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인구 변화 - joseon ingu byeonhwa

���� �������� �Ѷ� �������� ��ȸ ������ �� ������ ����
�ѹݵ� �α�, 2032�� 7900�� �� ���� ��� ����

6��25���� ���� '���̺� ��'�� ���Ѽ��� 10�Ⱓ 900�� �� ���
����� ���� ���ӡ� 100�� �� �ѱ� �α�, ������ ���ݼ��� �� ��

�츮���� �α��� ������ ������ ��´�. 8�� ���û�� ��ǥ�� �巡�α��߰�(2015~2065��)�� ������, ����� ������ ���ӵǸ鼭 ���ѹα� �α��� 2031�� 5296�� ���� ������ ���������� �ȴ´�. ��ó�� �α��� ��ȸ ������� ������ ��ǵ鿡 ������ ������ ������ �ݺ��Ѵ�. �����ֶ� ��ÿ��� ������� �α� ��Ż�� �־���, 6��25 �ѱ����� ���Ŀ��� �α��� �ް��� �þ�� '���̺� ��' ������ ��Ÿ���⵵ �ߴ�. �츮���� �α� ��ȭ�� ������ ��ģ �������� ��ǵ��� ��¤��ô�.

�޻ﱹ�ô� 380�� ���� ���� �ʱ��� ���� ����

조선 인구 변화 - joseon ingu byeonhwa

���� �α����� ��Ȯ�� �ڷᰡ ���� ���� ������ ��Ḧ ���� ������ �� �� �ִ�. ������ �ܱ��� ���а� ������ "�α��� ������ ���� ��Ͽ� ���� ���̰� ���� �� �ִ�"�� "��ÿ� �ٴ��� �α� ���� ����� �������Ƿ� ��Ȯ���� �������� �� �翬�ϴ�"�� �����ߴ�.

�츮���� �α� ���� ���� ����� BC 1���⿡ ������ �߱� ���缭 '�Ѽ�������(��������)'��. �� å�� ������ ��� ������ �߽ɺο��� ���� ������ 6��2812ȣ ������ �������, �α����� 40��6748���̾���.

������, ����, �Ŷ�� ���� �ﱹ�ô뿡�� ���� �������� �α� ��ȭ�� ����ߴ�. �α����� ������ �ַ� ���� ���� ���п� ���� ���ΰ� �� �������ų� ���θ� ��ƿ��� �������� �̷�����. �ﱹ����(�����ô� �·� �Ͽ���1206~1289�⡵�� �� �ﱹ�ô� ���� ����å)�� ������ 5~6���� �츮���� ���信 ��� �α����� ������ 69�� ȣ������ 76�� ȣ���Ŷ� 17�� ȣ ���� ������ �� �� 380�� �������̾���.

������ ���� �����ô� �ʱ������ ���ٸ� �α� ��ȭ�� ������. ���� �ʱ� �α����� �� 550�� ������. ������ 200�� ���� 16���⸦ ������ ��� ����� �ߴ޷� �α��� 1000�� ���� �����ϸ� �������� �������� ������.

�α� ������ 17���� ���� �� ���� ��ħ�� �ޱ⵵ �ߴ�. 1170�� ������ �þ��� �α��� �����ֶ�(1592~1598��)�� ����ȣ��(1636~1637��)�� �������� 1090�� ������ �پ�����. �������� ���� ������ ������� ���� ����� ����� �Ҿ���.

���ѱ����� ���� '���̺� ��' �������� �α� ����

조선 인구 변화 - joseon ingu byeonhwa
�� 2012�� 6�� 23�� �¾ ��õ������ ���. �̳� �츮���� �α��� ���������� 5000�� ���� �����ߴ�. / �����Ϻ� DB

�ѹݵ� �α��� ���� ������ �� ���� ��ü�⸦ �޾�����, �ٽ� ���ĸ� ��¼��� ȸ���ߴ�. 1910�� ����� ���α��� 1742�� ��. �Ұ� 300�� �� ���� 70%�� ����� ���弼�� �������.

