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자루스 스트레스 대처이론 - lajaluseu seuteuleseu daecheoilon

Richard Lazarus

스트레스에 대한 상호작용적인 관점

심리적 요인

인간은 다른 동물에게는 없는 고등 인지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다. Lazarus(1984, 1993)에 따르면 스트레스가 개인에게 미치는 효과는 스트레스 사건 자체보다는 위협, 취약성 및 대처 능력에 대한 그 사람의 느낌에 더 기반을 둔다.

Lazarus와 Susan Folkman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한 개인과 그 개인의 자원을 혹사시키거나 초과하고 그의 안녕감(well-being)을 위태롭게 하는 것으로 평가된 환경과의 특정한 관계”로 정의하였다(1984, p.19). 이들의 이론은

1)상호작용적(interactional) 혹은 교류적(transactional) 입장으로, 스트레스는 개인과 환경 간의 관계라고 주장한다.

2)교류의 핵심은 심리적 상황에 대한 개인의 평가라고 주장한다.

3)상황은 위협적이거나 도전적이거나 혹은 해로운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고 믿는다.

평가

Lazarus와 Folkman(1984)은 사람들이 상황을 평가할 때 세 가지 유형의 평가를 사용한다고 생각하였다.

① 일차평가(primary appraisal)

사건에 대해 자신과 무관하거나 긍정적이거나 혹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긍정적 평가 - 그 사건이 개인에게 좋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는 의미

스트레스적 평가 - 그 사건이 해롭거나 위협적이거나 혹은 도전적인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의미함. 해로움, 위협 및 도전은 정서를 일으킨다. 각각에 대한

Lazarus(1993)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정의

유발될 수 있는 정서

해로움(harm)

질병이나 부상같이 이미 일어난 손상

분노, 혐오, 실망, 슬픔

위협(threat)

해로움이 예측되는 상황

걱정, 불안, 두려움

도전(challenge)

어려운 요구를 극복하는 데 있어서의 확신

흥분 혹은 확신

② 이차평가(secondary appraisal)

일차평가를 통해 상황을 해로움, 위협 혹은 도전적인 것으로 평가한 후에는 상황에 따라 자신이 통제하거나 대처할 수 있는지 자신의 능력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된다.

ⅰ) “내가 이용 가능한 선택은 어떤 것인가?”

ⅱ)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수적 책략을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ⅲ) “이러한 과정이 잘 될 것인가? 또한 그것이 나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인가?”

③ 재평가

새로운 정보를 이용한 평가로서 때때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취약성

스트레스는 개인적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상황에서 자원이 모자랄 때 가장 쉽게 발생한다. 자원은 신체적이거나 사회적인 것일 수 있다.

Lazarus와 Folkman(1984)은 신체적 혹은 사회적 결함만으로는 취약성을 산출하는 충분조건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중요한 것은 사람이 그러한 상황을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여부이다.

대처

스트레스에 대한 Lazarus 이론의 중요한 요인은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이다. Lazarus와 Folkman은 대처를 “개인의 자원에 부담을 주거나 자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되는 특정한 외부 혹은 내부 요구를 처리하고자 끊임없이 변화하는 인지적 행동적 노력들”(1984, p.141)로 정의하였다. 이 정의는 대처의 중요한 속성을 말해주는데,

ⅰ) 대처는 과정이므로 자신의 노력이 얼마만큼 성공적인가에 대한 평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ⅱ) 대처는 자동적인 것이 아니고,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학습된 반응 패턴이다. (자동적, 혹은 경험을 통해 자동화된 반응은 대처가 아니다.)

ⅲ) 대처는 노력을 요구한다. 한 개인이 자신의 대처 반응을 완벽하게 자각할 필요는 없으며 그 결과가 성공적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노력은 필요로 한다.

ⅳ) 대처는 상황을 관리(manage)하려는 노력이지만, 통제(control)하거나 상황을 완벽하게 처리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article{ART001787509},
author={ 이현주 and 엄명용 },
title={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journal={사회복지연구},
issn={1598-3854},
year={2013},
volume={44},
number={2},
pages={111-140},
doi={10.16999/kasws.2013.44.2.111},
url={http://dx.doi.org/10.16999/kasws.2013.44.2.111}

TY - JOUR
AU - 이현주
AU - 엄명용
TI -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T2 - 사회복지연구
PY - 2013
VL - 44
IS - 2
PB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SP - 111-140
SN - 1598-3854
AB - 본 연구는 미혼모의 스트레스와 대처, 적응의 모형과 그 변인과의 관계를 Lazarus and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적응(stress-coping-adaptation)’의 이론적 모델에 입각해 검증하고 분석하여 미혼모의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적응을 도모할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423명의 미혼모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Lazarus and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적응’의 이론적 모델을 기초로 구성한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의 실증적 자료는 적합성이 확인되었고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 자원과 스트레스, 대처, 적응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 추구’의 조절효과를 제외한 연구의 가설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미혼모의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학문적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KW - 미혼모, 스트레스-대처-적응 이론, 구조방정식 모형, 조절회귀분석
DO - 10.16999/kasws.2013.44.2.111
UR - http://dx.doi.org/10.16999/kasws.2013.44.2.111
ER -

이현주 and 엄명용 (2013).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사회복지연구, 44( 2), 111- 140.

이현주 and 엄명용 . 2013,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사회복지연구, vol. 44, no. 2, pp. 111-140. Available from: doi:10.16999/kasws.2013.44.2.111

이현주 엄명용 et al.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사회복지연구 44.2 pp. 111-140 (2013): 111.

이현주 , 엄명용 .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사회복지연구 [Internet]. 2013; 44( 2), : 111-140. Available from: doi:10.16999/kasws.2013.44.2.111

이현주 and 엄명용 .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사회복지연구 44, no.2 (2013): 111-140. doi: 10.16999/kasws.2013.44.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