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 버닝 의상 교환권 - haipeo beoning uisang gyohwangwon

다른 버닝 이벤트처럼 버닝 최종 레벨인 250레벨까지 도달하면 추가 레벨 상승 효과는 없다. 다시 말해 하이퍼 버닝을 적용 중인 캐릭터가 249레벨에서 레벨 업을 하게 되면 252레벨이 되는 것이 아니고 250레벨이 된다.[15][16]

  • 테라 버닝 부스터처럼 기존 캐릭터에도 하이퍼 버닝을 지정할 수 있지만, 아래의 두 가지를 유의해야 한다.

    • 캐릭터의 레벨이 202+3n[17] 레벨이어야 한다.
      위 레벨에 맞아야만 최단 구간으로 250레벨에 도달할 수 있다. 만약 레벨 계산이 어긋나면 248, 249레벨에서 멈추게 되는데 이 구간에서 레벨을 올리면 1+2 버닝 혜택을 완전히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상을 살짝 포기하더라도 하이퍼 버닝 혜택을 제대로 받을 수 있는 레벨인지 먼저 확인하고 하이퍼 버닝으로 지정해야 한다.

    • 이미 달성한 레벨의 보상은 획득할 수 없다.
      레벨 달성 보상은 하이퍼 버닝이 적용된 상태로 해당 레벨을 달성해야만 받을 수 있기에 지정된 캐릭터의 레벨 이하의 보상은 일절 획득할 수 없다. 예로 220레벨에서 지정했다면, 220레벨까지의 하이퍼 버닝 보상을 획득할 수 없게 된다.

  • 전술한 대로 10레벨이나 202+3n에 하이퍼 버닝을 적용했다면 소멸의 여로에 202레벨에 도착하고, 여기서 1번만 레벨 업을 해도 205레벨이 되어 리버스 시티에 도착한다. 5차 전직을 하면서 경험치를 대량으로 퍼주기 때문에, 202레벨에서 205레벨로의 레벨 업은 상당히 쉽다. 가능하다면 리버스 시티의 스토리를 다 읽은 다음 소멸의 여로 일일퀘스트를 받아주면 좋다.

  • 아케인심볼은 교환권 형태로 지급되지 않아 다른 캐릭터에서 추출한 심볼을 옮길 생각이라면, 불안정한 아케인심볼을 먼저 활성화시킨 다음에 하이퍼 버닝 보상을 받아야 한다. 반대로 하면 불안정한 아케인심볼을 활성화시킬 수 없다.

4.1. 버닝 월드에서[편집]

  • 기존 극한돌파+테라 버닝과 다르게, 아케인심볼 7레벨[18]을 기본으로 지급한다. 따라서 길뚫만 하면 7레벨 심볼이 제공하는 아케인포스 + 각 심볼당 900의 주스탯이 주어지기 때문에 길뚫을 마치더라도 바로 해당 지역 사냥이 가능할 만큼 육성이 제법 편해졌다. 이것 덕분에 버닝 서버에서도 노멀 스우와 데미안을 레벨링만 한다면 매우 쉽게 잡을 수 있고, 에픽둘둘을 제대로 해준다면 이지 루시드와 노멀 가디언 엔젤 슬라임도 파티격으로 무리없이 잡을 수 있게 된다.

  • 초반 길드 활동 또한 상당히 중요하다. 매일 기여도 5000을 빠르게 쌓아 길드 25레벨을 만들면 아케인포스 +30을 얻을 수 있는데, 이걸 통해 이지 윌도 포스뻥을 받아볼 여력이 생긴다. 버닝 서버이니만큼 부족한 게 사람이다. 또한 G포션 + 길축 혜택을 포함해 강력한 노블레스 스킬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길드는 초반에 무조건 들어가는 것이 좋다. 기여도 보스와 지하 수로를 꾸준히 치면 노블레스 스킬도 얻고 사랑받는 길드원이 될 수 있다.

  • 버닝 서버 중반부부터 길드 레벨이 오르며 길드 자체의 수용 가능 인원이 증가한다. 길드원을 구한다는 고확이 범람하는 것도 이 때. 길드의 스펙적 비전이 안 보인다면 양해를 구하고 길드를 탈퇴하거나 길드 자체를 해체하는 방법도 언제든지 고려 가능하다. 다만 모두가 이 방법을 사용한다면 상대경쟁인 수로에서 노블레스 포인트를 받는 길드가 적어지므로, 메가버닝만 하는 부캐 수용소 길드도 하나쯤 만들어두고 수로를 치게 하자.