1925��, ���� ���ʷ� �ٴ��� ����� Ȱ���� ���簡 �̷����� ��Ȯ�� �α� ���谡 ����������. ���踦 ���� �Ͽ��ߴ� ���������� �������� �α��� �þ��. ���� ������ 1944�⿡ �ѹݵ��� ��� ���α��� 2512�� ���� ���ߴ�. ���� ����(1949��)���� 2927�� ������ �� ���� �� �þ���. ������ ź���� ���� �ؿܿ� �����ϴ� �������� ��ȯ�ϸ鼭 �α��� ������ ������ �м��ȴ�.

�д��� ������� �Ҹ��� 6��25 �ѱ����ﵵ �α� ������ ���� ���ߴ�. ������ ���� �� '���̺� ��(Baby Boom)' ������ ��Ÿ���� �����̴�. ���̺� ���̶� �����̳� �Ұ�� �� �Ҿ����� ��Ȳ�� ������ dz��Ӱ� ������ ��Ȳ���� ����� �α� ���� ����. ���ѿ����� 1955�⿡�� 1964�� ���� �¾ '���̺� �θ�'�� �� 900�� ���� ���ߴ�.

���� ���� ������ ��ȸ�� ������� ������� �α����� �̸� �ݿ��ϵ� �����ߴ�. 1980�� ���α��� 5000�� ���� ������ �� �̾� 35�� ���� 2015�⿡�� 7621�� ������ �α��� �þ���.

��15�� �� '�α� ����' �������弼�� �����Դ� �츮���� �α��� ������ ��ü�⿡ ����. ���û�� �α� �߰� �ó������� ������ �ѱ��� �α��� 2031��(5296�� ��)�� �������� �������� ���Ҽ��� ������. �� �߼���θ� 2115�� �츮���� �α��� ������ ���� ������ 2582�� ������ �����ȴ�. ������ ���� �α� �����̴�.

������ �α� ���ҿ� �Բ� �����, ����ȭ�� '�α� ����'�� ã�ƿ´ٴ� ���̴�. �α� �����̶� ���� ���� �α�(15��64��)�� ������ �޼ӵ��� �پ��� ����. ���� ���� �α��� �پ��ٴ� ���� �� �� �Ǵ� ����Ȱ�� �α��� �������� �� ���� ���ΰ� ��̵��� �Կ� ����� �Ѵٴ� ���� ���Ѵ�. �ᱹ �ɰ��� ���� ���Ⱑ �߻��� �� �ִ�. ������ ���û �α���������� "���� �ѱ��� �Ѻξ��� �������°��߱ⱸ(OECD) ȸ���� ��� ���� ������ 2065�⿡�� ���� ���� ������ �� ��"�̶�� ����ߴ�.

���� �α� �帧 �˸� ����絵 ���δ�

�����(BC) 500�⸸ �ص� ���� �α��� �� ���ĺ��� 1�� ���̾���. ���� �α����� 10�� ���� �̸� �� 1805����. ��� �α� ���� �ӵ��� 11~13���⸦ ����� '���ڱ� ����'�� 15���� ���� ������ ���� �佺Ʈ ���� ������ ������ ������.

18���� �Ĺ� ���۵� ��������� �����ߴ� �α� ������ ���� ����. ����� �ߴ޷� ����� ������ ���ÿ� �����ϸ鼭 ��� ������ ũ�� �þ��. �̿� ���� ���� �α��� 10�� ���� ������ �� �ܿ� 122�� ���� 1927��, �Ǵٽ� 20�� ���� �����ߴ�.

���� �α��� ���� ������ ��¼��� ���̰� �ִ�. 1999�� ���� �α����� '60��'�̶� ���� ���ڿ� �����ߴ�. 2011�⿡�� 70�� ���� �Ѿ��. 2015�� ���� �α��� 73��2000������ ����ϸ�, 5�� ���� ���� 3�� �̻� �����ߴ�. �� �߼���θ� 2060�⿡�� 99��6000������ �����̿� �˱����� �� �� ������ �����ȴ�.

