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HOME > Research Project Search > Research View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Research Projects Detailed Information

  •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6861&res=y
  •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훈민정음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와 그 의미
Universal values inherent in Hunminjeong and its meaning

  • Researchers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NRF of Korea research support system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Research Summary

  •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Goal
  • 필자는 훈민정음은 태생적(胎生的)으로 다음 세 가지의 보편적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고 본다. 첫째는 민주성, 둘째는 과학성, 셋째는 철학성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해」를 중심으로 명백히 서술되어 있다. 훈민정음의 민주성은, 세종의 어제 서문에 직설적으로 표현되어 있듯이 ‘문자’(한문)을 모르는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능히 펼칠 수 있도록 이 문자를 만들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과학성은 당시의 말소리에 대한 음성과학적 분석에 기반하여 기본자를 만들고, 이어서 가획과 합성의 원리라는 체계적 방법으로 이 문자가 만들어진 특성을 뜻한다. 철학성은 훈민정음 문자체계가 삼재론, 음양오행론, 상수론 등의 성리학 사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특성을 가리킨다.
    선행 연구에서 훈민정음이 지닌 이런 특성이 이미 지적되어 왔다. 백성들의 편리한 문자생활을 위해 훈민정음을 만들었다는 점, 그리고 훈민정음이 과학적으로 만들었다는 점이 강조되어 왔었다. 그러나 훈민정음의 이 세 가지 특징을 ‘보편 가치’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이 보편 가치가 지닌 의미를 과거와 현재에 비추어 해석한 선행 연구는 없다. 필자는 훈민정음이란 문자 체계에 태생적으로 보편적 가치가 내재되어 있음에 주목하고, 이것이 가진 본질적 의미가 무엇이며,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지 밝혀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필자는 먼저 훈민정음에 내재된 세 가지 보편 가치의 본질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보다 명료하게 드러낼 것이다. 이 세 가지 보편적 가치의 실체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내용에 근거하여 분석해 낸다. 이어서 민주성, 과학성, 철학성이 왜 보편적 가치가 될 수 있는지 그 근거에 대해 논할 것이다. 훈민정음에 내재된 ‘민주성’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진보한 민주주의 체제가 지향하는 본질적 가치와 직결된다. 훈민정음의 과학성은 과학이 인간의 삶을 바꾸어 온 근본적 힘으로 작용해 왔고, 현대의 인간 사회가 과학기술에 의해 작동되고 있는 사실과 연결되는 점에 주목하여 과학성의 보편성에 대해 논할 것이다. 훈민정음의 철학성이 함의한 삼재론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지향하는 사상으로 현대사회의 환경 문제와 연관됨을 밝힐 것이다.
    훈민정음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는 한국인의 삶 속에 살아 있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 보편적 가치가 한국인뿐 아니라 세계인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 그 의의에 대해 논할 것이다.

  •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Expectation Effectiveness
  • 본 연구는 훈민정음이 보편적 가치를 내재하고 있음을 밝혀 이 문자에 대한 이해를 일층 심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편적 가치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인류문화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민족이나 종족을 초월하여 인류 모두에게 유익함을 줄 수 있는 가치를 뜻한다.
    훈민정음은 과연 어떤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가? 훈민정음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는 무엇이며, 이 보편적 가치가 함축한 의미는 무엇인가? 과거의 역사 속에서 이 보편적 가치들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으며, 현재는 어떠한 상황에 놓여 있는가? 그리고 미래 시대에는 이 보편 가치가 어떻게 작용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 이 논문은 이런 의문에 답하기 위해 훈민정음이 지닌 보편적 가치와 그 의미를 밝힐 것이다. 그리하여 민주성, 과학성, 철학성이란 훈민정음의 보편적 가치가 15세기 이후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역사적 연변(演變)을 거쳐왔는지 논한다. 또한 이 보편적 가치가 현대의 한국인과 세계인에게 어떤 의미를 갖고 있으며, 미래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를 논한다. 이런 작업을 통해 우리는 훈민정음이 갖는 사상적 가치와 의의를 인식하게 될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훈민정음에 내재된 보편 가치가 현재의 한국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미래 사회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것이다. 필자의 연구 결과는 훈민정음의 새로운 해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훈민정음이란 문자 체계가 지닌 보편 가치로서 훈민정음 문자체계가 가진 속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 미래 비전을 세우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 과제의 결과물은 훈민정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창안해 낼 것이다.

