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 축척 보는 법 - domyeon chugcheog boneun beob

건축도면보기 - 스케일(자)보는법

도면 축척 보는 법 - domyeon chugcheog boneun beob

도면 축척 보는 법 - domyeon chugcheog boneun beob

1. 스케일자 활용법
스케일
- 실제의 모양을 도면으로 작성할때, 크기를 줄이거나 늘릴때 사용
- 미리 계산을 하여 눈금을 그려 놓은것
- 주로 삼각스케일로 사용
- 1면에 2개씩 6개의 축척이 ㄱ려져 있음
- 스케일에 쓰여진 숫자는 길이 미티(M)로 1M는 1,000mm
2. 1/100 스케일 보기
- 1/100 -> 1M에 눈금이 10칸, 즉 한 칸은 100mm
 1) 400mm, 2) 2,600mm, 3) 5,600mm, 4)7,400mm , 5)10,200mm
- 1/1 -> 눈금 한칸은 1mm, 즉 숫자는 10mm인 1cm
 1)4mm, 2) 26mm, 3)56mm, 4)74mm, 5)102mm

도면 축척 보는 법 - domyeon chugcheog boneun beob

도면 축척 보는 법 - domyeon chugcheog boneun beob

3. 1/200 스케일 보기
- 1/200 -> 1M에 눈금이 10칸, 즉 한 칸은 100mm
 1)300mm, 2)1,900mm, 3) 4,800mm, 4) 7,500mm, 5)11,200mm
- 1/2 -> 숫자가 10mm가 되므로 눈금 한칸은 1mm
 1)3mm, 2) 19mm, 3)48mm, 4)75mm, 5)112mm

도면 축척 보는 법 - domyeon chugcheog boneun beob

4. 1/300 스케일보기
 - 1/300 -> 1M에 눈금이 5칸, 즉 한 칸은 200mm
 1)1,000mm, 2) 4,800mm, 3)10,200mm, 4)15,000mm, 5)20,400mm
 - 1/3 -> 숫자가 10mm가 되므로 눈금 한칸은 2mm
 1)10mm, 2)48mm, 3)102mm, 4)150mm, 5)204mm 

도면 축척 보는 법 - domyeon chugcheog boneun beob

5. 1/400 스케일보기
 - 1/400 -> 1M에 눈금이 5칸, 즉 한 칸은 200mm
 1)1,400mm, 2)6,000mm, 3)11,000mm , 4) 15,000mm, 5)20,200mm
- 1/4 -> 숫자가 10mm가 되므로 눈금 한 칸은 2mm
 1)14mm, 2)60mm, 3)110mm, 4)150mm, 5)202mm

도면 축척 보는 법 - domyeon chugcheog boneun beob

6. 1/500 스케일 보기
- 1/500 -> 1M에 눈금이 5칸, 즉 한칸은 200mm
 1) 1,400mm , 2)4,400, 3)9,000, 4)14,000mm, 5)16,200mm
- 1/5 -> 숫자가 10mm가 되므로 눈금 한 칸은 2mm
1) 14mm, 2)44mm ,3)90mm, 4)140mm, 5)162mm

도면 축척 보는 법 - domyeon chugcheog boneun beob

7. 1/600 스케일보기
 - 1/600 -> 1M에 눈금이 2칸, 즉 한칸은 500mm
 1) 3,000mm, 2)10,000mm, 3)18,500mm, 4)28,500mm, 5)39,500mm
- 1/6 -> 숫자가 10mm가 되므로 눈금 한칸은 5mm
1) 30mm, 2)100mm, 3)185mm, 4)285mm, 5)395mm

도면상에서 자신이 할 해당 분야를 뽑아서 보고 이해하고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 보는 법의 첫 단계>

  • 스케일(축척)개념 : 일정한 비율로 축소 또는 확대되어 표현되었다는 표시이다.

  • 축척의 종류 : 배척, 실척, 축척 3가지가 있다.

 배 척

 실제의 물체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 (2:1, 2/1)등으로 앞의 숫자나 분모를 크게 표시

 실 척

 실제의 크기로 표시하는 것 (1:1, 1/1)등으로 앞의 숫자나 분모를 모두 동일하게 표시

 축 척

 일정한 비례에 따라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 (1:2, 1/2)등로 뒤의 숫자나 분모를 크게 표시

*

실제 10,000으로 표시된 치수가 있다면, 실제 10,000mm다. 이것은 10m에 해당한다.

이것은 10m인 실제크기를 1/100으로 축소한다는 것은 100배 줄인다는 의미다.

10m를 100배 축소를 하면 10cm가 되면, 이것을 200배 축소를 하면 5cm에 해당한다.

기억해두기!! ^^;;

1/100으로 표현된 경우 1/100 스케일 자에서 10눈금에 해당

1/200으로 표현된 경우 1/200 스케일 자에서 10눈금에 해당

1/300으로 표현된 경우 1/300 스케일 자에서 10눈금에 해당

1/400으로 표현된 경우 1/400 스케일 자에서 10눈금에 해당

*

아무런 숫자도 쓰여져 있지 않는 경우 직접 스케일을 바 스케일(막대 축척표시)에 대고 확인해야한다.

어느정도 수준이 되면 도면만 보아도 그것이 1:100인지 다른 축척인지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도면 축척 보는 법 - domyeon chugcheog boneun beob

*

일반적으로 축척은 상세도의 경우 1:30, 1:50을 주로 사용하며, 주택의 경우 1:100, 1:200을 주로 사용하고,

규모가 큰 건물의 경우, 1:500 혹은 1:600의 경우도 사용한다.

기계제도의 경우 작은 기계 부품이어서 거의 실척이었습니다. 시공까지 이어지는 플랜트의 경우엔 축척을 사용해 그리는데 한 도면 파일당 관계된 도면을 수십장 나열해 저장하게 됩니다. 도면 크기가 각기 다 다른 상태로 그려져 있어요. 저는 그 축척이란 개념이 정확하지가 않아서 혼란스러웠습니다. SC를 마음대로 조정하려고 했기 때문이예요. 축척을 해서 그린 다음 빈 프레임을 거기에 맞춰 옮겼구나 하는 걸 하다보니 그냥 이해하기는 했지만, 설명하기는 어려웠습니다. 오늘 이해한걸 잊지 말아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