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AJO님 설명글 + 안드로이드용 APK(글쓴날짜 기준) : https://cafe.naver.com/gamedol/28365

 새로나온 플스 에뮬이며 여러 면에서 epsxe를 능가하는 것 같습니다.

  UI가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한 듯, 굉장히 편리합니다.

 * 장점 : 강제세이브/로드 편함 + 스샷캡쳐 편합 + 업스케일링 편함  + 화면켜놓고 설정변경 가능 + 타에뮬과 호환 등

 * 단점 : 기존 한글패치 롬이 구동이 안된다 합니다. (기존 패치 롬은 epsxe에 맞춰짐)

           아직 쉐이더(3D질감표현) 지원이 미비한 듯.

           모바일버전은 슈로대알파가 간혹 멈춘다 합니다.

           호혈사일족2도 오프닝때 멈추는걸로 보아 만능은 아닙니다.(이게임은 Mednafen으로 잘돌아감)

  - 참고 : 강제세이브파일 호환성은, 경험상 낮은 버전것은 높은버전에서 로드가 되었으나 반대는 안되었습니다.

            몇십시간 플레이 중, 강제세이브 로드 후 프리징 1회 경험했으니 참고하시길.

  현재 공식홈피는 없고 개발자 공간인 Github 에 페이지가 있습니다.

 * 홈페이지 : https://github.com/stenzek/duckstation

   스크롤을 내리면, 윈도우용, 리눅스용, 구글플레이 등 링크가 있습니다. 

  첨부파일은 OpenEmu Bios Pack(https://archive.org/details/OpenEmuBIOSPack )에서 공개된 바이오스 포함.

duckstation-windows-x64-release_0.1.4126.7z.001

9.22MB

duckstation-windows-x64-release_0.1.4126.7z.002

3.44MB

 (2개 모두 받은후 .001을 압축해제)

■ 실행전 MSVCP~.dll 오류 발생시 : Visual C++ 2015-2019 (따로가 아닌) 통합파일 설치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Microsoft Visual C++ 2015 가 필요합니다. 

      (여러 프로그램 에서 필요. Visual C++을 사용해 작성된 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 필요합니다.)

   그런데 만약 상위버전이 설치되어있으면 설치 오류가 납니다.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저는 2017이 설치되어 있어서 2015 설치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이 때는, 기존 설치된 상위버전을 삭제하고, MS에서 새로 내놓은 Visual C++ 2015~2019 통합버전을 설치하면 해결되었습니다.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topic/%EC%A7%80%EC%9B%90%EB%90%98%EB%8A%94-%EC%B5%9C%EC%8B%A0-visual-c-%EB%8B%A4%EC%9A%B4%EB%A1%9C%EB%93%9C-2647da03-1eea-4433-9aff-95f26a218cc0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VC2015-2019 통합 설치파일로 설치 성공.

검색으로는 VC2015를 설치하라고만 나오는데, 2015-2019 통합버전을 설치해야 합니다.

x86 버전이 필요한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그 경우 x86 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정파일 경로는 첫 실행시 자동 생성됩니다.

 * 기본경로 : <윈도우 설치드라이브>\사용자(Users폴더)\<사용자아이디>\내문서(Documents폴더)\DuckStation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메뉴의 Tools -> Open Data Directory 를 누르면 기본경로를 볼 수 있습니다.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이 경로에서, 스크린샷 폴더인 Screenshots 과, 강제세이브 폴더인 savestates 의 경로는 아직 못 바꾸는 듯.

(메뉴에 없음)

■ 바이오스 설정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OpenEmu에서 공개된 바이오스로 설정했습니다.

추후 스크린샷, 강제세이브 경로도 변경 가능하길 기대합니다.

■ 패드설정 : 6가지 지원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단축키 설정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핫키 : 터보 2개, 일시정지, 스크린샷 캡쳐 설정.

'Fast Forward'와 'Turbo' 키가 나뉘어져 있는데 무슨 차이냐 하면, Emulation Settings에서 속도를 다르게 지정 가능합니다. (밑밑 스샷)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강제세이브 핫키설정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핫키 'Fast Forward'와 'Turbo'의 속도를 각각 다르게 지정가능 (기능은 빨리감기로 동일)

■ 메모리카드 설정 : 타 에뮬과 호환 + 유틸리티 자체 제공

 : epsxe 등에서 쓰던 파일을 옮겨올 수 있습니다.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경로변경가능 + 파일은 자동 생성됨.

2번째 카드는 기본적으로 사용안함으로 되어있습니다.

- Shared Between All Games 는 EPSXE등의 에뮬들처럼 메모리카드 파일을 1개로 공유합니다.

- Separate Card Per Game 은 게임마다 파일을 따로 만듭니다. 전 이걸 선택.

 * 메모리카드 유틸리티 자체 제공 : 메뉴에 버튼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메뉴에도 있고, 설정화면에도 버튼이 있습니다.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EPSXE 등에서 쓰던 파일을 그대로 불러와 데이터를 옮길 수 있습니다.

포맷이 같기때문에 이름+확장자를 바꿔 넣어도 인식됩니다.

옮길땐, 오른쪽엔 자동으로 생성되는 duckstation용 메모리카드파일(.mcd)를 선택해서 옮기면 되는데, 반드시 게임을 끈 후 옮긴후 저장해야 다시 초기화되는 일이 없습니다.

■ 그래픽 설정1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Linear Upscaling 은 체크를 해제해야 흐림이 사라집니다.

- Internal Resolution Screenshots : 원래 스크린샷 캡쳐는 화면에 보이는대로 되는데, 이걸 체크하면 내부해상도 크기로 캡쳐되나 흐려진 상태로 캡쳐되었으므로 기본값(체크안됨)으로 두는게 좋은 듯.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좌 : Linear Upscaling 체크(기본값)         우 : 체크해제

* Render 옵션 : Vulkan을 선택하려면, 그래픽카드가 지원해야 하는 듯 합니다.

  Vulkan은 다이렉트X같은 건데 새로나온 기술이고, 저는 Geforce를 사용하는데 그래픽 드라이버에 포함되어 있는 듯 따로 설치는 필요없이 선택이 되었습니다.

   플스1에뮬이 저사양이라 그런지, 암거나 골라도 화면상 차이는 못 느꼈습니다.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가운데 옵션 Crop은 'All Borders'로 변경해야 화면상 잘리는 부분이 없었습니다.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화면설정을 변경하면 여백이 생길 수 있는데, View -> Windows Size를 선택하면 여백은 사라집니다.

  Alt + Enter로 전체화면도 가능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그래픽_업스케일링 : 해상도 높여주는 옵션. 3D게임에서 그래픽 향상.

EPSXE는 해상도 바꾸면 껐다켜야 했는데, 이건 게임화면 켜놓고 옵션 설정가능해서 굉장히 편리합니다.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Enhancement Settings 에서 설정. 메우 높은 해상도 까지 지원.

PS1 올 롬셋 - PS1 ol lomses

▲ 전에 간략리뷰를 썼던 '나찰의 검'으로 테스트 해 봤습니다. (창크기 3X)

먼저 써보신 분들 말씀대로, 이제 EPSXE 쓸 이유가 한글패치롬 돌릴 때 말고는 별로 없지않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