  •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Summary
  • 1. 연구 목적
    훈민정음은 세계의 다른 문자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여러 가지의 독특한 성격을 띠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임금이 백성들의 편리한 문자생활을 위해 만들었다는 점이다. 또한 과학적 제자 원리를 갖고 있으며, 성리학적 철학을 창제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역시 훈민정음의 주요 특성이다. 필자는 훈민정음이란 문자 체계에 태생적으로 보편적 가치가 내재되어 있음에 주목하고, 이것이 가진 본질적 의미가 무엇이며,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갖는 의미를 찾고자 한다. 이 과제의 연구 목적은 훈민정음이 갖는 특성을 ‘보편적 가치’라는 관점에서 논하고, 그것이 갖는 역사적 의미와 현재적 의의를 밝히는 것으로 요약된다.
    2. 연구 내용
    필자는 훈민정음은 태생적(胎生的)으로 다음 세 가지의 보편적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고 본다. 첫째는 민주성, 둘째는 과학성, 셋째는 철학성이 그것이다.
    세종이 지은 훈민정음 서문에 나와 있듯이, 이 문자의 창제 목적은 한자와 한문을 모르는 백성들의 문자 생활을 편하게 하는 데 있으며, 이것이 바로 민주성이다. 훈민정음은 바로 민(民)이 주인 되는 문자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점을 필자는 훈민정음의 민주성이라 부른다. 훈민정음이 비록 태생적으로 민주성을 내재하고 있었지만 이 속성이 창제 후 조선사회에서 바로 실현된 것은 아니다. 민(民)의 절대 다수가 이 문자를 제 것으로 만들어 활용하기까지는 매우 긴 세월이 소요되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민주성의 실현 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논하고, 현대 사회에서 이 민주성이 갖는 의의를 고찰할 것이다.
    한글이 지닌 두 번째의 보편적 가치는 과학성이다. 초성자(자음자)는 창제 당시 기본 글자 다섯 개를 발음기관의 작용 모습과 발음기관을 본떠 만들었고, 이 기본자에 가획을 하여 다른 글자를 만들었다. 가획의 근거도 ‘소리의 세기’라는 음성과학적 기준에 따라 이루어졌다. 한글의 중성(모음자)은 혀의 움츠림(舌縮)의 정도를 삼등분하여 기본자 세 개를 배정하고, 이 기본자를 합성하여 다른 글자를 만들었다. 이러한 음성학적 분석과 가획 및 합성이라는 체계적 제자 방법은 한글의 과학성을 말하는 근거이다. 필자는 이 과학성의 근거를 논하면서 이것이 현대의 과학 기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고찰할 것이다.
    훈민정음에 내재된 세 번째의 보편적 가치는 철학성이다.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작용한 성리학의 몇 가지 원리가 철학성의 실체인 바 삼재론, 음양론, 오행론, 상수론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세 가지 이론이 훈민정음 문자체계에 작용한 양상을 고찰하고 이것이 현대인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지 논할 것이다.
    3. 연구 방법
    본 과제의 핵심적 연구 방법은 보편적 가치라는 관점에서 훈민정음이 지닌 내재적 특성을 새롭게 해석하는 데 있다. 이는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 관점의 혁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론적 측면에서 본 과제는 기본적으로 문헌학(philology)을 토대로 한다. 문헌학의 범위를 좀더 좁혀서 명확히 표현하면 ‘문헌해석학’이라 할 수 있다. 문헌학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문헌이 가진 역사적 가치와 사상사적 의미를 궁구하는 학문이 문헌해석학이다. 문헌해석학은 문헌의 본문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그 의미에 대한 해석, 그 문헌의 사회 역사적 배경을 분석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과제는 문헌해석학의 연구방법에 기초를 두고, 보편적 가치’에 대한 관점을 세워 그 개념을 정립할 것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투영된 보편적 가치는 어떤 것이 있는지 분석하고, 선행 연구 업적에서 관련된 내용을 찾아 활용할 것이다. 이어서 필자가 보편적 가치로 설정한 민주성, 과학성, 철학성의 뜻을 밝히고 이것이 보편적 가치가 될 수 있음을 논할 것이다. 끝으로 이 보편적 가치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으로 어떤 변화를 겪어 왔으며, 그 변화가 현대 한국인에게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지를 논할 것이다. 본 과제의 이러한 연구 방법론은 훈민정음 연구에서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Research Summary

