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 빠졌을때 증상 - pal ppajyeoss-eulttae jeungsang

4살 아이가 6살 누나와 놀다가 갑자기 앵 하고 울더군요~ 둘이 놀다가 6살 누나가 4살 동생 손을 세게 잡아당겼는데 그 이후 아이가 손을 못쓰고 울고 있습니다. 정확히 상황을 보지 못했지만 정황상 골절은 아닌 것 같고 근육이 놀랬거나 탈골이 왔을 가능성이 있어 폭풍 인터넷 써치를 해보았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정보가 너무 없고 단편적인 것들이였어요. 그래서 아이가 괜찮아지면 미래의 누군가를 위해 아이 탈구에 대해 자세히 적어보자 다짐했고 그래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저희 아이는 다행이 탈구가 아니였는데 이 글을 검색하는 누군가의 아이들도 별일이 없기를 !!!

아이 팔이 빠졌어요


아이가 갑자기 팔을 움직이지 않거나 아프다고 자지러지듯 울 때가 있다. 보통 우리는 이럴 때 팔이 빠졌다 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이것은 팔이 빠진 것이 아니라 팔꿈치가 빠진 것이다. 이 증상은 2세 전후 영유아에게 가장 흔하고 5세 이후는 인대성장으로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팔꿈치 탈구를 Pulled Elbow 즉 요골두 이탈구라고 한다. 

팔 빠졌을때 증상 - pal ppajyeoss-eulttae jeungsang

팔꿈치가 빠졌을 때 증상, 소아 탈구 의심될 때 증상 


팔을 굽힌채 움직이지 않고 팔이 아프다고 호소하거나 팔을 아예 들지 못한다. 빠진 팔이 축 늘어져 힘이 없다. 팔꿈치가 빠졌을 때 가장흔한 증상은 팔을 굽힌 채 움직이지 못하고 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우리 아이 팔 빠졌을 때 확인할 수 있는 방법


  1. "손바닥을 펴고 주세요" 자세를 할 수 있는지 확인
  2.  손을 머리 위로 하트를 만들 수 있는지 확인
  3.  반짝반짝 동작을 할 수 있는 확인 
팔 빠졌을때 증상 - pal ppajyeoss-eulttae jeungsang

소아 탈구가 의심되면 해야되는 행동


1. 보호자가 침착해야한다 _ 이 부분이 가장 어렵다. 나도 아이가 소스라치게 우니 무서워서 큰 애에게 화를 막 내고 작은애도 다그쳤는때 이렇게 하면 아이가 두려워서 부모에게 협조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2. 응급실로 간다_ 탈구는 정형외과 전문의가 보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정형외가 전문의가 없는 응급실도 있기 때문에 미리 정형외과 전문의가 있는 응급실을 알아두는게 좋다

아이 팔꿈치가 잘 빠지는 행동


순간적으로 아이의 팔을 잡아당겼을 때, 아이가 팔을 짚으면서 넘어졌을 때 그리고 5세 이전 영유아기 

팔 빠졌을때 증상 - pal ppajyeoss-eulttae jeungsang

팔꿈치 탈골 치료방법 응급처치 대처법


병원에 가는 것이 가장 좋지만 상황에 따라 여의치 않을 경우 이런 응급처치 방법도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하지만 주의 할 것은 무리하게 잘 못 맞출 경우 아이에게 문제가 되므로 첫번째 병원을 늘 고려해야한다.

응급처치 방법을 설명보다 동영상이 좋을 것 같아 유툽에서 찾아 본 동영상을 첨부한다. 동영상 4분부터 팔을 집에서 맞출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이 보여진다. 

www.youtube.com/watch?v=MxubRjl3jds&t=1s

팔 빠졌을때 증상 - pal ppajyeoss-eulttae jeungsang

골절과 탈구의 차이점은?


아이가 팔을 잡고 아파할 때 이것이 골절이가 탈구인가 에 대해 부모들은 고민할 때가 있다. 그래서 골절과 탈구에 대해 비교해 보자면 골절의 경우 통증이 상당해서 가만히 있어도 아프고 그 통증 때문에 잠자다가도 여러번 깰 정도이다. 그리고 붓는다. 시간이 지나면 통증은 처음보다 가라앉지만 여전히 아픔이 있다. 

반면 팔빠짐의 경우, 본인이 편한 어떤 자세에서는 괜찮고 팔을 움직일 때 약간의 통증이 있지만 움직이지 않으면 고통이 없어지기도 한다. 육안으로 붓기도 없고 팔을 끼면 즉시 통증이 사라진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희 아이 팔꿈치 탈구로 병원에 방문했던 일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아이들은 아직 자라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관절이 쉽게 빠지곤 합니다. 

