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흔히 투자자의 유형 중에서도 개인 투자자의 경우 기관이나 외국인에 비해 비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것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개인투자자들은 투자정보의 양이나 질, 시기적절성 등을 고려해봤을 때 전문성을 갖춘 기관투자자들(외국인을 포함)에 비해 부족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 주식투자가 본업이 아닌 개인투자자는 소문에 의존해서 투자정보를 얻고 이에 상대적으로 적은 단계의 검토과정을 거치고 주식을 사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반면 업종별로 여러 명의 애널리스트들을 두어 투자대상 기업을 방문하고 철저히 분석하는 등 전문적 조사를 거친 후 투자하는 기관투자자들은 개인투자자들을 압도하는 성과를 낸다는 통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추측에 대한 검증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최근 금융기관은 주식형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 및 장기투자를 바탕으로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증대시키고 있는 반면 , 개인 투자자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특히 기관투자자들 중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 1997년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외국인 지분율이 완전 개방된 이 후 국내주가변동에 점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의 주식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관 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나 실제적인 투자 성과를 살펴보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소개글[투자론, 재무관리] [재무관리, 투자론] 차익거래 가격결정 이론(APT)에 대한 자료입니다.목차1. Multifactor Models : An Overview
2. Arbitrage Pricing Theory
3. Individual Assets and the APT
4. A Multifactor APT
5. Where Should We Look for Factors?
6. A Multifactor CAPM본문내용1. Multifactor Models : An Overview
Factor Models of Security Returns
ri = E(ri) + Ui
= E(ri) + mi + ei
r : 실현된 수익률 (Announcement)
E(r) : 예상하였던 기대수익률 (Expected part)
U :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 (Surprise)
m : 체계적 위험 (Systematic Risk)
e : 비체계적 위험 (Unsystematic Risk)

Factor Models of Security Returns
[ single-factor model ]
ri = E(ri) + mi + ei
= E(ri) + βiF + ei
F : 거시적 공통요인으로서 예상치 못한 변화, 예측오차
[ F = Rm – E(Rm) , 거시적 공통요인이 시장 포트폴리오 일때 ]
βi : 공통요인의 예상치 못한 변화에 대한 주식i 의 민감도

흔히 투자자의 유형 중에서도 개인 투자자의 경우 기관이나 외국인에 비해 비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것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개인투자자들은 투자정보의 양이나 질, 시기적절성 등을 고려해봤을 때 전문성을 갖춘 기관투자자들(외국인을 포함)에 비해 부족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 주식투자가 본업이 아닌 개인투자자는 소문에 의존해서 투자정보를 얻고 이에 상대적으로 적은 단계의 검토과정을 거치고 주식을 사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반면 업종별로 여러 명의 애널리스트들을 두어 투자대상 기업을 방문하고 철저히 분석하는 등 전문적 조사를 거친 후 투자하는 기관투자자들은 개인투자자들을 압도하는 성과를 낸다는 통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추측에 대한 검증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최근 금융기관은 주식형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 및 장기투자를 바탕으로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증대시키고 있는 반면 , 개인 투자자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특히 기관투자자들 중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 1997년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외국인 지분율이 완전 개방된 이 후 국내주가변동에 점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의 주식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관 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나 실제적인 투자 성과를 살펴보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안녕하세요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오늘은 CAPM을 설명하기 위한

그 첫번째-

기대수익률&위험

이 두가지를 주제로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사실은 바로 CAPM설명으로 넘어가려고 했으나,

막상 하려고 보니 이 전단계의

개념 설명이 필요할 것 같아서

하나하나

짚으며 넘어가려 합니다

CAPM까지는

몇 개의 포스팅이 필요할련지는

저도 아직 잘... 감이 안오네요

최대한 자세히 하려다 보니

조금은 늦어질 수도 있지만!!!

그만큼 고퀄리티로...

노력하겠습니다

저의

재무/경제/금융

포스팅

유용하게 보신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어요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저도 아직 배우는 입장이지만

같이 공부하자구요~~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서두가 너무 길었나요~~?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그럼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출바알~~~

아래 내용 읽어보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다음 뷰 쿵쿵 클릭클릭!

댓글도 한 줄 달아주시면

저는 힘이 불끈불끈!! 난답니다

1. Expected Return & Risk

(기대수익률과 위험)

우선 수익률!이란 무엇인지 개념부터 짚어볼까요?

수익률은

기존에 내가 갖고 있는 것에 비해

미래에 얼마나 많은 돈(가치,자산 등)을 가질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입니다!

수식으로 나타내보자면,

요렇게 된답니다~

수식으로 보니

이해가 더 빠르시죠?

여기서 응용들어갑니다-

기존에 갖고 있는 돈과

미래에 가질 수 있는 돈!

주식과 채권의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먼저 주식 수익률은,

주식수익율은=주가차이로 인한 이익+배당으로 인한 이익

이렇게 두 가지로 이루어졌답니다

즉,

주식수익률=capital gain return+dividend yield

입니다!!

채권 수익률은,

네네 이렇게 된답니다

여기서, 이자지급액/기준시점 채권가격-1 은

interst yield라고 말한답니다

2. 실현 수익률/기대 수익률

수익률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실현수익률입니다

실현수익률(realized return)은

과거에 이루어진 투자의 현재시점ㅇ서 실현된 성과

과거, 현재 주가를 모두 관찰

이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과를 나타내는 수익률로, certainty !

