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연구 질적연구 비교 - yangjeog-yeongu jiljeog-yeongu bigyo

양적연구 질적연구 비교 - yangjeog-yeongu jiljeog-yeongu bigyo

메아리 대표 스텝입니다.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차이점 알려드립니다.

 

@ 질적연구

@ 양적연구
 귀납적 ,해석적 조사방법을 강조하는 연구방법으로 잘알려지지 않은주제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하며 심층적조사와 생생한 경험에 대한 이해,의미 도출을
필요로한다
조사자 자신이 조사도구가 되며작은규모의 표본(대상자)를 선정하여,
자연스러운 상태의 생활환경이 연구의 장이된다
주로 이야기 방식의 기술적인 묘사가 많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관찰,심층면접,개인기록의 분석,참여관찰,포커스그룹이
있으며 주로 어떤 주제,관계및 패턴 발견이 목적이다.
구체적인 인터뷰로 다양한 정보를 얻을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주관적인 인상을 주며 일반화와 효율성입증이 어렵다는 단점이있다
 모집단 또는 표본집단으로 연구할 때에 가장 적합하다
객관적,통제적,가설검증적 그리고 기술적인면을 강조한다.
장점으로는 체계적인 조사가 용이하며,객관적이고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를 산출한다
이론적으로 도출된 기대나 예측들에 대한 검증도 할 수 있다
단점으로 결과가 충분히 구체적이지 못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수치화하는
과정은 행위의 의도나 의미를 사장시킬 수 있다
모든 결과를 계량화하려는 시도로 인하여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 있거나 측정 가능한
자료만 보려고 하는 경향으로 결과가 제한적이로 피상적이기 쉽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1001&docId=176623089&sp=1&sort=0&sid=kkhUIldE1fspzpYxV0wYiQ%3D%3D&rank=1&pid=S9joBwpySEhssZ4nRslsssssss4-508815&search_sort=0&qb=7JaR7KCBIOyhsOyCrOuwqeuylQ%3D%3D§ion=kin&spq=0&enc=utf8

사회과학조사연구의방법:양적접근과질적 접근
1.
서설
19
세기초 A.Comte사회과학을제창한이래사회과학의모든분야에서 계량적접근방식이지배적위치를차지해오고잇었으나 19세기후반에 들어와독일역사학파의 Schmoller복잡한인간의활동을간단한수학공식이나통계학으로설명할없다고보고사회과학방법론논쟁을전개한다. A.Schutz사회과학방법론을양적방법과질적방법으로대별한다.

2.양적방법
1)
의의
다양한사례를통해수집된계량화된자료를토대로 특수한속성을기술하거나, 인과적법칙을설명하려는방법이다. 자연과학적방법론을사회과학에도입한것으로써콩뜨는이를실증주의(posotovism)이라고명명한다.

2)기본가정
실증주의의가정은과학경험주의 (empiricism)으로집약된다.
1.
방법론적일원론
자연과학적 방법론은모든진리탐구를위한최선의방법이다.
2.
인과론적 방법론
사회과학적목표는사회현상의원인규명하고미래를예측하는법칙을 정립하는것이다.
3.
가치-사상이분법
과학적탐구는실재하는사실을대상으로객관적지식을추구하며가치중립적이다.

3)조사방법 특징
양적연구는모든사회과학의목표를사회과학이지배하고있는 법칙을발견하는데두고법칙의발견을위해서는자료를수량화해야 하며수량화를위해서는자료의객관화가필요하다는입장이다. 따라서이들은 객관적관찰이가능한사상에초점을맞추고인과관계의발견을 위해통제의전형인실험을이상으로삼으며정확한측정/수학적 표현일반화를위한통계적기법의활용에높은가치를 부여한다.

4)한계
A.
자연과학의사회과학의적용상의한계
양적접근법에서는 인간도자연계의일부를이루고있으므로자연현상과사회현상에는본질적인차이가 없다고본다. 그러나자연현상에는가치가개입되지않으나, 사회는 안에생활하고있는사람들에게특수한의미와적합성의구조를갖기 때문에양자는질적으로구별된다는반론도있다.

B>인과법칙정립의 한계.
사회현상에는지극히복잡한많은변수들이영향을미치기 때문에사회적법칙정립이논리적으로는가능할지라도현실적으로는불가능하다는비판이 있다.

C. 주체와객체의분리한계
계량적분석방법을주장하는사람들은 자연현상과같이사회현상도저기어딘가에독립적으로존재하는것으로파악한다. 그러나현상학이나해석학적입장에서는사회적현상은의미의해석을통한 이해가필요하다고본다. 이러한관점에서보면계량적방법은원칙적으로 주관적해석을인간활동의연구로부터제거함으로써사회현상의가장중요한구성요소에 대한고려를도외시하고있는것이다.


3.
질적 연구
1)
의의
질적연구는사회가하나의의미를담고있는 세계임을중시하면서사회내에서이루어지는인간의행위,사회적상호작용에 의미에대한내적이해를강조하는연구방법이다. 실증주의를반대하는현상학적 또는해석학적비판적접근법,포스트모더니즘등의입장을질적 연구라고한다.

2)기본가정
1.
방법론적이원론
사회과학과자연과학의연구방법은 달라야한다
2.
전체론적견해.전체는부분들의총합보다크다고 가정한다
3.
귀납적접근.질적연구는구체적인관찰과더불어시작되며 연구대상사례들에게등장하는일반적패턴을발전시켜나가는귀납적접근법을 기초로한다.

4.한계
1.
질적연구는대규모사회에대한포괄적 접근에대한한계가있다.
2.
사회현상을지나치게주관적으로보기때문에 이론이개별적이고파편적이다. 다라서설명과예측이어렵다
3.
행위자들의주관적 관점에만연구의초점이맞추어져있다.

존재론적가정
현장의본질은 무엇인가
양적방법
현실은연구자와분리된객관적이고단일의 현상이다.
질적방법
현실은주관적이며연구참여자에의하여다양하게 인식된다.

인식론적가정
연구자와연구대상간의관계는무엇인가?
연구자는연구가 이루어지는대상과독립적이다.
연구자는연구대상과상호작용을한다.

가치론적 가정
연구과정에서가치의역할은무엇인가?
가치중립적이며편견이배제된다
질적 방법
가치부가적이며편견이개입한다

방법론적가정
연구과정은 무엇인가?
양적방법-연역적
질적방법-귀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