는 고개가 같이 돌아가서 옆에서 안전확인을 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해주어야 합니다. (교차로는 대개 잠깐이라도 멈칫해서 살펴주는 게 좋고, 우회전시 오토바이가 먼저 지나가지는 않는지 살펴주시는 것도 잊지마세요ㅇ)🛵

※ 주행하면서 또는 신호대기나 유턴 대기 등을 위해 기다리는 경우에는 괜히 뒤나 옆을 쳐다보지 않습니다. 뒤차를 보면 웬지 빨리 가야할 것 같고 이유없이 두렵게 되기 때문임당ㅎ(특히 1종은 정지했다가 갈 때 클러치 등의 조작을 천천히 할 것! 빨리 안 간다고 안 때림ㅋ) 시험볼 땐 안전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만 백미러 등 안전을 확인하고 실전에서는 항시 사방을 살피면서 가세욤ㅎ🤭

8. 진로변경후 깜빡이를 안 끈 경우: 진로를 변경했다.. 그럼 깜빡이는 대체 언제 끄는 게 정석인가? 법에서는 뒷바퀴까지 온전히 차선에 들어올 때를 차로변경이 완료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과실상계할 때 기준으로 삼음) 때문에 30미터 전에 깜빡이를 켜고 서서히 차로변경을 해서 차가 모두 차로에 들어오면 바로 끄는 겁니다. (너무 빨리 끄려고 하지 마시고 들어와서 차가 차선이랑 반듯해지면 끄는 게 안전한 핸들링이 됩니닷)

차로변경을 하는 동시에 깜빡이를 끄거나 들어오고나서 한참 있다 끈다면 감점이 되겠고요.. 차로 중간 정도 들어와서 끄거나 들어와서 조금 늦게 끈 어느 정도까지는 허용을 해주실 겁니다. 이게 바로 주관적 판정입니다. 이는 차선변경시 30미터 기준의 허용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자로 재는 게 아니잖아요?ㅎ;) 이걸 뭐라고 할 수 없습니다.ㅠ

9. 신호차방해: 제 신호에 따라 진행하는 차보다 먼저 가려고 하는 등의 방해를 했을 때 수동 감점됩니다. 울 수강생분들께서 일부러 그럴 일은 절대 없고요ㅎ 앞을 잘 보지 못하고 있다가 간혹 신호를 받고 오는(특히 우리차가 우회전할 때 앞에서 좌회전하는 차량)차 앞에 끼어 들 것 같은 실수를 하기도 합니다.

10. 정지중기어미중립: 정지한 상태에서 기어를 중립에 놓지 않고 10초 지나면 자동 감점 (10초 미만으로 잠깐 안전확인 할 때는 중립을 안 넣어도 되니까 좀 여유있게 넣으세욧. 단, 1종은 출발기어인 2단인 상태이어야 함.) 이때 브레이크까지 안 밟고 있었으면 -5점에 -5점 추가. 감점은 발생할 때마다 모두 각각 부여되는 겁니당~

11. 속도가속구간(속도유지구간): 별도의 종료표시나 구간표시가 없다면 지시한 속도를 초과해서 약3초간 유지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15초이내 60km이상 주행하세요"라 한다면 15초안에 60키로를 넘겨서 약3초간 유지하고 다시 원래 속도로 돌아오면 됩니다효 😉 물론 더 낼 수 있으면 제한속도 내에서 더 내는 건 상관엄꼬요~ 5점짜리니까 넘 목숨걸지는 마세횸ㅎ )


👉 PS 1.

30미터전 방향지시등?: 회전이나 차선변경 전 깜빡이를 켜는 건 아시죠? 근데 미리 켜야 합니다. 최소한 30미터 전에 말이죠!! 늦게 켜면 이미 자동감점됩니다요~ 때문에 모든 동작은 깜빡이부터^.^ 그렇다고 너무 일찍 켜셔도 안 되욤. 통상 태블릿채점기 기준, 150미터 전부터 일찍 켜는 건 괜찮지만 300미터 전부터 미리 켜는 건 무리가 있습니다.(빨리갈 땐 150M, 천천히 갈 땐 50M가 적당) 또한 갈림길이 있는 구간에서는 갈림길을 지나고 넣어야 상대 차량들이 헷갈리지 않으니까 너무 일찍 켜진 마세요.