현재 이루어진 수익률이라 할 수 있답니다

두번째로

기대수익률(expected return)은

현재 결정할 투자의 미래시점에서의 기대하는 성과

미래주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불확실하고 위험이 있음

요런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한가지 사례를 볼까요?

다음은 대한항공의 2010.12-2011.02 까지의 주가 수익률입니다

KRX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주가관련 정보를 얻으실 수 있는데요-

저는 대한항공 정보를 다운받아

엑셀로 그래프를 그려보았답니다~~

수익률이 들쑥날쑥이죠?

과연 대한항공은 투자할 만할 종목일까요?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좀 더 알아보자구요~

3. 투자자들의 선택

수익률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그렇다면 투자자들은 어떤 선택을 할까요?

선택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자 아래의 질문들을 생각해봅시다

어떤 주식이 가장 수익률이 높은가?

-과거에 수익률이 높은 주식? (실현수익률)

-미래에 수익률이 높을 주식? (기대수익률)

이런 개념을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실현수익률과 기대수익률과의 관계는?

과거에 수익률이 높았던 주식이 미래에도 수익률이 높을 것이다

혹은

지금까지 주가ㅏ 많이 올랐으니 앞으로는 내릴 것이다

이렇게 두가지가 있을 수 있겠죠-

바로 여기서 나오는 개념은 시장 효율성 입니다

효율성?!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갑자기 머리가 아파오시나요? ㅠ ㅠ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걱정 마세요

오늘은 짧게 언급만 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시장효율성-Market Efficiency>

과거 수익률-기대수익률 관계가 존재하면?

시장은 비효율적

과거수익률-기대수익률 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면?

시장은 효율적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효율성이라는 말은(Efficiency)

Market price is correctly and timely formulated.

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얼마나 correctly, timely한 지에 따라

weak/semi-strong/strong으로 세가지 효율적 시장을 나눌 수 있답니다

여기도 설명할 내용이 많지만 오늘은 여기까지!!

하. 지. 만.

단순히 수익률만으로 주식을 평가하는 것은 아니죠

네네

맞습니다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여기서 해야할 것은 바로 위험에 대한 고려이죠

4. 위험(Risk)

개념적으로는

미래에 실제 실현될 수익률과 현재 추정한 기대수익률의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을 말합니다

측정방법은?!

수익률 표준편차/분산을 이용합니다

5. 기대수익률과 위험의 관계

HIGh RISK HIGH RETRUN

이라고들 하죠-

위험이 높아야 수익률이 높다!!!

둘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답니다

위험은 낮은데 수익률이 높은 그런 상품은 존재하기 어렵다~~

라는 말입니다

KOSPI와 다른 몇 개 종목들의

2010.12-2011.02 까지의 표준편차와 평규을 비교해보았습니다.

기간도 짧고,

종목 수도 적어서 명확히 드러나지는 않지만

그래도 우상향하는 그래프를 읽으실 수 있나요?

(우상향은 억지인가요,, ?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

그래도 이론적으로 저런 관계가 있다고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5. 기대수익률과 위험 측정

여기서는 확률분포의 개념이 사용된답니다

이산 혹률분포(discrete distribution)을 이용할텐데요

-미래 발생가능한 상황 또는 수익률이 한정적인 개수의 경우

-미래에 n가지 상황을 가정

그렇다면 

미래상황은: 1 2 3 4 ...... n

수익률: r1 r2 r2 r4 ...... rn

확률: p1 p2 p3 p4 ...... pn 

이 되겠습니다 

자 그렇다면 평균은 ?!

평균E(R)=p1r1+p2r2+p3r3+ ...... +pnrn

이렇게 되겟죠~?

간단히 확률과 수익률을 곱해 더해준 것입니다

표준편차는-우선 분산을 구해야하니까!!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이렇게 되는 것이죠-

여기서 구해진 분산에 루트를 씌우면 바로 표준편차(위험)이 됩니다

만약

미래에 발생 가능한 상황 또는 수익률이 무한하게 많은 경우에는 ?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연속 확률분포를 이용해야 합니다

평균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표준편차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이렇게 된답니다

식이 복잡하죠 ?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이 식을 외워버리겠다~~~

이런 생각은 안하셔도 됩니다

이해만 하고 넘어가시면 충분충분충분합니다

짜잔!!!!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여기서 중요한 개념이 등장합니다

Central Limit Theorem

중심극한정리 라고 하는 것입니다

즉,

모집단의 분포와 상관없이

표본의 크기가 커지만 표본평균드의 분포가

평균:모집단의 평균

표준편차:모집단의분산/표본크기

를 갖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이런 개념이죠.

바로 이 중심극한정리를 이용해서

기대수익률과 평균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것입니다

수익률의 개념부터

실현 수익률/기대 수익률

위험

수익률과 위험의 관계

수익률과 위험 계산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이해가 되셨는지요~?

CAPM을 설명하기 위한 1단계!!!

였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다음뷰 콕콕

댓글도 한 줄 달아주세요~~

그럼 저는

2단계 포스팅으로 곧 찾아오겠습니다

재무관리 투자론 차이 - jaemugwanli tujalon chai

(모든 그림은 제가 만든 것이니까요

혹시 사용하신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