  •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Korean
  • 훈민정음은 태생적(胎生的)으로 세 가지의 보편적 가치를 내재(內在)하고 있다. 첫째는 민주성, 둘째는 과학성, 셋째는 철학성이다. 훈민정음의 민주성은 민주(民主)에 담긴 뜻 그대로 백성이 주인이 되는 문자의 속성을 뜻한다. 이 점은 훈민정음 어제(御製) 서문에 잘 드러나 있다. 이것이 훈민정음이 내재하고 있는 민주성의 근거이다.
    다음으로 훈민정음의 과학성은 음성학적인 관찰과 과학적인 원리로 문자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나타난다. 먼저 자음의 기본자 5개는 음성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여기에 획을 더하여(가획) 다른 자음 문자를 만들었다. 이 가획도 ‘소리가 거세지는 정도’에 따라 이루어졌기 때문에 음성학적인 근거를 갖고 있다. 모음 문자는 혀의 움츠림[舌縮]의 정도에 따라 정해진 기본자 세 개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 기본자를 서로 합성하여 다른 모음 문자를 만들었다. 이와 같이 훈민정음이 음성학적인 분석은 물론, 가획법과 합성법이라는 체계적인 제자 원리로 만들어진 문자라는 점이 바로 과학성의 근거이다.
    마지막으로 훈민정음의 철학성은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작용한 성리학의 원리인 삼재론, 음양론, 오행론, 상수론에서 나타난다. 삼재론은 천지(天地=자연)와 사람의 조화로운 관계를 지향하는 사상이다. 음양오행론도 우주를 이루는 다섯 가지 근본 요소의 상호 결합과 조화가 만물 운행의 이치라고 보는 사상이다. 상수론은 주역의 괘효를 숫자를 결합하여 표현한 방법이다. 그리고 이렇게 문자를 만들 때 철학적인 원리를 고려했다는 사실을 훈민정음 해례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것이 훈민정음이 철학성을 내재하고 있다는 근거이다.

  •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English
  • Hunmin jeongeum holds three intrinsically universal values: democracy, science and philosophy. The democracy of Hunminjeongeum refers to one of the properties of the character that people are the owner of the character as literally indicated by democracy. This is well demonstrated by the preface of the King’s writing, which is the basis for democracy inherent in Hunminjeongeum.

    Next, the science of Hunmin jeongeum is supported by that fact that it was created by phonological observations and scientific principles. First, the five basic consonants were created based on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A single stroke is added to these consonants to produce other consonants. Adding a single stroke is based on the phonological principle in that i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extent of sound getting stronger’. Creation of vowels started from three basic characters determined based on the degree of retraction tongue root(舌縮). And a full set of vowels were created by combining these three characters. That Hunmin jeongeum was created based on not only phonological analysis but also systematic character-creating principle serves as the basis for scientific excellence of Hunminjeongeum.