주의해주시지 않으면 습관성 탈골이 될 수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아이가 갑자기 팔이 아프다고 했을 때 저 처럼 당황하지 마시라고 어떤 증상이 있었는지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팔이 빠지는 원인 / 이유

저의 경우를 이야기 드리면 딱히 어떤 원인이 있진 않았습니다. 

팔을 잡아 당긴 것도 아니고 그냥 아이가 뛰어 놀다가 넘어졌는데 갑자기 팔이 아프다고 엉엉 울더라구요. 

두번째는 낮잠을 자다가 갑자기 팔이 아프다고 하면서 울더라구요 ㅠ_ㅠ

이렇듯이 진짜 뜬금없이 갑자기 시도때도 없이 빠지곤 한답니다. 

 팔 빠짐 증상

처음에는 팔이 아프다고 하여 타박상이라고만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나 두번이나 같은 일을 겪다보니 어떤 상태가 팔이 빠진 상태인지 이제는 알겠더라구요. 

가장 큰 특징은 팔꿈치를 제대로 움직이지 못합니다. 

아이가 팔꿈치를 붙잡고 아프다고 한다면 가장 먼저 "만세 자세"가 가능한지 확인해보셔야 해요.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릴 수 있다면 팔이 빠진 것은 아니구나 하고 생각하시면 될꺼 같아요. 

 대처방법

집에서도 팔을 끼울 수 있다고는 하지만 저희가 의사도 아니고 일단 무조건 정형외과로 가세요!!

가는 동안 가능하면 팔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도록 아이를 잘 감싸서 이동하시구요.

병원에서 진료는 금방 끝난답니다. 

진짜 순식간에 툭하고 끼워 넣으세요 ^^

그리고 아이와 놀아줄 때 가능하면 팔을 당기는 자세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들어 올릴때 팔을 당기기 보단 겨드랑이에 손을 넣고 들어올려주는 것 처럼이요. 

 결론

아이가 팔꿈치가 아프다고 한다면 너무 큰 걱정하지 마시고 정형외과를 방문해주세요. 

그리고 앞으로 놀아줄 때 조심한다면 큰 이상 없이 자랄 수 있습니다. 

세계 속 마디병원

어깨가 빠졌을 때 증상은? 본문

어깨가 빠졌을 때 증상은?

안녕하세요.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마디병원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다양한 계획을 세우는데요, 그중 '건강'을 위해 열심히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겨울철 무리한 운동은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로 인해 우리 몸은 혈관 및 근육이 수축되고 이로 인해 유연성이 떨어져 무리한 활동 및 운동은 부상으로 이어집니다. 

겨울철 무리한 운동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상은 '어깨'인데요, 어깨관절은 다른 관절과 달리 360도 회전이 가능한 만큼 운동 범위가 넓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운동 범위가 넓은 만큼 어깨뼈와 힘줄은 느슨하게 연결돼 있어 작은 충격에도 힘줄 손상이나 어깨가 빠질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무리한 운동 후 어깨통증이 나타나면 대부분 사람들은 단순한 근육통이나 어깨뭉침, 어깨결림 정도로 가볍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단순한 근육통이라면 수일 내 증상이 호전되지만 지속적인 통증은 어깨질환을 의심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어깨에서 발생하는 질환은 50여 가지로 다양하며 증상이 비슷할 뿐만 아니라 원인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통해 원인을 찾고 상태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겨울철 빈번하게 발생하는 어깨질환은 바로 <어깨탈구>인데요, 어깨탈구는 어깨 관절이 사고나 외상 등에 의해 관절이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 빠진 상태로 흔히 '어깨가 빠졌다'라고 표현합니다.

팔 빠졌을때 증상 - pal ppajyeoss-eulttae jeungsang

특별한 원인 없이 서서히 어깨가 빠지는 경우가 많지만 주로 첫 탈구는 강한 충격을 받거나 무리하게 젖히는 동작, 외상 등으로 어깨탈구가 발생합니다. 

어깨가 빠지면 통증은 물론 탈구된 부위가 부어오르고 멍이 들기도 합니다. 또한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 손 저림뿐만 아니라 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 번 빠진 어깨관절은 불안정성을 갖게 되고 이후 반복적으로 빠지는 '습관성 어깨탈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습관성 어깨탈구를 오랜 기간 방치할 경우 관절 안정성을 지지해주는 관절와순, 인대 등의 파열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골 손실, 및 연부 조직 손상으로 인해 '관절염'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통해 상태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통해 치료받는다면 보조기 착용, 강화 운동 같은 재활치료 및 보존적 치료, 비수술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충분히 호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을 방치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빈번하게 발생하는 어깨탈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통해 어깨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으며 과도한 어깨 사용 및 동작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리한 운동 후 어깨통증이 나타난다면 어깨질환을 의심하시고 조기에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통해 상태에 맞는 치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