깜빡이를 지금 막 켰다면 당연히 30미터를 진행한 후 진입(최소한 바로 들어가서는 절대 안 됨!!)을 하셔야 30미터 전에 깜빡이를 넣은 게 되는 겁니다. 차가 없다고 해서 깜빡이 켜자마자 들어가면 감점사유에 해당하죠. 단, 앞에 주차차량이나 장애물 등으로 30미터를 진행할 수 없을 때는깜빡이를 먼저 켜고 안전확인 후 바로 들어가도 됩니다.(상식적으로 그렇잖아요?ㅎ;;) 이는 갑작스럽게 공사나 고장차량 등으로 길이 막혔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깜빡이는 반드시 켜야 하지만 이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30미터를 다 지키지 않으셔도 무방하며(30미터는 아니더라도 길이 있다면 조금 가다가 들어가야 합니다. 진입할 도로가 안전하지 않을 때에는 정지했다가 가도 됩니다.(아니 반드시 정지하셔야 하죠^^;) 위험할 때 들어가는 경우는 감점, 실격, 교통사고까지 될 수 있다는 거 잊지마시공~ 차선변경은 교차로나 횡단보도, 실선에서 하면 안 되고 점선에서만 가능합니다. 단, 다급한 경우에는(코스이탈우려 등) 감점을 무릅쓰고서라도 변경하시는 게 현명하겠죠?ㅎ 🤗


또한 차선은 최초 진입시 항상 끝차선으로 들어가야하며 차선변경은 1차로씩(한 칸씩) 하는 게 정석입니다. 다만

최초 진입할 도로가 주차차량이나 공사 등으로 막혀 있는 경우에는

안전확인후 한 번에 2차로(두 칸)를 넘어가도 됩니다. 이런 경우 등에서는 장애물을 피해가기 위해 안전지대선(중앙선, 노란선) 등의 차선을 밟거나 넘어가는 상황이 생길 수 있는데 불가피한 사항(내 탓이 아니잖아요?😆)이므로 당연히 감점되지 않습니다.

👉 PS 2.

신호위반?: 신호위반은 한 번에 실격되는 대표적인 실격사유로 가장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는데... 걍 쉽게 생각하시면 돼욤~ 정지할 수 있는 황색불은 정지하시면 됩니다. 정지할 수 없는 황색불은 정지해야 하는지 그냥 가도 되는지 생각할 겨를도 없습니다. 감이 딱 옵니당ㅎ 정지할 수 있는 황색불(적색은 물론ㅋ)을 정지하지 않는 것이 신호위반이죰. 애매할 때는 급정지(7점 감점)를 해서라도 정지하는 게 옳겠지만(검정원이 신호위반 여부를 판정합니다. 주의하세요~!!) 그건 여러분의 선택입니다.😅

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신호위반은 정지선을 기준으로 하긴 하지만 정지선에 너무 가까울 때는 정지하지 않아도 됩니다. 너무 위험하기 때문이죠. 주행하다가 대체로 위사진의 차량의 위치정도에서 황색불이 들어왔다면 그냥 통과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정지하지 않아도 된다는 거죠.(검정원의 재량에 따라 허용범위는 조금씩 다를 수 있어요ㅇ) 어쨌든 정지할 수 있는 황색불에서는 정지하셔야 합니다.!! 때문에 정상적으로 주행하다가 신호등 근방에서는(약30~50M전) 잠시 액셀을 떼는 것이 좋습니다. 액셀을 떼면 속도가 조금 줄어들고 바로 브레이크를 밟을 수 있기 때문에 정지하기가 수월해집니다. 속도위반을 대비하는 일종의 요령이죵^^* 그렇다고 너무 일찍부터 속도를 줄이진 마세요~ 감점사유가 될 수도 있고 황색불이 언제 바뀔지는 아무도 모른답니닷. 😌

👉 PS 3.

우회전은 아무때나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습니다. 안전을 확인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우회전하기 전 바로 앞에 가로형태로 된 횡단보도의 신호가 청색(즉 보행자신호 때)일 때는 정지해서 적색일 때 우회전이 가능합니다.(횡단보도를 절반이상 지나기 전 보행자신호가 청색으로 바껴도 반드시 정지해야 합니다!) 오른쪽에 있는 횡단보도(세로형태)는 신호와 상관없이 보행자가 없으면 우회전이 가능하고욤ㅎ(단, 보행자 및 보행예상자가 있을시 반드시 일시정지야하므로 시험때는 우회전 직전 잠시 멈추는 걸 추천합니다.)

⚠️ 그냥 편하게 일시정지해서 횡단보도신호랑 보행자 확인한 후 보행자 신호가 청색이거나 보행자가 있다 싶으면 기다렸다 가셤요~ 그게 젤 안전하고 속편합니당ㅋ ★ 또한가지~ 우회전시할 때는 간혹 사각지대가 있는 우측에서 먼저 치고 나가려는 오토바이나 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우측(백미러)도 확인해주셔야 안전합니다.(원칙은 확인하지 않으면 "우측안전미확인" 항목으로 7점 감점.)