  • 이그니션 블레이즈 같은 선택형 월드 공유 스탯 버프가 있을 때, 웬만하면 아케인 포스를 찍어서 손해볼 일이 없다. 당장 사냥을 원활히 풀어주기도 하고, 이지 루시드와 이지 윌의 포스 데미지 증폭을 쉽게 해준다.

  • PC방 아케인셰이드 무기를 얻어둔 것이 아니라면 220레벨 달성 보상으로 받는 앱솔랩스 무기 / 도미네이터 선택 상자에서는 반드시 앱솔랩스 무기를 받는 것을 권장한다. PC방 도미네이터 펜던트를 유용하게 쓰려면 무기를 PC방 앱솔랩스보다 더 좋은 걸 맞춰야 이득인 상황인데, 버닝 서버 초창기는 모두가 맨땅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노작 파프니르 무기를 구하는 것부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 앱솔랩스 무기를 구하는 것은 더더욱 어렵다. 또한 무기의 자체 옵션과 보스 공격 시 데미지 증가, 크리티컬 확률 증가와 같은 잠재능력은 육성에서 매우 유용한 옵션이기 때문에 가치가 높다.

4.2. 직업 추천[편집]

신규 유저나 복귀 유저라면 본인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을 고르는 것이 좋다. 특히 신규 유저라면 하이퍼 버닝으로 육성한 캐릭터가 자신의 본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링크와 유니온은 고려하지 말고 순수하게 본인이 흥미를 느낀 직업을 정해서 육성하는 것을 추천.

즉 이 밑의 추천 목록은 메이플에 어느 정도 정착해서 본캐를 어느정도 육성해 놓은 유저들에게 추천하는 목록이다.

4.2.1. 유니온 공격대원 중점[편집]

이하는 유니온 용도로 250까지 부캐를 키우려는 유저들을 위한 직업 추천 리스트다. 250레벨을 달성하면 유니온 캐릭터 등급이 SS에서 SSS로 1단계 상승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크뎀의 은월, 사냥 경험치의 제로, 마법사 기준으로 버프 지속시간을 늘려주는 메카닉과 같이 유니온 공격대원 효과가 우수한 직업들을 육성하는 것이 효율이 좋다. 다만 아무리 하이퍼 버닝이라 할지라도 250이라는 레벨은 쉽게 달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니온 효과를 위하여 직업을 고르는 것도 좋지만, 상기에 언급한 것처럼 본인이 해보고 싶었던 직업을 하는 것도 좋다.

  • 나이트로드[궁수]: 250레벨 기준 크리티컬 확률을 5% 올려준다. 200레벨 효과와 1%p 밖에 증가량 차이가 없기에 다른 직업군에는 미미한 변화지만, 크리티컬 리인포스를 보유한 궁수 직업군은 나름대로 가치가 있다.

  • 다크나이트[데벤]: 250레벨 기준 최대 HP를 6% 올려준다. 미하일이나 소울마스터도 HP를 올려주긴 하지만 이쪽은 %가 아닌 수치로 올라 스탯 상승이 크지 않다. 단순 계산 시, HP가 41667보다 높다면 저 둘보다 다크나이트의 증가량이 더 높다.

  • 메르세데스: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을 6% 줄여준다. 단, 1초 미만으로는 떨어지지 않는다.

  • 메카닉: 250레벨 기준 버프 지속 시간을 25% 올려준다. 버프 지속 시간 확보가 1순위인 직업이라면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단 제대로 자본을 투자하지 않으면 육성이 매우 까다로운 직업이라는 것이 단점이다.
    외부지역 공격대원 점령 효과 칸수로 치환 가능한 직업군 중에서는 치환되는 칸수가 SS에서 SSS까지의 5칸으로 가장 효율이 높은 편에 속한다. 특히 버프 지속 시간 효과가 필요한 직업군 입장에서는 외부 점령 지역 중 유효 구역이 무려 4구역이기에 점령 칸 수가 만성적으로 부족하단 점을 고려하면 단순 스펙업 효율로는 은월보다도 더 효율적일 수 있다.

