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

국가 행복지수 최하위권
5.85점… OECD 37개국 중 35위
근로시간 멕시코 이어 2위 올라
미세먼지 농도는 평균 2배 높아

어린이 정신적 웰빙은 하위권
고령화·노인 빈곤율 압도적 1위
“사회시스템 변화·환경 대응 필요”

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

‘세계 10위 경제대국 한국, 국민 삶의 만족도는 OECD 최하위권.’

19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6개 경제부처와 함께 발간하는 ‘나라경제 5월호’의 특집 섹션 ‘이제는 삶의 질이다’에 실린 보고서 제목이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평균값으로 계산한 국가 행복지수에서 한국은 10점 만점에 5.85점으로 37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35위를 기록했다. 전체 조사 대상 149개국 중에서는 62위에 해당하는 점수다.

OECD 회원국 중 한국보다 행복지수가 낮은 나라는 그리스(5.72점), 터키(4.95점)였다. 일본은 5.94점으로 33위였고, 미국은 6.95점으로 18위였다. OECD 국가 가운데 순위가 가장 높은 나라는 핀란드(7.84점)였다. 덴마크(7.62점), 스위스(7.57점) 등이 뒤를 이었다. 국가 행복지수는 유엔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국가별 국내총생산(GDP)과 사회적 지지(사회자본), 기대수명, 삶에서의 선택의 자유, 관용, 부패 인식을 바탕으로 평가한다.

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

행복지수 외에도 보고서에 인용된 OECD 통계를 보면 우리 국민의 삶은 팍팍하다. OECD 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한국의 연간 근로시간은 1967시간으로 멕시코 2137시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OECD 국가 연평균 근로시간은 1726시간이었다. 한국 근로자가 OECD 회원국 근로자보다 한 해 241시간을 더 일하는 셈이다. 미국은 1779시간, 일본은 1644시간이었다.

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
사진=남정탁 기자

국민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대기질도 엉망이다. 2019년 기준으로 한국의 미세먼지 농도가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한국은 27.4㎍(마이크로그램)/㎥로 2위인 터키 26.9㎍/㎥, 칠레 23.7㎍/㎥ 보다 높다. OECD 평균은 13.9㎍/㎥였다.

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

아이들도 상대적으로 불행했다. 2020년 유니세프 어린이 웰빙지수에서 어린이의 신체 건강 및 학업 능력은 상위권이었지만, 정신적 웰빙은 38개국 중 34위에 그쳤다.

고령화 속도는 OECD 최고 수준이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OECD 주요국의 연평균 고령인구 증가율을 분석했더니 2020년 기준 한국은 4.4%로 회원국 가운데 압도적 1위였다. OECD 평균은 2.6%였다. 2018년 기준 OECD 주요국의 노인빈곤율도 한국이 압도적 1위였다.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43.4%로 OECD 평균 14.8%의 3배에 달했다.

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송창근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부 교수는 “미세먼지는 환경의 문제이자 최근 사회재난으로 입법화돼 관리되는 안전의 문제, 국가 산업구조가 변환되는 경제문제임과 동시에 우리 세대가 감당하고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라고 강조했다.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대학원장은 “우리나라 노인의 노동시장 참여율은 OECD 평균보다 높음에도 노인빈곤율이 몇 년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면서 “노인이 사회참여로부터 배제되지 않도록 사회시스템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제언했다.

세종=박영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

연합뉴스

‘세계 최장’ 악명이 높았던 한국 노동자의 노동시간이 지난 10년간 10% 넘게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한국의 노동자들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중남미 4개국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가장 많이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노동시간은 연간 1915시간으로 OECD 38개 회원국 중 5위였다.

멕시코가 2128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코스타리카(2073시간), 콜롬비아(1964시간), 칠레(1916시간) 등 중남미 4개국이 1~4위에 포진했다.

한국의 노동시간은 OECD 평균 노동시간(1716시간) 보다 199시간 많았다. 가장 적은 노동시간을 기록한 독일(1349시간) 보다는 566시간 더 많았다. 미국의 노동시간은 1791시간(8위), 일본은 1607시간(21위)였다.

지난해 한국 노동시간은 10년 전인 2011년보다 10.3%(221시간) 정도 줄어들었다. 2011년에는 한국의 노동시간이 2136시간으로 OECD 회원국 중 1위였다. 코스타리카가 2285시간으로 더 많긴 하지만 코스타리카는 지난해 5월 OECD에 가입한 국가로 2011년 당시 OECD 회원국이 아니었다. 콜롬비아는 2018년 가입했다.

한국의 노동시간은 2011년 1위에서 2012년 멕시코에 이어 2위로 내려온 이후에는 2017년까지 2위를 유지했다. 이어 콜롬비아가 OECD에 가입한 2018년 콜롬비아·멕시코에 이어 3위가 됐고 이후 2020년까지 3위였다가 코스타리카가 OECD에 가입한 지난해 멕시코·코스타리카·콜롬비아·칠레에 이어 5위가 됐다.

순위 하락에는 한국의 노동시간이 줄어든 영향도 있지만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등이 OECD에 가입한 영향이 컸던 셈이다.

한국에서는 지난 2004년 주5일제 근무제가 시행되기 시작했고 2018년 7월부터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됐다.

코로나19 당시에는 한국을 포함해 OECD 회원국의 노동시간이 대폭 줄기도 했다.

