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 엑셀을 이용한 근속연수 계산 / 회사 다닌 기간 계산방법 #

1. 오늘까지의 근무기간을 알고싶다

=DATEDIF(F6,TODAY()+1,"Y")&"년 "&DATEDIF(F6,TODAY()+1,"YM")& "개월 "&DATEDIF(F6,TODAY()+1,"MD")& "일"

이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ex) 2012년 3월 1일 부터 지금까지 다닌 기간은 6년 4개월 19일째 !!

--------------------------------------------------------------------------------

2. 특정 날짜까지 다닌 근무기간을 알고싶다.

=DATEDIF(F6,H6+1,"Y")&"년 "&DATEDIF(F6,H6+1,"YM")& "개월 "&DATEDIF(F6,H6+1,"MD")& "일"

이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2012년 3월 1일 부터        2018년 7월 31일 까지 다닌 기간은 6년 5개월 0일 !!

아주 쉽죠?

첨부해놓은 파일로 날짜만 바꿔서 사용하세요 ~!

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엑셀 근속연수 계산.xlsx

오늘은 DATEDIF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ATEDIF 함수는 사실 도움말에도 없는 함수입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엑셀에서 보통 함수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는데,

DATEDIF 함수는 아무런 설명이 없습니다.

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도움말을 보라고하고 아무런 설명이 없죠?

함수 입력할때 =DATEDIF라고 입력할 때도 자동완성이 되질 않습니다.

엑셀을 좀 한다고 하는 분들만 아는 함수라고 할 수 있겠네요.

DATEDIF 함수는 날짜와 날짜 사이의 간격을 구할 때 쓰는 굉장히 유용한 함수입니다.

다음 빨강 셀에 날짜를 입력하면 빨강 셀의 날짜부터 오늘까지의 간격을 년, 월, 일 단위로 각각 구해보겠습니다.

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1997년 3월 20일을 기준으로 오늘 날짜 기준(2021년 1월 10일)까지 년으로 하면 23년, 월은 285개월, 일은 8,697일로 구할 수 있습니다.

=DATEDIF(시작일, 종료일, "단위") 형식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여기서 단위는 문자이기 때문에 ""로 묶어야 하고, Y 년, M은 월, D는 일을 의미합니다.

또 다른 단위로 YM과 MD가 있습니다. 아래 예제를 통해서 보겠습니다.

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YM은 년을 빼고 월만 구합니다. MD는 월까지 빼고 일자 사이의 간격만 구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만약에 두 날짜 사이의 간격이 36년 8개월 27일이라면 그냥 M을 사용했을 때는 440개월로 결과가 나타나 지면 YM을 쓰면 8개월로만 나타납니다. 그리고 D는 13421일로 나타나지만 MD를 쓰면 27일로 나타나게 됩니다.

DATEDIF 함수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근속기간을 구할 때 입니다.

실제 일한 일수인 workday를 구하는 함수인거죠.

직장인 엑셀러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겠죠?

아래 표에서 입사일과 퇴사일을 이용해서 근속기간을 각각 년, 월, 일로 구분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이해를 돕기위해 영상으로 보여드리고 마치겠습니다.

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계신 엑셀에서 근속연수 날짜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사를 다니다 보면 내가 회사에 언제 들어왔는지, 근무는 얼마 동안 해왔는지 개인적으로 궁금할 때가 많은데요. 이때 엑셀을 이용해서 계산을 한다면 다른 방법보다 쉽게 근속연수를 계산할 수 있으니 오늘 포스팅을 보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응용을 한다면 근속연수뿐만 아니라 기타 날짜 계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니 집중해주세요.

DATEIF 함수를 이용

엑셀에서 근속연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DATEIF'함수를 활용하면 됩니다. 정확히는 날짜와 날짜사이의 간격, 즉 며칠이 지났는지 확인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DATEIF(시작 날짜, 종료 날짜, "지정 단위")로 수식이 이루어지는데요, 이때 지정 단위에 대해서 먼저 잠시 설명을 해드리고 예시를 통해 쉽게 설명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정 단위 종류

지정 단위에는 'Y' / 'M' / 'D' / 'YM' / 'YD' / 'MD' 이런 정류가 있습니다. 각각의 단위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단위
Y 시작일과 종료일 간의 연도차이
M 시작일과 종료일 간의 개월차이
D 시작일과 종료일 간의 날짜(일) 차이
YM 시작일과 종료일 간의 기간 중 연도를 제외한 개월 차이
YD 시작일과 종료일 간의 기간 중 연도를 제외한 일수 차이 
MD 시;작일과 종료일 간의 기간 중 연도와 월을 제외한 일수 차이

사실상 Y,M,D가 많이 쓰이는 기능이며, YM, YD, MD는 지정 단위로 크게 사용될 일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D가 많이 쓰일 것이며 지정 단위를 입력할 때에는 반드시 " " 안에 지정 단위를 입력하셔야 합니다.

근속연수 구하기 응용

가장 쉽게 이해하기 쉬운 방법은 예시입니다. 응용 예시를 통해 참고를 해보세요.

먼저 사원명을 입력하고 각각의 입사일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필요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앞서 입사일과 퇴사일은 C4, D4 탭에 입력을 해둔 상황입니다. 일한 일수는 =DATEDIF 함수를 이용해 =DATEIF(입사일C4, 퇴사일 D4, 지정 단위 날짜 "D"를 입력하게 되면 간단하게 일한 날짜를 계산해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마찬가지로 근무 연수 또한 데이트 이프 함수를 사용하며 일한 일수와 다른 점은 마지막에 지정단위가 연수를 가리키는 "Y"를 입력하게 되면 근속 연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엑셀 근무기간 계산 - egsel geunmugigan gyesan

마지막으로 일한 개월의 경우에는 앞서 사용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을 하며 마지막에 지정단위를 개월 수를 뜻하는 "M"을 입력하면 근속 개월 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방법을 알기전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이 많으셨을 텐데 막상 알고 나면 너무나 간단한 방법으로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꼭 회사에서 근무한 날짜를 계산하는 것 외에도 날짜 계산을 할 때 여러분야에서 응용을 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시고 많은 분들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