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상인 - joseon hugi sang-in

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논의는 정부의 경제정책의 변화가 상인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정부의 정책변화가 개성상인들의 존립과 쇠퇴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끼쳤는지를 다루는 것이다. 즉 정부정책의 변화와 개성상인의 성장 및 쇠퇴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이 연구의 의미가 있다. 이 논의를 전개함에 있어 연구의 범위를 조선전기 및 후기, 그리고 개항기로 편의상 분류하고 이를 각 장에 나눠 논의를 기술하나, 그 본래는 조선후기와 개항기의 개성상인의 성장과 쇠퇴가 어떻게 전개되는가에 그 초점을 둔다. 결국, 조선정부가 유교이념을 내세우며 무본억말의 억상책을 고수하면서 개성상인에 대한 탄압으로 개성상인이 시련에 직면하였으나, 그 이후 정부의 무본보말론적 상업관의 대두와 그로인한 개성상인의 상업적 기반이 막대한 자본을 획득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한 데서, 정부정책의 변화가 개성상인의 활로를 열어준 셈이 된 것이다. 요컨대 조선정부의 쇄국정책과 상무역 인식의 부재로 외세에 의한 자본주의 침투를 초래케 된 점은 정부정책의 운용이 국가의 운명과 국내의 상거래에 중대하게 미칠 수 있다는 교훈을 보여준 것이었다.

Discussion of this research is to the change of economic policy of the government have affect on huge effect to the merchants, and to the shift in policy of the government is cause effect with a what kind of the existence and atrophy of Kaesong merchants. Namely, There is meaning of this research the place where it grasps the interrelation of the growth and its atrophy of Kaesong merchant to the change of the government policy. It develops this discussion to be, as bias it classifies the scope of research, the growth and atrophy of Kaesong merchant is how developed a discussion puts the focu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on Dynasty. After all, Choson government stood a Confucianism idea and adhered a restraining merchant policy is burns the merchants at Kaesong confronted in ordeal, but the change of government policy is operated with the opportunity it will be able to acquire the enormous capital with him it means that has become the commerce base of Kaesong merchant. Finally, it was to show an instruction that becomes the capitalism permeation due to the outside power in national isolation policy and commercial affairs reverse recognition of the Choson government.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Choson Dynasty(Choson government), Kaesong merchants, Confucianism ideology, National isolation policy, Restraining merchant policy, Latter period of the Choson Dynasty

피인용 횟수

  • KCI 4회

  • 257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1서울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저산팔읍 상무우사의 『청금록』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19세기 후반의 인원 구성과 변동 실태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청금록』은 비록 방명록 또는 출석부 성격의 자료로서, 조직의 전체 인원을 포괄하는 명단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분석의 유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저산팔읍 상무우사는 봇짐장수인 ‘보상’의 조직이지만, 단순한 행상보다는 좌고의 단체라고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청금록』에 기재된 전호(廛號)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나, 장기에 걸쳐 전호의 연속성이 확인되지는 않는다. 직책 명칭의 변화와 인원수의 변동을 통해, 조직의 성격이 1880년대에 들어 단절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저산팔읍 상무우사가 당대의 충청남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조직이었음을 새롭게 밝힐 수 있었다. 또한 1880년대에 들어 새롭게 유입된 인원은 본래부터 정해져있던 승진 절차나 관례와 관계없이 새로운 직책을 부여받았으며, 이는 순수한 상인이 아닌 자들이 중앙조직과의 관계나 정치적 이해관계 등을 고려한 부차적 이익을 노리고 참여하였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구성원이 『청금록』 상에 출현하는 빈도나 근속연수 등의 수량 지표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통해, 멤버십이 상당히 느슨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 역시 부실하였을 가능성이 높음이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특징은 멤버 상호간의 처벌을 규정한 사항이 1855년 이후로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을 통해서도 지지된다.

Previous studies on the organization of peddlers in late Chosŏn Korea did not provide sufficient evidence‒based analysis. In this paper, Ch’ŏnggŭmnok of the peddlers’ community in the Eight Ramie Producing Counties was analyzed intensively to approach the actual management of peddlers’ organizations in Ch’ungch’ŏngnam province in the late 19th century. Ch’ŏnggŭmnok is not without the usefulness of the analysi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all it a list covering the entire number of people in the organization, as data in the nature of the guest book or attendance book. The peddlers’ community in the Eight Ramie Producing Counties was an organization of ‘peddlers’, but it is hard to say that it was an organization of ‘real’ peddlers, as is commonly understood, and it was also understood as a community of stallholders.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inferred from the stall names listed in Ch’ŏnggŭmnok. However, the continuity of stall names over the long term is not confirmed, and this can be seen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number of members.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 seems to have been changed from the 1880s, as can be seen by the change in the official titles and the change in the number of people. In this paper, it was clarified that the peddlers’ community in the Eight Ramie Producing Counties was the largest organization of merchants in Ch’ungch’ŏngnam province at the time. In addition, in the 1880s, the newly introduced personnel were given new positions regardless of the originally set promotion procedures or practices, as nonmerchants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for secondary interests in consideration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organization or political issues.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membership was quite loose and that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was also poor, unlike what had been understood previously, as shown by the analysis of the quantity index such as frequency of entry and participation duration on Ch’ŏnggŭmnok. This feature is also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provisions for the punishment between the members have not been found since 1855.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itinerant traders, stallholders, list of members, guild, the Eight Ramie Producing Counties

피인용 횟수

  • KCI 1회

  • 119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