1980∼1990년대의 우리나라 인구변동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인구성장면에서는 국민의 소산적 태도의 형성과 더불어 폭넓은 피임수용(避妊受容)으로 ① 대체수준을 밑도는 출산력의 감퇴, ② 지속적인 사망력 수준의 감소와 평균수명의 상승, ③ 이로 인한 인구의 소자화(小子化) 및 고령화(高齡化)와 인구구조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둘째로 인구분포면에서는 ①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 대한 인구의 과도한 집중, ② 5대 지방도시(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의 급속한 성장과 시승격 및 광역도시 개념의 설정으로 인한 인구도시과정의 급속한 진척, ③ 이로 인한 시간(市間)인구이동지배적인 국내인구이동유형의 변화, ④ 특히 서울시인구성장의 둔화 내지 감소와 주변도시인구의 J-turn현상, ⑤ 계속되는 농촌인구의 절대수감소 등을 들 수 있다.

셋째로 인구의 가구구성측면에서 보면, 지난 25년 간 ① 1세대가족 및 1인가족의 구성비 증가, ② 2세대가족의 완만한 감소,③ 3세대 이상 가족 구성비의 급속한 감소 등의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④ 특히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가족구성비의 특성은 우리 사회의 고령화와 사회복지문제와 관련하여 주목된다.

[표 9] 1980년대이후의 주요 인구지표

1980199019952000200520102020
인구규모 총인구(천)38,124 42,869 45,093 47,275 49,123 50,618 52,358
남자19,236 21,568 22,705 23,831 24,778 25,537 26,427
여자18,888 21,301 22,388 23,443 24,345 25,081 25,974
성비(m/f)101.8 101.3 101.4 101.7 101.8 101.8 101.7
인구성장률1.37 1.02 0.95 0.77 0.66 0.42 0.13
인구밀도(명/㎢)385 432 454 476 495 510 527
도시화율(%)57.3 73.6 78.5
인구동태율(%) 조출생률2.06 1.63 1.56 1.42 1.30 1.18 1.08
조사망률0.64 0.55 0.55 0.59 0.64 0.71 0.89
자연증가율1.42 1.08 1.01 0.83 0.66 0.47 0.19
합계출산률(TFR)¹⁾2.73 1.60 1.74 1.71 1.71 1.74
평균수명(세)65.8 71.6 73.5 74.9 76.1 77.0
남자62.7 67.7 69.6 71.0 72.3 73.3
여자89.1 75.7 77.4 78.6 79.7 80.7
인구구조(%) 연소인구(0∼14세)34.0 25.6 23.4 21.7 21.2 19.9 17.2
생산인구(15∼64세)62.2 69.3 70.7 71.2 70.1 70.1 69.6
노년인구(65세이상)3.8 5.1 5.9 7.1 8.7 10.0 13.2
평균연령26.0 29.5 31.2 32.9
주 : 1) 가임여성인구(15∼49세)가 가임기간 중 출산하는 총여아수.2) 총부양비=[(연소인구+노년인구)/생산인구]*100연소인구부양비=(연소인구/생산인구)*100노년인구부양비=(노년인구/생산인구)*100노년화지수=(노년인구/연소인구)*100자료 : 장래인구추계(통계청, 1996).

인구규모는 [표 9]에서와 같이 1980∼1995년의 15년 동안 3,812만에서 4,509만으로 697만의 순증을 보여, 기간 중 연평균 1.1%의 성장을 보였으며, 특히 1990년대 초반에 들어서면서 1%미만의 낮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이른바 저출생-저사망의 인구동태유형에서 오는 것으로, 출산력은 국민의 폭넓은 가족계획수용으로 인하여 합계출산률(TFR)이 1980년대 중엽부터 인구의 대체수준(代替水準)인 2.0(명)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1995년 현재 1.74에 이르고 있다.

사망력은 보건의료분야의 급속한 발달과 국민개보험(國民皆保險)에 힘입어 조사망률이 0.55%의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동시에 평균수명은 기간 중 65.8세에서 73.5세로 급속한 연장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한 인구의 소자화와 고령화 추세는 지난 15년간의 인구구조를 ① 연소인구(0∼14세인구)구성비의 급속한 축소와 절대수 감소, ② 생산인구(15∼64세인구)구성비의 체증(遞增), ③ 노인인구(65세 이상)의 구성비 및 절대수의 급속한 증가의 방향으로 변동하고 있다.