  • 신궁[궁수]: 250레벨 기준 크리티컬 확률을 5% 올려준다. 200레벨 효과와 1%p 밖에 증가량 차이가 없기에 다른 직업군에는 미미한 변화지만, 크리티컬 리인포스를 보유한 궁수 직업군은 나름대로 가치가 있다.

  • 와일드헌터: 250레벨 기준 공격 시 20% 확률로 데미지를 20% 올려준다. 평균적으로 4%가 증가한다고 보면 된다.

  • 은월: 250레벨 기준 크리티컬 데미지를 6% 올려준다. 크뎀의 경우 수급처가 매우 제한되어 있어 우선순위가 매우 높다.[22]
    특히나 패치 이후 폭류권에 일반 몬스터 추가데미지도 매우 크게 붙어서 사냥터 원킬컷도 상당히 낮은 편이다. 즉, SSS까지의 육성 고려 시, 범용성이 매우 높은 고효율의 성능을 받을 수 있으면서도 육성 난이도가 상당히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SSS랭크까지 육성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직업군이다.

  • 제로: 250레벨 기준 경험치를 12% 올려준다. 하지만 200레벨까지 키운 다음 버닝 지정이 가능하기에 육성 난이도가 가장 높다. 게다가 사냥 시 공속 높은 알파를 기준으로 했을 때 원킬이 가능한 캐릭터가 아니다보니 사냥 피로도가 매우매우 높다. 베타는 공속이 느려서 엘몹 아니면 사냥하는 게 힘들기에 무조건 알파로 사냥해야 한다. 위 단점들로 인해 버닝 월드에서 하이퍼 버닝으로 육성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캡틴[아니마]: 250레벨 기준 소환수 지속 시간을 12% 늘려준다. 라라는 소환수 지속 시간 2%p당 용맥 분출 스킬의 데미지가 1%씩 증가한다. 다만 용맥 분출에만 적용되므로 보스데미지 1% 증가보다 효율이 떨어지므로 250 우선순위에서는 밀려난다. 호영의 경우, 추적 귀화부와 흡성와류의 지속시간이 늘어나[24] 무한 유지 난도가 한결 낮아진다.

4.2.2. 순수 육성 중점[편집]

이하는 링크나 유니온 등의 필요가 적을 때, 사냥 능력을 보고 키우기 좋은 직업의 예시다. 가성비 측면을 고려하므로, 투사체 원킬 섀도어나 엔버처럼 고스펙이 반강제되는 직업은 해당 목록에서 제외한다.

  • 나이트워커: 투사체 직업 중에서는 원킬컷이 낮고, 메커니즘도 단순한데다 3킬 스펙으로도 사냥 효율도 좋아서 속칭 '뇌빼기'용으로 좋다.

  • 바이퍼: 슈퍼 점프에 익숙하고 서펜트 스크류 1틱컷을 갖췄다면, 사방팔방으로 뛰어다니기만 해도 금방 레벨이 오른다.

  • 키네시스: 싸이킥 불릿의 원킬컷이 압도적으로 낮고, 고질적인 약점이었던 기동성도 해결된 이후라 육성 난이도가 쉽다. 물론 링크 스킬의 크뎀 4%도 쏠쏠하다.

5. 역사[편집]

5.1. IGNITION[편집]

이벤트 기간: 2022년 6월 30일 ~ 2022년 9월 7일

테스트 서버 첫 공개 당시에는 분명 테라 버닝의 상위 이벤트임에도 불구하고 보상은 각 지역의 5레벨 심볼을 지급하는 것을 제외하면 기존 테라 버닝 레벨 업 달성 보상을 250으로 쪼개서 길게 늘여뜨려 놓은 것이나 다름이 없는 데다, 작년 테라 버닝 보상에 포함되었던 PC방 장비 아이템들인 일명 '피앱'과 '피도미'가 이번 하이퍼 버닝에서는 보상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았었다. 250이라는 레벨 범위를 고려한다면 사실상 기존 테라 버닝보다 보상이 더 처참한 상태였던 것.

