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수익률 계산 공식 - jusig su-iglyul gyesan gongsig

주식 수익률 계산할 때 증권사 수수료와 증권거래세를 고려해야 제대로 된 손익을 알 수 있습니다. 주식 수익률 계산기는 수수료와 세금을 고려한 주식 매도 손익과 주식 수익률을 계산합니다.

실제 매도 결과를 확인해 보는 용도로도 쓸 수 있고, 지금 매도한다면 주식 수익은 어떻게 될 것인가를 가늠해 보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 번의 매수를 한 경우에 평균 매수 단가를 구해야 한다면 평단가 계산기를 이용하세요.


주식 수익률 계산 공식 - jusig su-iglyul gyesan gongsig

목차:

주식 수익률 계산기 입력 내용 설명

주식 수익률 계산을 위해서는 5가지가 필요합니다.

  1. 매수 단가: 주식 매입시 1주당 주가
  2. 매도 단가: 주식 매도시 1주당 주가
  3. 매도 수량: 매도한 수량
  4. 증권사 매매 수수료: 가입한 증권사에서 부과하는 주식 매입·매도시 부과하는 수수료
  5. 증권거래세: 주식 매도시 부과되는 세금

증권사 매매 수수료가 없는 경우에는 빈칸으로 놔두면 됩니다. 증권거래세는 0.23%가 기본으로 입력되어 있습니다. 코넥스 주식을 매도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입력된 0.23% 그대로 놔두면 됩니다.

2021년 현재 증권거래세 및 농어촌특별세

코스피 주식을 매도할 경우 증권거래세는 0.08% 이지만, 여기에 농어촌특별세가 추가 되기 때문에 총 세율은 0.23% 입니다. 코스닥 주식과 K-OTC 주식에 대해서는 농어촌특별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0.23%의 증권거래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코스피 주식을 매도할 때 부과되는 세율과 같습니다.

코넥스 주식을 매도 하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0.1%의 증권거래세가 부과 되고 있습니다.

증권거래세 세율은 점차 줄어들 예정인데요, 2021년 현재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목증권거래세농어촌특별세총 세율
코스피 0.08% 0.15% 0.23%
코스닥 0.23% 0.23%
코넥스 0.10% 0.10%
K-OTC 0.23% 0.23%

주식 수익률 계산기 결과 설명

주식 수익률 계산에 필요한 5가지를 각각의 칸에 입력하면 다음의 내용을 계산하여 표시합니다.

  • 매수 금액: 매수 단가에 매도 수량을 곱한 금액, 매매 손익과 주식 수익률 계산이 목적이기 때문에 매도한 수량에 대한 매수 금액만 계산합니다.
  • 매수 수수료: 매수 금액에 대한 증권사 수수료.
  • 순 매수 금액: 매수 금액에서 매수 수수료를 뺀 금액.
  • 매도 금액: 매도 단가에 매도 수량을 곱한 금액.
  • 매도 수수료: 매도 금액에 대해 증권사에서 부과하는 수수료.
  • 세금: 매도 금액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코스피 주식은 증권거래세+농어촌특별세, 다른 주식은 증권거래세.
  • 순 매도 금액: 매도 금액 – 매도 수수료 – 증권거래세
  • BEP 매도 단가: 매수 수수료, 매도 수수료, 세금을 고려할 때 손익이 제로(0)가 되는 매도 단가. (반올림 차이로 인해 제로에 가장 가까우면서 손실이 나지 않는 단가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 매도 손익: 순 매도 금액 – 순 매수 금액
  • 주식 수익률: 매도 손익을 매수 금액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퍼센트.

계산된 수수료, 세금, 매도 손익, 주식 수익률은 소수점 이하 반올림으로 인해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수익률 계산기를 통해 계산한 수익률은 ROI(Returan on Investment) 개념의 수익률입니다. 간단하게 말해 수익을 투자 금액으로 나눈 개념입니다. 그런데 때로는 다른 수익률을 계산해 볼 필요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 년간 보유한 주식을 지금 매도 한다면 매년 연 평균 수익률은 얼마가 될 것인가를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연 평균 수익률 계산은 다른 주식과의 비교를 위해 특히 필요합니다.