    Last but not least, the philosophy of Hunmin jeongeum comes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applied to creating the characters, including Samjae theory, Yin and Yang theory(陰陽論), Five Elements theory(五行論) and Sangsu theory(象數論). Samjae theory(三才論) is in pursuit of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earth (nature) and humans.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believes that interdependence and harmony of five fundamental elements that comprise the universe is the divine order of nature and humanity. The Sangsu theory refers to the symbolization of Gua-Yao of Ju Yeok combined with numbers. And the Haerye Edition of Hunmin jeongeum explains the fact that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were made in creating the characters, which serves the basis for philosophical implications inherent in Hunmin jeongeum.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Research result report

  •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Abstract
  • 지금까지 필자는 훈민정음에는 민주성, 과학성, 철학성이라는 세 가지 보편적 가치가 내재되어 있으며, 그것의 본질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지닌 현대적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하였다. 일반적으로 보편적 가치란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고, 특정 종족과 특정 사회를 초월하여 인류 모두에게 수용될 수 있는 가치를 뜻한다. 하나의 문자체계가 이런 보편적 가치를 가진다는 것은 매우 특이한 경우이지만 훈민정음이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늘날의 현실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지 밝혀내고자 한다.
    훈민정음은 태생적(胎生的)으로 다음 세 가지의 보편적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 첫째는 민주성, 둘째는 과학성, 셋째는 철학성이 그것이다. 필자는 이 세 가지 보편적 가치의 본질을 󰡔훈민정음󰡕 해례본에 기술된 내용에 의거하여 해명할 것이다. 아울러 민주성, 과학성, 철학성이 왜 보편적 가치가 될 수 있는지 그 근거를 논할 것이다. 훈민정음에 내재된 ‘민주성’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진보한 민주주의 체제가 지향하는 본질적 가치와 연관된 것이다. 과학이 인간의 삶을 바꾸어 온 근본적 힘으로 작용해 왔고, 현대의 인간 사회가 과학기술에 의해 작동되고 있는 사실에서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내재된 ‘과학성’을 인류 보편적 가치의 하나로 간주한다. 훈민정음이 지닌 과학성의 첫 번째 근거는 초성 기본자 및 중성 기본자를 만들 때 발음기관에 대한 음성 과학적 관찰에 근거하여 만들었다는 점이다. 초성 기본자와 중성 기본자의 제자 원리는 모두 음성 과학적 관찰에 입각해 있고, 발음기관 상형의 원리가 자형(字形)의 형상화에 작용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필자는 이런 사실에 근거하여 훈민정음이 태생적으로 과학성이라는 보편 가치를 지닌 것으로 본다. 한글의 과학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글의 자음 글자(=초성)는 다섯 가지 음류(音類)에서 음성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기본음 다섯 개를 정하고, 각각에 대응하는 글자를 만들었다. 이어서 다섯 개의 기본자에 각각 가획하여 다른 글자를 만들었다. 가획은 ‘소리가 거세지는 정도’에 따라 이루어졌기 때문에 음성과학적 근거를 갖고 있다. 한글의 모음 글자(=중성)은 혀의 움츠림[舌縮]의 정도를 삼등분하여 기본자 세 개를 배정하고, 이 기본자를 서로 합성하여 다른 글자를 만들었다. 이와 같이 초성과 중성에 대한 음성학적 분석은 물론, 가획법과 합성법에 따른 체계적 제자 원리가 바로 한글이 지닌 과학성의 근거인 것이다. 말소리에 대한 음성학적 관찰과 체계적 제자 원리, 이 두 가지가 바로 한글이 지닌 과학성의 핵심이다. 발음기관의 작용을 본뜨고, 소리의 세기에 따라 가획을 하고, 기본자를 합성하여 체계적으로 만든 문자는 한글이 유일하다. 이런 점에서 한글은 과학성이라는 보편적인 가치를 가진다. 한글이 현대의 보편적 가치인 과학성을 내포하고 있고, 과학성이라는 한글의 본질적 특성은 현대 사회의 주류인 과학적 세계관에 잘 부합된다.
    훈민정음에 내재된 세 번째의 보편적 가치는 철학성이다.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작용한 성리학의 몇 가지 원리가 철학성의 실체인 바 삼재론, 음양론, 오행론, 상수론이 바로 이것이다. 첫째, 삼재론은 세계를 구성하는 기본적 구성 요소 혹은 우주 변화의 동인으로 작용하는 세 가지 요소를 천(天)·지(地)·인(人)으로 본다. 삼재론은 훈민정음의 음절삼분법, 중성의 기본자 ㆍ ㅡ ㅣ의 글자꼴 책정,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을 모아쓰도록 한 합자법 규정 등에 적용되었다. 삼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삼라만상을 이해하려는 역학 이론이 삼재론이며, 이는 훈민정음의 제자 과정의 여러 국면에서 작용한 내재 원리이다.
    둘째, 음양론은 중성 기본자 ㆍ ㅡ ㅣ를 조합하여 초출자와 재출자를 만들 때 적용되었다. ㆍ를 ㅡ와 ㅣ에 각각 조합할 때 ㅡ의 위는 양, 아래는 음이며, ㅣ의 밖은 양이고 안은 음이라는 틀에 의해 양모음과 음모음이 분류되었다. 이것은 음양론이 가장 전형적으로 적용된 경우이다. 셋째, 오행론은 초성의 기본자인 아설순치후의 오음(五音) 체계와 결합되었다. 해례 제자해에서 사람의 말소리는 오행 원리에 근본을 두고 있으며, 오성(五聲 즉 궁상각치우)과 조화롭게 합쳐져서 서로 어긋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해례 제자해에는 초성자의 분류 체계인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을 각각 오행의 원리인 ‘수목화금토’의 성질과 서로 결합하여 그 특성을 기술하였다.

