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차단제 종류와 역할 - jaoeseon chadanje jonglyuwa yeoghal

자외선 차단제 종류와 역할 - jaoeseon chadanje jonglyuwa yeoghal

자외선 차단제 종류 – 물리적, 화학적 자외선차단제

안녕하세요 성스킨케어입니다.
자외선차단제에 대해 문의하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아서
오늘 포스트는 조금 자세한 설명을 포함해서 자외선차단제의 종류에 대해 정리해 보았어요.

자외선 차단제 종류와 역할 - jaoeseon chadanje jonglyuwa yeoghal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차단제의 성분이 햇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해요.
대표적인 성분은 티타늄디옥사이드(=이산화티탄), 징크옥사이드(=산화아연)입니다.
괄호안의 성분도 같은 것 이므로 전성분표시에서 확인하시면 되요.
티타늄디옥사이드는 UVA, UVB뿐만 아니라 가시광선까지 반사시켜서 하얗게 보인답니다. (백탁현상)
징크옥사이드는 차단능력은 떨어지지만 백탁현상이 적고 전반적인 커버가 가능해서 보통 티타늄디옥사이드와 함께 사용해요.

자외선 차단제 종류와 역할 - jaoeseon chadanje jonglyuwa yeoghal

       
가장 큰 장점피부 자극이 적어서 민감성피부나 어린이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자외선 차단지수가 높아도 피부부담이 적다고 볼 수 있어요.
 
단점은 하얗게 보이는 백탁현상입니다.
입자크기를 작게 만들면 백탁현상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데, 요즘 출시되는 제품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백탁현상을 개선해서 출시됩니다. 많은 분들이 백탁현상을 싫어하기 때문이죠.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의 영어식 표기는 선블록(SUN BLOCK)이고
화학적 자외선차단제는 선스크린(SUN SCREEN)이지만,
국산제품은 따로 분류하지는 않는 편입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소개해드린   닥터에스리 제품은 물리적 차단제이지만 선블록으로 표시하지 않고 피지컬 선스크린으로 표시되어 있어요. 물리적 차단제 제품은 어떤식으로든 이점을 강조하고 있어서 대부분 쉽게 구분할수 있답니다.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차단제의 성분이 자외선을 흡수해서 해가 없는 에너지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해요.
대표적인 성분은 옥티녹세이트(=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이 성분은 화장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부제 역할을 해서 자외선차단제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화장품에 많이 들어가는 성분입니다.
화학적 차단제 성분은 여러 가지가 있어서 물리적 차단제 성분을 제외한 복잡한 화학식 표기는 모두 화학적 차단제 성분으로 보아도 무방해요.

자외선 차단제 종류와 역할 - jaoeseon chadanje jonglyuwa yeoghal

 
장단점은 물리적차단제와 반대로 보시면 되요.
백탁현상이 적고 사용감이 좋다는게 장점이고,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도 중요한 장점이라 볼 수 있죠.
 
물리+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두 종류의 성분이 함께 있는 차단제를 말하는데 요즘 이런 제품들이 많아요.
성분표시를 보면 티타늄디옥사이드도 있고 신나메이트계열의 성분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요.
이런 제품들은 화학적 차단제에 포함 되요.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하나요?
민감성 피부나 현재 피부트러블로 치료를 받는 분들은 물리적 차단제를 선택하시는 게 좋아요.
화학적 차단제의 성분들은 피부 알레르기와 피부자극의 주요 원인이라는 점이 많은 자료에서 입증되어 있어요.
 

자외선 차단제 종류와 역할 - jaoeseon chadanje jonglyuwa yeoghal

어린이에게 자외선차단제를 바르는 습관은 건강한 피부를 위해 꼭 필요해요.
어린이에게는 피부자극이 적은 물리적 차단제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아요.
 
피부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분들은 화학적 차단제를 사용해도 무방해요. 대부분 성분 차이가 크지 않아서 제품별 차이가 크지는 않아요.
그러나 자외선차단제에도 피부에 좋다는 여러 가지 성분들이 함께 포함되는 경우도 많은데, 기본적으로 성분의 종류가 많을수록 피부에는 더 부담이 될 수 있답니다.
모든 화장품을 사용하실 때는 더하는 것보다 빼는 것부터 생각하셔야 해요.
 
공통적으로 표시되는 자외선 차단지수SPF 50+ PA+++이 가장 높은 차단능력을 뜻합니다.
차단지수가 높을수록 피부부담이 높다고 볼 수는 있지만, 차단지수를 낮추어서 피부 부담을 줄이는 것은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아요.
만일 현재 사용하는 자외선 차단제가 피부에 부담이 된다고 느끼시면 차단지수가 낮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화학적 차단제에서 물리적 차단제로 바꿔주시는 것이 필요해요.

자외선 차단제 종류와 역할 - jaoeseon chadanje jonglyuwa yeoghal

 
자외선차단제가 어떤 종류이든, 어떤 제품이든 완벽하게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는 없어요.
그래서 집중적인 차단이 필요한 경우는 창 넓은 모자와 같은 이중방어를 꼭 하셔야 해요.
(레이저 시술 후에도 색소침착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방어를 꼭 하셔야 해요.)
또한 어떤 성분이든 완벽하게 안전할 수는 없어서 6개월 이하의 아기에게는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아기피부는 햇빛에 훨씬 쉽게 손상되므로 부모님이 선스크린 역할을 해주셔야 해요.
 
자외선 차단제의 세안
여자분들은 자외선차단제를 꼼꼼하게 지워줘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남자분들은 잘 모르는 분들이 많죠.
남자의 경우 비누로는 부족하고 최소한 폼클렌징은 사용하셔야 하고,
여자분들은 화장에 덧발려진 경우 클렌징 오일을 추가 사용하셔야 해요.
요즘 제품들이 사용감을 좋게 하기 위해 성분입자를 최대한 미세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세안 후 피부를 확대해보면 모공에 찌꺼기가 남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아무리 좋은 성분을 사용해도 노페물이 모공에 쌓이면 피부트러블의 원인이 된답니다.
자외선차단제 사용의 마무리를 깨끗한 세안입니다.

선크림 바르고 몇시간?

미국 피부과 학회지에 보고된 바로는 자외선 강도나 사용된 차단지수에 상관없이 피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자외선차단제를 덧발라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한다. FDA에서는 2시간마다 덧바르라 하고, 각종 매스컴에서는 2~3시간 또는 3~4시간까지 다르게 권장하고 있다.

선크림 몇분전에?

따라서 자외선이 강한 시간대에 적정 SPF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외선에 노출되기 20-30분 전에 바르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선크림 하루에 몇번?

야외 - 두 시간 한 번씩 덧바를 것. 실내 - 하루에 한 번 이상 덧바를 것. 두 경우 모두 처음 바를 때 정량(피부 1cm² 당 2mg)을 바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크림 얼마나 자주?

선크림을 덧바르는 횟수는, 야외 활동을 할 경우 2시간에 한 번이 적당하다. 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면 시간 간격을 좁혀주는 것이 좋은데 1시간 반 간격으로 덧바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