연소인구구성비는 1970년의 42.5%에서 1980년의 34.0%, 1990년의 25.6%, 그리고 1995년의 23.4%로 급속한 감소를 보이는 동시에 인구수도 1980년의 1,296만에서 1990년의 1,097만, 그리고 1995년의 1,056만으로 빠른 절대수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다.

생산인구의 구성비는 기간 중 62.2%에서 70.7%로 체증하고 있으며, 절대수도 2,371만에서 3,188만으로 연평균 2.0%의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노인인구는 그 구성비가 1970년대까지 지속되어 왔던 3.0%수준에서 벗어나서 1980년에는 3.8%, 1990년의 5.1%, 그리고 1995년 현재 5.9%로 빠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절대수도 1980년의 145만에서 1995년의 266만으로 연평균 4.1%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198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근원적 요인이 된다. 또한 인구구조는 1960년대의 피라미드형에서 종형연령구조로의 전환을 이루어가고 있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부양구조에도 변화를 가져와서,

① 생산인구에 대한 비생산인구(연소인구+노년인구)의 비율을 나타내는 총부양비는 기간 중 60.7에서 41.3으로 급속한 간소추세를 보이는 반면,

② 총부양비를 구성하는 연소인구부양비와 노년인구부양비 중 연소인구부양비는 인구의 소자화에 의해서 34.0에서 23.4로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노년 인구구양비는 6.1에서 8.3으로 체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③ 따라서 연소인구에 대한 노년인구의 비율을 나타내는 노년화지수는 11.2에서 25.2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표 9] 참조)

인구의 지역간 분포는 계속된 경제성장과 산업화의 진척으로 ① 인구도시화의 지속적인 진척, ② 시도(市道)인구의 불균형 성장, ③ 특히 인구의 수도권지역에 대한 무거운 집적(集積) 등으로 요약된다.

인구도시화는 ① 지방거점도시의 성장, ② 시부수의 증가와 시구역의 확장 등으로 급속한 진척을 보아 도시화율은 1970년의 41.1%에서 1980년의 57.3%, 1985년의 65.4%, 1990년의 74.4%, 1995년 현재 78.5%로 급성장하여 거의 상한치에 다다르고 있다.

이는 또한 군부(郡部)인구의 지속적인 절대수 감소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군부인구는 이미 1970년의 1,876만을 고비로 절대수감소현상을 가져와 1980년에는 1,600만, 1990년의 1,130만, 그리고 1995년 현재는 957만으로 감소했으며, 따라서 군부율도 1975년의 51.6%에서 1980년의 42.7%, 1990년의 25.6%, 그리고 1995년의 21.5%로 급속하고도 지속적인 감소를 하고 있다.

인구의 시도간 분포는 1980∼1995년간에 ① 수도인 서울시 인구의 성장이 둔화되었으며, ② 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 등 6대 지방도시 지역과 경기도 및 경남의 인구는 수 및 구성비의 증가를 보이고 있고, ③ 기타의 도인구는 절대수 및 구성비의 감소를 가져오는 변화를 보여 시도간 인구성장의 심한 불균형 상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서울특별시 및 인천직할시와 경기도를 포함하는 이른바 수도권지역의 인구와 구성비는 1980년의 1,330만(35.4%)에서 1985년의 1,582만(39.1%), 1990년의 1,859만(42.8%), 1995년의 2,019만으로 전체인구의 45.3%가 국토의 11.8%(11,692㎢)에 불과한 지역에 집적되어 있다.

이러한 수도권 지역에 대한 과밀인구집적 현상은 이 지역의 교통·주택·환경·안보 등의 여러 영역과 관련되어 많은 문제들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 인구는 그간 절대수 및 전국인구의 구성비에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여왔으나, 1990년대 들어오면서 성장추세가 둔화되어 인구의 소폭증감이 반복되고 있는 반면,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도시들의 높은 인구성장이 관찰되어 주택 및 교통문제와 관련해 서울시 인구가 이들 지역으로 J-turn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가족은 부부를 중심으로 하여 자녀의 출산과 양육, 노부모의 보호 등의 가장 중요하고도 근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터전으로 모든 문화에서 관찰된다.