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이 부분에 대해서 말씀들이 많으시기도 한데... {대법원 2011.7.28. 선고 2009도8222판결[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공2011하,1862]>종합법률정보 판례}에 따라
앞에 있는 보행자신호가 청색일 때 우회전하면 원칙적으로는 신호위반(또는 보행자보호위반)이 적용되어 실격처리될 수 있습니다.
"내 차신호가 청색일 때는 보통 우측 횡단보도는 청색인 경우가 있고, 차신호가 적색일 때는 바로 앞 횡단보도는 청색인 경우가 많습니다." 앞에 있는 보행자신호가 청색인 경우, 좌측에서 오는 차신호 역시 청색입니다. 따라서 좌측에서 신호를 받고 직진하는 차들이 있기 때문에 함부로 우회전해서는 안 되는 겁니다효~ 😗 또한 법개정으로 인한 우회전 후 바로 나오는 횡단보도 일시정지에 대한 부분은 보행자(보행예상자)에 있을 때만 해당되지만 검정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검정원(전문강사)의 조언을 참조할 것.

※ 참고: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의 일시정지 의무: 보행자 및 보행예상자가 없다면(보행자전용도로 포함) 서행만 하셔도 무방하지만 검정기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검정원의 주의사항을 필히 경청하시옵고~(애매하면 섰다 가세요ㅎ) 어린이보호구역내 횡단보도는 보행자와 상관없이 무조건 정지선 전 일시정지 및 안전확인 후 지나가야 합니다.(법27조 개정 2022.7.12시행) 👧


너무 어려웠나요?ㅜㅜ 그래도 궁금중은 쫌 풀리셨죠?ㅎ 핸들링(핸들조작) 및 차선유지(차선 안 밟고 똑바로 가는 거), 깜빡이, 기어중립 (1종은 클러치조작까지><)만 제대로 하시면 사실 #점수미달 까지 나오기도 힘들어요.ㅎ 아! #30미터전 이라는 게 #얼마큼인지 잘 모르시겠죠? 편도2차선이상의 큰 도로(국도)에 점선 있잖아요? 그거 3칸 정도(2~4개)또는 버스2대 정도의 길이가 30미터라고 생각하시면 돼욤. 아님 깜빡이 켜고 2초쯤 있다가 들어가시면 됩니다. (약 50km의 속도에서 초당 13미터를 이동하니까요~) 😚


태블릿 채점기는 길만 알려 줍니다!

간혹 내비가 시키는 지점에서만 해야 한다고(가령 "좌측도로로 주행하세요"라는 말이 나와야 꼭 깜빡이를 켠다든지.) 잘못 알고 계신 분들이 계시는데 내비가 시키는 건 1.시험을 시작합니다(출발하세요) 2. 몇Km이상 주행하세요(가속) 3. 종료. 이렇게 딱 3가지입니다. 나머지는 내비음성을 참고해서 가는 것일 뿐, 본인이 길을 알고 언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있으면(정확히 모르면 꼭! 소리 듣고 하시공~ 코스이탈의 주범!) 그냥 하면 됩니다. 차선변경시 내비에서 "차선을 변경하세요"라는 등의 별도의 안내가 나오지 않는 이유도 길은 알려주었기 때문입니다. 내비는 길만 알려줍니다.

😸😺😸😺😸😺😸😺😸😺😸😺😸😺😹


자동감점이든 수동감점이든 우리는 최대한 도로주행이라는 시험을 정말 도로주행하는 실력(직접 운전해서 집근처까지는 갈 수 있는)으로 돌파해서 합격해야 합니다. 그게 진짜 합격입니다. (제 목표가 이거예욥ㅎ) 그런 분들만 따로 학원도로연수 안 받고도 초보운전자 되시길 허락하겠습니당ㅎㅎㅎ; 여러분을 응원합니다.합격 꼭 ㅎ ㅏ시고 합격하신 분들께선 꼭 안전운전 ㅎ ㅏ세욤 ^.* 🥰

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 저희 충남제일자동차운전전문학원은 외곽에 위치하여 도로주행코스가 쉽습니다. 가장 어려워하시는 회전교차로도 없지요ㅎ

도로주행 신호위반 기준 - dolojuhaeng sinhowiban gijun

국가법령정보센터

화면 글자크게 글자기본 글자작게 검색영역 마우스 입력기 한글 1 2 3 4 5 6 7 8 9 0 Bksp ㅂ ㅈ ㄷ ㄱ ㅅ ㅛ ㅕ ㅑ ㅐ ㅔ Shift ㅁ ㄴ ㅇ ㄹ ㅎ ㅗ ㅓ ㅏ ㅣ ㅋ ㅌ ㅊ ㅍ ㅠ ㅜ ㅡ 띄어쓰기 검색 ! @ # $ % ^ & *

www.law.go.kr

"모든 강사님들과 마찬가지로 저는 보람과 사명으로 강사업무를 하고 있고, 이렇게 학원을 알린다고 하여 제게 사적이득은 없습니다. 소속한 기관이 발전해야 직원도 발전하기에 나섰고, 이는 그만큼 수강생 여러분께도 성심을 기울이겠다는 뜻입니다." 🤭
📮페북/인스타 검색: {강사재희}

Figh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