보상 공개 전까지 대부분의 유저들은 기간제 카루타까지는 굳이 논하지도 않았고, 피앱은 기본에 피케인을 주냐 마냐, 준다면 영구냐 기간제냐를 두고 논쟁을 벌이던 상황이었다. 즉 250까지 달리려면 그 정도의 보상은 필요하다는 입장이 모든 유저들 사이의 공감대였던 것인데, 실제로 공개된 보상 리스트는 그동안 벌였던 유저들 간의 논쟁이 무안할 정도로 매우 처참한 상태인지라 커뮤니티를 막론하고 반발이 매우 거셌다. 피케인은 가불가 여부가 여론이 갈렸지만, 설마 피앱조차 주지 않을 거라고 예상한 유저들은 전무했던 것. 기존 테라 버닝과 테섭 하이퍼 버닝 보상 비교

결국 테섭 공개 다음 날인 2022년 6월 24일, 운영진은 하이퍼 버닝으로 지급받는 코어 젬스톤의 총 개수를 기존 90개에서 200개로 늘렸으며, 가장 말이 많았던 PC방 앱솔랩스 무기 / 도미네이터 펜던트 선택 상자는 220레벨 보상으로 지급받을 수 있게 변경했다. 거기에 길게 늘여뜨려 놓았던 레벨에 따른 보상 리스트도 수정되어 경코젬과 지역별 5레벨 심볼, 하이퍼 버닝 의상을 제외하면 기존 테라 버닝과 동일해졌다.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되었는지 강원기 디렉터가 당일 오후 4시에 직접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으며, 약 20분간 하이퍼 버닝을 포함한 테섭 패치와 그 의도에 대해 설명하고 시청자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강원기 디렉터의 설명에 따르면 운영진 측은 '심볼 5렙'이 가지는 가치가 매우 크다고 판단했으며, 테라 버닝에 피앱이 들어갔던 것은 어디까지나 임시 보상에 가까웠는데 이 점이 유저들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않았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25]

또한 강원기 디렉터는 테스트 서버는 어디까지나 테스트로 운영되기에 업데이트가 되는 본 서버와는 다르다는 취지도 설명을 했다. 적절한 보상이 어느 정도인지 유저들의 여론을 알 수 없기에 본 서버에는 세부 내역이 달라질 수 있는데 테섭에서 좋게 내놓았다가 나쁘게 내놓으면 여론의 뭇매를 맞기 때문에 테스트 서버에는 다소 낮춰서 내놓는 경향이 있다고도 언급했다. 그래야 변경이 필요하더라도 더 좋게 내놓기 편하기 때문. 하지만 테스트 서버라고는 해도 이번에는 그 정도가 심했기에 유저들이 분노했다는 것에는 사과했다.

5.2. SAVIOR[편집]

이벤트 기간: 2022년 12월 22일 ~ 2023년 3월 1일

2022년 겨울 시즌에 진행하는 하이퍼 버닝부터는 2가지 내용이 변경되었다.

  • 기존 캐릭터에 하이퍼 버닝 캐릭터로 지정할 경우 지정 시점 이후에 달성한 레벨 보상만 받을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26]
    이미 한 차례 진행된 시점에서 또 같은 캐릭터로 지정할 경우 보상만 받아가는 악질 플레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막아놓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유저들은 IGNITION 때 하이퍼 버닝을 지정한 캐릭터만 막거나 수령 횟수를 1회로 제한하면 되지 않냐며 이해가 안 된다는 반응을 보인다.[27]

  • 버닝 월드 육성 시 받을 수 있는 보상이 강화된다.
    버닝 월드에서 하이퍼 버닝 캐릭터로 지정할 경우 200 ~ 235구간에서 받을 수 있는 보상이 강화된다. 5레벨짜리 아케인심볼은 전부 7레벨로 지급되며, 받을 수 있는 코어 젬스톤의 총합이 200개에서 300개로 늘어난다. 또한 230레벨 달성 시 20000 메이플포인트 교환권을 지급한다.