[표 10] 우리나라의 센서스연도별 일반가구의 가족형태별 구성 (단위 : %)

가족형태\연도197019751980198519901995노인인구의 가족구성
전국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가구수/천)(5,576) (6,648) (7,969) (9,571) (11,355) (12,958) 2,624(천)²⁾
연평균성장률(%)3.6 3.7 3.7 3.5 2.7
1-세대가족6.8 6.7 8.3 9.6 10.7 12.7 23.2
2-세대가족70.0 68.9 68.5 67.0 66.3 63.3 23.0
3-세대가족22.1 19.2 16.5 14.5 12.2 9.8 38.4
4-세대가족1.1 0.9 0.5 0.4 0.3 0.2 1.3
1인 가구- 4.2 4.8 6.9 9.0 12.7 13.3
비혈연 가구- - 1.5 1.7 1.5 1.4 1.1
주 : 1) 1995년 현재 65세이상노인인구의 가족구성2) 1995년 현재 65세이상노인인구수자료 : 각년도 인구 및 주택 센서스 보고서(통계청).

우리나라 인구의 가족 형태별 구성의 변화를 보면, [표 10]에서와 같이 ① 우선 가구수의 성장추세와 인구성장률을 상회하고 있으며, ②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2세대 가족의 구성비가 완만한 감소경향을 보이고 있고, ③ 노부모를 모시는 3세대 가족이 급속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④ 부부만의 1세대 가족과 1인가구의 구성비가 빠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① 산업화·도시화와 관련된 핵가족화와 소자화(小子化), ② 전통적인 가치·규범의 쇠퇴와 경로효친사상의 퇴조, ③ 이로 인한 노부모 부양의식의 약화와 노인문제의 대두 등 많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가구수는 1980년의 797만 가구에서 1995년의 1,296만 가구로 기간 중 499만 가구의 실수증가에 연평균 3.3%의 높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1.1%의 인구성장률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2세대 가족은 1980년의 546만의 실수증가를 보이나, 구성비는 1980년의 68.5%에서 1995년의 63.3%로 낮아져서 완만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2세대 핵가족에 대한 국민의 선호경향과는 대조적으로 3세대 이상 가족은 기간 중 135만에서 130만으로 5만 가구의 실수감소를 보이는 동시에 구성비는 17%에서 10%로 급속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급속한 구성비의 증가를 보이고 있는 가족형태는 1세대 가족과 1인 가구이다. 부부만의 1세대 가족은 66만 가구에서 165만 가구로 무려 98만 가구의 실수증가를 하는 동시에 구성비도 8.3%에서 12.7%로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1세대 가족은 크게 아직 자녀출산전인 신혼의 젊은 세대와 출산한 자녀들을 양육시킨 뒤 이들과 별거하는 노부부 세대로 구분되는데 노인인구의 1세대 가족구성비율이 1995년 현재 23.2%로 전국치보다 훨씬 높다.

1인 가구는 기간 중 38만 가구에서 165만 가구로 126만 가구의 순증을 보이는 동시에 구성비도 4.8%에서 12.7%로 급증하고 있다. 1인 가구는 크게 미혼의 젊은 세대와 노부부가족 중 한 쪽이 사망하게 되면 발생하는 형태이며. 특히 노인인구에서 1인 가구형태의 구성비가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1995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가족구성은 ① 노인이 자식세대의 보호아래 있음을 의미하는 3세대 이상 가족의 구성비가 약 40%로 가장 많아서 아직도 전통적인 노인부양형식이 실존하고 있음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으며,

② 가구주로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위치에 있는 2세대가족과 자녀양육을 끝내고 이들과 별거상태에 있는 1세대 부부가족이 각기 23%이며,

③ 노인이 독거하는 1인 가구가 13%를 점하고 있으며, 그 구성비가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노인인구의 이러한 가족구성형태의 변화는 다가오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문제의 심각성과 노인복지정책의 중요성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