한국의 노동시간은 2019년 1967시간에서 코로나 사태가 터진 2020년에는 1908시간으로 3.0%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 위기 직후인 2009년(-.4%)보다 감소 폭이 더 컸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코로나 기저효과에 0.4%(7시간) 늘었다.

OECD 회원국의 평균 노동시간도 2019년 1742시간에서 2020년 1668시간으로 4.2% 줄었다가 지난해 1716시간으로 2.9% 다시 늘었다.

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
▲직장인 사진: 연합뉴스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난 10년간 10% 이상 줄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200시간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OECD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근로시간은 연간 1,915시간으로 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5번째로 많았습니다.

OECD 평균은 연 1,716시간으로, 우리나라 근로시간은 평균보다 연 199시간 길었습니다.

멕시코가 연 2,128시간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1위였고, 코스타리카(2,073시간), 콜롬비아(1,964시간), 칠레(1,916시간) 등 중남미 4개국만 우리나라보다 근로시간이 많았습니다.

독일은 1,349시간으로 가장 적었습니다.

이외에도 덴마크(1,363시간)와 룩셈부르크(1,382시간), 네덜란드(1,417시간), 노르웨이(1,427시간) 등 유럽 선진국들은 상대적으로 근로시간이 적었습니다.

미국은 1,791시간으로 8위, 일본은 1,607시간으로 21위였습니다.

우리나라 근로시간은 10년 전인 2011년보다 10.3%(221시간) 가량 줄었습니다.

2011년 우리나라 근로시간은 연 2,136시간으로 당시 OECD 1위였습니다.

순위 하락에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등 우리나라 근로시간 감소와 함께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등의 OECD 가입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2위 코스타리카는 지난해 5월, 3위 콜롬비아는 2018년 OECD에 가입했습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

얼마 전 같이 일하던 인도인 친구가 네덜란드로 이직을 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럽 국가들은 근무 시간이 적고 아시아 국가들은 근무 시간이 길고 야근도 많다고 알고 있는데요. 그렇다 보니 유럽으로 이직하는 친구들이 참 부러웠습니다. 또, 제가 일하고 있는 일본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야근이 많기로 소문난 국가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실제 수치로도 그럴지 한 번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자료로는 OECD(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AVE_HRS)의 자료를 활용합니다.

OECD에서 활용하는 자료는 근로자가 실제 근무한 총 시간을 말하는 것이며, 상근 근로자, 시간제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유급 무급 휴가와 추가 근무시간을 포함함을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연간 평균 근무 시간

2. 연간 평균 근무 시간 지도

3. 연간 평균 근무 시간 차트

연간 평균 근무 시간

국가 연간 근무 시간
Australia 1 683.0
Austria 1 400.0
Belgium 1 481.0
Bulgaria 1 605.0
Canada 1 644.0
Chile 1 825.3
Colombia 2 172.0
Costa Rica 1 913.2
Croatia 1 834.0
Cyprus 1 698.0
Czech Republic 1 705.0
Denmark 1 346.0
Estonia 1 654.0
European Union (27 countries) 1 513.0
Finland 1 531.0
France 1 402.0
Germany 1 331.7
Greece 1 728.0
Hungary 1 660.3
Iceland 1 435.0
Ireland 1 746.0
Israel 1 782.5
Italy 1 558.7
Japan 1 598.0
Korea 1 908.0
Latvia 1 577.0
Lithuania 1 595.0
Luxembourg 1 427.0
Malta 1 827.0
Mexico 2 124.0
Netherlands 1 399.0
New Zealand 1 739.0
Norway 1 368.7
OECD - Total 1 687.0
Poland 1 766.0
Portugal 1 613.0
Romania 1 795.0
Russia 1 874.0
Slovak Republic 1 572.0
Slovenia 1 514.6
Spain 1 577.2
Sweden 1 424.0
Switzerland 1 495.0
Turkey 1 732.0
United Kingdom 1 367.0
United States 1 767.0

출처 : https://data.oecd.org/emp/hours-worked.htm

OECD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EU 국가들의 근로자는 평균적으로 연간 1513.0 시간을 근무합니다. OECD 국가들의 평균 연간 근무 시간은 1687시간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 각각 1908시간과 1598시간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은 잔업이 많고 노동 효율이 떨어져 근무 시간이 길 것이라고 많이들 생각할 것이라는 편견이 있었는데 OECD의 자료에 따르면 일본은 한국과 비교해 210시간이나 덜 일하고 있었습니다. 210 시간은 매일 8시간 근무하는 근로자라고 생각하면 26.25일을 더 일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OECD 평균보다도 실제로는 적게 일하고 있었습니다. 

연간 평균 근무 시간 지도 

OECD에서 공개한 연 평균 근무 시간 지도는 위와 같습니다. 

연간 평균 근무 시간 차트

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

연간 근무 시간 차트를 보면 콜롬비아와 멕시코, 코스타리카 다음으로 한국이 위치해 있습니다. 중남미 국가들이 대체로 상위권에 많이 속해있는 반면 유럽 국가들은 대체로 하위권에 속해있습니다. 선진국 중에서도 미국은 제법 오래 일하는 국가에 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 거주 개발자의 일본 이야기

일본 거주 개발자 캣치 킴의 일본 이야기

pf.kakao.com

세계 근로시간 순위 - segye geunlosigan sun-w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