  •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Research result and Utilization method
  • 필자는 훈민정음이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보고, 이것을 민주성, 과학성, 철학성의 관점에서 그 뜻을 밝히고 현대적 의미를 논하였다. 필자의 관점과 연구 방법은 훈민정음 연구에서 새로운 시도라 생각한다. 필자의 연구 결과가 갖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훈민정음 문자체계가 가진 사상적 깊이의 심화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훈민정음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의 실현 과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였다. 나아가 이 보편적 가치가 현대 한국인과 세계인의 삶 속에 여전히 중요하게 작용하는 가치임을 드러내었다. 이것은 훈민정음이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현재의 삶과 미래에 전개될 우리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교육과 일반 대중을 위한 사회교육의 중요한 원천 자료가 될 것이다. 훈민정음에 인류 보편적인 가치(민주성, 과학성, 철학성) 혹은 인문정신이 담겨 있음을 밝힌 이 연구는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킬 것이다.
    ② 훈민정음의 보편적 가치를 통한 미래 비전의 제시
    훈민정음에 내재된 ‘민주성’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진보한 민주주의 체제가 지향하는 본질적 가치와 직결되어 있다. 보편 가치로서의 ‘과학성’은 인간 삶의 쾌적함과 행복 추구의 토대로 기능해 왔다. 과학성은 인간의 삶을 바꾸어 온 근본적 힘으로 작용해 왔고, 현대의 인간 사회가 과학기술에 의해 작동되고 있는 사실과 직접 연관되어 있다. 훈민정음이 내재하고 있는 과학성은 이러한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삼재론 등 훈민정음이 지닌 철학성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삶을 지향하는 지구촌을 위해 미래 비전의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훈민정음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는 한국인의 삶 속에 살아 있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 보편적 가치가 한국인뿐 아니라 세계인으로 확장될 수 있다.

  • Index terms
  • 훈민정음. 한글. 보편적 가치. 민주성. 과학성. 철학성

  • Examination field of requesting this research issues( The ranking of possible field is up to 3rd place)
  • 1Ranking :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사
  • 2Ranking :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문자론(국어학)

  •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
    Research Achievements List

훈민정음 창제 의의 - hunminjeong-eum changje ui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