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 영화제 기생충 - kan yeonghwaje gisaengchung

한국 영화 최초로 칸영화제 최고상 수상 영예
이창동 ‘시’ 각본상 이후 9년 만의 본상 쾌거
봉 감독 “기생충은 영화적 모험…배우들에 감사”
송강호 “대한민국 모든 배우에 영광 바친다”

칸 영화제 기생충 - kan yeonghwaje gisaengchung

봉준호 감독이 25일(현지시각)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72회 칸 국제 영화제에서 영화 `기생충‘으로 황금종려상 수상한 뒤 기뻐하고 있다. 칸/AFP 연합뉴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25일(현지시각) 제72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 사상 최초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한국영화가 칸 국제영화제에서 본상을 받은 것은 지난 2010년 이창동 감독의 <시>가 각본상을 받은 뒤 9년 만이다.

현지시각으로 이날 오후 7시15분 프랑스 휴양도시 칸에서 열린 칸영화제 폐막식에서 <기생충&amp;amp;gt;은 전 세계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맨 마지막에 호명됐다. 무대에 오른 봉준호 감독은 “프랑스어 연설을 미처 준비하지 못했지만 언제나 프랑스 영화를 보며 영감을 받았다”며 “&amp;amp;lt;기생충&amp;amp;gt;은 영화적인 모험이었다. 새로운 영화를 만들고 싶었고, 이는 함께 한 수많은 아티스트가 있어서 가능했다”고 수상의 영광을 배우와 스태프들에게 돌렸다. 이어 “가장 위대한 배우이자 동반자인 송강호씨의 멘트를 꼭 듣고 싶다”며 &amp;amp;lt;기생충&amp;amp;gt;의 주연배우이자 자신의 페르소나로 불리는 배우 송강호를 무대 위로 소환했다. 무대에 오른 송강호는 “인내심과 슬기로움과 열정을 가르쳐 주신 존경하는 모든 대한민국 배우들에게 이 영광을 바치겠다”고 말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가족들에게 감사를 전한 봉 감독은 “저는 그냥 열 두살 나이에 영화감독이 되기로 마음먹은 소심한 영화광이었다. 이 트로피를 손에 만지게 될 날이 올 줄 상상도 못 했다”며 주먹을 쥔 손을 번쩍 들어 올려 수상의 기쁨을 표했다. &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amp;amp;lt;기생충&amp;amp;gt;은 구성원 모두가 백수인 기택(송강호)네 장남 기우가 박 사장네 고액 과외선생이 되면서 일어나는 예기치 못한 사건을 다룬 블랙 코미디다. 가난한 가족과 부자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사회는 물론 전 세계의 화두로 떠오른 빈부 격차의 문제를 드러낸다. &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amp;lt;div class="image-area"&amp;gt; &amp;lt;div class="imageC" style="width:580px"&amp;gt; &amp;lt;div class="image"&amp;gt; &amp;lt;img src="//img.hani.co.kr/imgdb/resize/2019/0526/00500044_20190526.JPG" style="width:580px" title="영화 &amp;amp;lt;기생충&amp;amp;gt;의 한 장면. 씨제이이앤엠(CJENM)제공" alt="영화 &amp;amp;lt;기생충&amp;amp;gt;의 한 장면. 씨제이이앤엠(CJENM)제공" /&amp;gt; &amp;lt;/div&amp;gt; &amp;lt;div class="desc" style="width:580px"&amp;gt;영화 &amp;amp;lt;기생충&amp;amp;gt;의 한 장면. 씨제이이앤엠(CJENM)제공&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경쟁부문 심사위원장인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감독은 시상식 직후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amp;amp;lt;기생충&amp;amp;gt;은 재밌고 유머러스하며 따뜻한 영화”라고 평가했다. 칸영화제는 지난해 일본의 거장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amp;amp;lt;어떤 가족&amp;amp;gt;에 이어 올해 &amp;amp;lt;기생충&amp;amp;gt;에 황금종려상을 수여함으로써 2년 연속 아시아 영화에 최고상을 안겼다.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감독은 “우리는 정치적이거나 사회적인 이유로 수상작을 결정하지 않는다. 감독이 누구이고 어느 나라 영화인지도 중요하지 않다”며 “영화 그 자체로만 평가한다”고 강조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한국영화와 칸은 그 인연이 깊다. 지난 2000년 임권택 감독의 &amp;amp;lt;춘향뎐&amp;amp;gt;이 칸 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 처음 진출한 뒤 지금까지 14편의 영화(장편)가 경쟁부문에 진출했다. 2002년 임권택 감독의 &amp;amp;lt;취화선&amp;amp;gt;이 감독상을, 2004년 박찬욱 감독의 &amp;amp;lt;올드보이&amp;amp;gt;가 심사위원대상을, 2007년 이창동 감독의 &amp;amp;lt;밀양&amp;amp;gt;으로 배우 전도연이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어 2009년 박찬욱 감독의 &amp;amp;lt;박쥐&amp;amp;gt;가 심사위원상을, 2010년 이창동 감독의 &amp;amp;lt;시&amp;amp;gt;가 각본상을 받았다. &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한편, 이날 심사위원대상은 흑인 여성 감독인 마티 디옵의 &amp;amp;lt;아틀란틱스&amp;amp;gt;에게 돌아갔으며, 심사위원상은 라즈 리의 &amp;amp;lt;레 미제라블&amp;amp;gt;과 클레버 멘도사 필로의 &amp;amp;lt;바쿠라우&amp;amp;gt;가 공동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남우주연상은 &amp;amp;lt;페인 앤 글로리&amp;amp;gt;의 안토니오 반데라스, 여우주연상은 &amp;amp;lt;리틀 조&amp;amp;gt;의 에밀리 비샴, 감독상은 다르덴 형제의 &amp;amp;lt;영 아메드&amp;amp;gt;, 각본상은 셀린 시아마의 &amp;amp;lt;포트레이트 오브 어 레이디 온 파이어&amp;amp;gt;가 각각 수상했다. 