간단한 연 평균 수익률 계산은 cagr(연 평균 수익률) 계산기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수익률 계산 공식 - jusig su-iglyul gyesan gongsig

수익률.. 주식에서 수익률은 성공률 만큼이나 중요하다. 아니 중요하다라기보다는 민감하다고 표현해야할까.

다른 블로그들 보면 수익률을 체크하는 방법들이 여러가지 제시되어 있지만, 개인적으로 나는 엑셀을 이용한 수익률 계산법이 더 편하게 느껴진다.

내가 사용하는 주식 수익률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주식 수익률 공식

수익률(%) = ((현재 주식 가격/변화하기 전 주식가격)-1)*100

엑셀에 변화하기 전 주식가격과 현재 주식 가격을 입력하기만 하면, 내가 보고자 하는 수익률을 체크할 수가 있다.

조금 더 간단한 공식이 있을 수도 있는데, 개인적으로 난 이게 더 편한 것같다.

예를 들어, 주식 종목 에이디칩스가 2016년 12월 24일에 2,895원의 가격으로 종료가 되었다. 만약 이 주식종목이 2,940원으로 가격이 상승했다면, 위의 주식 수익률 공식에 의해 +1.55%로 계산된다.

주식 수익률 계산 공식 - jusig su-iglyul gyesan gongsig

((2940/2895)-1)*100 = 1.55

이러한 공식은 각 개별 주식의 수익률을 체크할 때 사용될 수도 있고, 일반 증감률(%)을 구할 때에도 요긴하게 쓰인다.

퍼센트 계산법 공식과 간단한 예제입니다.

일부값 ÷ 전체값 X 100
예제) 300에서 105는 몇퍼센트?
답: 35%


전체값의 몇 퍼센트는 얼마? 계산법 공식
전체값 X 퍼센트 ÷ 100
예제) 300의 35퍼센트는 얼마?
답) 105


숫자를 몇 퍼센트 증가시키는 공식
숫자 X (1 + 퍼센트 ÷ 100)
예제) 1548을 66퍼센트 증가하면?
답) 2569.68


숫자를 몇 퍼센트 감소하는 공식
숫자 X (1 - 퍼센트 ÷ 100)
예제) 1548을 66퍼센트 감소하면?
답) 526.32​

----------------------------

주식 수익률 계산 방법

-----------------------------

예를 들어 1만원 짜리 주식을 1천만원치 샀을때 수익률이 4.8%라면??
(1만원 짜리 1천주)

 ---------------------------------------------------------------------

 1천만원 어치 샀는데 4.8% 올랐으면 48만원 수익을 보셨네요?

 이 48만원에서 매수 수수료 제하고 매도수수료와 세금(0.3)제하면 됩니다.

 진입총액: 매수 주식수 * 그 시점주가
현재총액: 매수 주식수 * 현재 주가

 수익률 = (현재총액 - 진입 총액)/ 진입 총액

 따라서

 수익금 = 수익률 * 진입 총액

 실질 수익금 = 수익금 - ( 매수수수료+매도수수료+세금)

 -------------------------------------------------------------------
※ 매수 수수료 = 0.025%
※ 매도 수수료 = 0.025%
※ 세금 = 0.3%

 수익률 = (10,480,000 - 10,000,000)/10,000,000 = 0.048 = 4.8%
수익금 = 0.048 * 10,000,000 = 480,000
실질 수익금 = 480,000 - ( (10,000,000 * 0.00025) + (10,480,000 * 0.00025 ) + (10,480,000 * 0.003)
= 480,000 - (2,500 + 2,620 + 31,440 )
= 480,000 - 36,560
= 443,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