6. 기타[편집]

[메이플스토리 IGNITION] 하이퍼 버닝 - 한계를 넘어선 버닝의 진화

  • IGNITION 쇼케이스 당시 하이퍼 버닝 공개 연출이 상당히 파격적이었다. 200을 넘어 220까지 갈 거라는 유저들의 예상과는 달리 220, 230 등 특정 레벨 구간에서 잠시 멈췄다가 뚫리는 연출로 많은 유저들의 놀라움을 자아냈다. 테라 버닝이 처음 나왔을 때의 충격을 4년이 지나서 다시 느꼈다는 반응이 많은 편. 유튜버 동시 반응

  • 이 버닝이 출시되고서 이름이 하이퍼 버닝으로 명명되기 전까지 유저들은 220~250레벨 수준으로 페타 버닝 혹은 엑사 버닝이란 이름을 가진 버닝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했다.

  • 공개 이후로 이벤트가 시작되기 전, 운영진들도 대거 유입을 예견하고 있었는지 도시 서버 중 스카니아, 루나의 신규 캐릭터 생성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공지가 올라왔다. 오픈 이후 리부트 서버도 신규 캐릭터 생성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였다.

  • 이벤트 시작 시기가 우연찮게도 테라의 서비스 종료와 겹치는 상황이 발생해서, 테라 버닝이 없어진 이유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돌아다니고 있다.[28]

  • 2022년 7월 24일, 25일만에 일반섭 최초로 270 달성 유저가 나왔다.#


[1] 하이퍼 버닝 진행 전에는 버닝 월드와 방학 중 월드 공유 패시브 버프 스킬 지급 이벤트가 동시에 있지 않았다.[버닝_심볼] 2.1 2.2 2.3 2.4 2.5 2.6 버닝 월드 육성 시 7레벨로 지급.[버닝_코젬1] 3.1 3.2 버닝 월드 육성 시 70개 지급.[버닝_코젬2] 8.1 8.2 버닝 월드 육성 시 80개 지급.[버닝_한정] [옵션] 보공 +20%, 방무 +20%, 경험치 +20%, 아케인포스 +50, 공/마 +30, 올스탯 +30, 최대 HP/MP +1500[14] 모자: 하이퍼 버닝 크라운, 한벌옷: 하이퍼 버닝 로브, 무기: 하이퍼 버닝 소드[15] 과거 메가 버닝 시절에는 129에서 레벨 업을 하면 132로 적용되었으나 RISE 패치 이후 막혔다.[16] 즉 최소 247~248까지 레벨 안에는 하이퍼 버닝 지정레벨이 가능하다는 뜻이다.[17] 202, 205, 208, 211, 214, 217, 220, 223, 226, 229, 232, 235, 238, 241, 244, 247[18] 2022년 겨울 시즌부터 적용.[궁수] 19.1 19.2 궁수 직업군 한정.[데벤] 데몬어벤져 한정 [22] 해외 서버의 경우 제트, 묵현도 유니온 효과가 크뎀 증가지만, KMS에서는 은월이 유일하다.[아니마] 본캐 라라, 호영 한정[24] 기본 40초+0차 패시브 4초+캡틴 250레벨 4.8초[25] 실제로 원래 테라 버닝에는 피앱 보상이 없었다. 2021년에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PC방 이벤트를 진행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던지라 부득이하게 당시 테라 버닝 보상에 피앱/피도미를 넣었던 것.[26] 예시로 229레벨에서 지정할 경우 230~250레벨 보상을 다 받을 수 있지만 230레벨에서 지정할 경우 230레벨 보상을 받지 못하고 235~250레벨 보상만을 받을 수 있다.[27] 추가로 보상 변경으로 인해 제로를 하이퍼 버닝으로 키우려는 유저들 또한 피해를 입었다. 제로는 직업 특성 상 하이퍼 버닝으로 키우려면 무조건 200 달성 후 지정을 해야 하는데 그렇다 보니 200레벨의 보상인 여로 심볼과 코젬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 이런 사례를 봤을 때 운영진이 과연 깊이 생각하고 패치를 진행하는지 의문이 들 수 밖에 없다.[28] 다만 이 시기에는 2022 MAPLE LIVE TALK로 지급된 테라 버닝 부스터의 효과(최대 6주)가 IGNITION 이벤트 시기와도 맞물려버리기 때문에 진행을 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허나 다음 버닝 이벤트인 SAVIOR에서는 신규 직업만 테라 버닝이 적용된 사례를 보면 결국 테라 버닝과 동시에 이뤄지기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