유선희 기자 &amp;lt;a href="mailto:"&amp;gt;&amp;lt;/a&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amp;lt;b&amp;gt;&amp;amp;lt;제72회 칸국제영화제 수상작 명단&amp;amp;gt;&amp;lt;/b&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 황금종려상: 봉준호 &amp;amp;lt;기생충&amp;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 심사위원대상 마티 디옵 &amp;amp;lt;아틀란틱스&amp;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 심사위원상 라즈 리 &amp;amp;lt;‘레 미제라블&amp;amp;gt;, 클레버 멘돈사 필로 &amp;amp;lt;바쿠라우&amp;amp;gt; &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 남우주연상 안토니오 반데라스(&amp;amp;lt;페인 앤 글로리&amp;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 감독상 장 피에르·뤼크 다르덴 &amp;amp;lt;영 아메드&amp;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 여우주연상 에밀리 비샴(&amp;amp;lt;리틀 조&amp;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 각본상 셀린 시아마 &amp;amp;lt;포트레이트 오브 어 레이디 온 파이어&amp;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 특별심사위원언급상 엘리아 술레이만 &amp;amp;lt;잇 머스트 비 헤븐&amp;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 황금카메라상 세사르 디아스 &amp;amp;lt;누에스트라 마드레스&amp;amp;gt; &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 단편 황금종려상 바실리스 케카토스 &amp;amp;lt;더 디스턴스 비트윈 어스 앤 더 스카이&amp;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amp;lt;script id="inner_pictorial_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www.hani.co.kr/section-homepage/svc/js/innerpictorial.js" data-section="005007033" data-start="1"&amp;gt; &lt;/div&gt; &lt;div title="관련기사" class="relation-tyA"&gt; &lt;h5&gt;관련기사&lt;/h5&gt; &lt;ul class="list"&gt; &lt;li&gt; &lt;a target="_blank" href="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95322.html"&gt; &lt;span class="photo"&gt;&lt;img src="https://img.hani.co.kr/imgdb/thumbnail/2019/0526/00500536_20190526.JPG" alt="칸 현지에서 외친 “브라보, 봉준호!”" title="칸 현지에서 외친 “브라보, 봉준호!”"&gt;&lt;/span&gt; &lt;span class="tit"&gt;칸 현지에서 외친 “브라보, 봉준호!”&lt;/span&gt; &lt;/a&gt; &lt;/li&gt; &lt;li&gt; &lt;a target="_blank" href="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95319.html"&gt; &lt;span class="photo"&gt;&lt;img src="https://img.hani.co.kr/imgdb/thumbnail/2019/0526/00500427_20190526.JPG" alt="[포토] 칸에서 빛난 봉준호와 송강호의 ‘케미’" title="[포토] 칸에서 빛난 봉준호와 송강호의 ‘케미’"&gt;&lt;/span&gt; &lt;span class="tit"&gt;[포토] 칸에서 빛난 봉준호와 송강호의 ‘케미’&lt;/span&gt; &lt;/a&gt; &lt;/li&gt; &lt;li&gt; &lt;a target="_blank" href="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95321.html"&gt; &lt;span class="photo"&gt;&lt;img src="https://img.hani.co.kr/imgdb/thumbnail/2019/0526/00500530_20190526.JPG" alt="[기자회견 전문]“‘봉준호 자체가 장르’ 코멘트 감격스러웠다”" title="[기자회견 전문]“‘봉준호 자체가 장르’ 코멘트 감격스러웠다”"&gt;&lt;/span&gt; &lt;span class="tit"&gt;[기자회견 전문]“‘봉준호 자체가 장르’ 코멘트 감격스러웠다”&lt;/span&gt; &lt;/a&gt; &lt;/li&gt; &lt;/ul&gt; &lt;/div&gt; &lt;div class="gudokArea"&gt; &lt;a href="https://subs.hani.co.kr/" title="구독신청" target="_blank"&gt;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lt;span&gt;한겨레 구독신청 하기&lt;/span&gt;&lt;/a&gt; &lt;/div&gt; &lt;link rel="stylesheet" href="//img.hani.co.kr/section-image/22/bn_support/bn2022_event_blanket.css" type="text/css"&gt; &lt;div class="bn-promotion-support-5st"&gt; &lt;div class="support-con item1" style="display:block"&gt; &lt;div class="support-btn"&gt; &lt;div class="btnnavy"&gt;&lt;a href="https://support.hani.co.kr/introduce/event_kyeoriblanket.html" target="_blank"&gt;이벤트 참여하기&lt;/a&gt;&lt;/div&gt; &lt;/div&gt; &lt;/div&gt; &lt;/div&gt; &lt;/div&gt; &lt;/div&gt; &lt;div id="ad_box01" class="ad_box01_area"&gt; &lt;h3 class="blind"&gt;광고&lt;/h3&gt; &lt;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adservice.hani.co.kr/RealMedia/ads/adstream_jx.ads/hani_desktop/@x13?section=culture&amp;kisano=895309"&gt;</div> <div id="taboola-3x3-article-thumbnails"></div><script type="text/javascript">window._taboola = window._taboola || [];_taboola.push({mode: 'thumbnails-desktop-a',container: 'taboola-3x3-article-thumbnails',placement: 'Below Article Thumbnails 1',target_type: 'mix'});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