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입문자를 위해 준비한
[게임 기획, 게임 개발] 강의입니다.

실전 게임기획이란 무엇인지 맛보고 싶으시다면, 인디 게임 제작에 앞서 기획서를 작성할 때 무엇부터 시작할지 망망대해에 빠진 기분이시라면, 게임회사 취업을 위해 기획서 포트폴리오를 제작함에 있어 어려움을 느끼시거나 현 역량 이상으로 한단계 업그레이드를 원하신다면, 이 강의가 여러분의 목표를 향한 길에 기준점 또는 참고자료로서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이런 걸
배워요!

게임기획

역기획서

BM분석과 개선제안서

창작게임기획서

처음 배우는 게임 기획서 💣
강의 하나로 낱낱이 파헤쳐보세요!

게임기획 교육,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눈에 띄는 커리큘럼을 찾기 어려워요."
"학원은 비용 부담이 너무 커요."
"독학을 하자니 잘 하는 건지 막막해요."

게임 기획을 배우려고 마음을 먹었지만, 막상 게임 기획을 배우려 첫걸음을 떼기는 쉽지 않습니다.
게임기획 교육 시장 자체가 크게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뾰족하게 눈에 띄는 게임 교육 커리큘럼을 찾기도 어렵고, 학원 자체가 재정적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이죠. 그렇다고 독학을 하자니 과연 내가 잘 하고 있는지 의문이 들고, 무언가 확신을 심어줄 이정표를 찾게 되기 마련입니다.

사실 게임기획에 있어 수학공식마냥 완벽한 정도(正道)란 없습니다. 게임기획자마다 세세한 표현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협력해나갈 동료 개발자와 디자이너에게 가장 용이하고 명료하게 생각한 바를 전할 것, 이게 모든 기획자들의 공통된 목표입니다.

하지만 이런 큰 틀을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신다면,
본 강의가 이정표로서, 혹은 참고자료로서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게임의 숲을 보는게임 기획서의 모든 것!

게임을 제작함에 있어 제작의 근본이자 목적이 되는 매출은 게임 기획과 밀접한 관계를 맺습니다.
현재 고매출을 올리고 있는 게임의 시스템 역기획서를 통해 인기 게임의 일면을 구조적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세밀한 시스템 역기획서가 나무라면 전체적인 게임의 틀을 볼 수 있는 창작 기획서는 숲입니다.
창작게임 기획서를 통해 기본적인 장르별 게임 제작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게임기획서를 통해
7가지 장르별 게임 제작법을 파악하고,
전체적인 게임의 틀을 이해해보세요!

본 강의에서는 RPG, 디펜스, 클리커, 퍼즐 등 대중들에게 인기있는 총 7가지의 장르별 게임을 다룹니다. 현재 성황리에 운영 중인 고매출 인기 게임 3종과 창작 게임 4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포트폴리오용 창작 기획서 작성이나 실제 인디게임 제작 준비에 효과적입니다.

시스템 역기획, BM(Business Model) 분석 및 제안, 창작 기획 등 다방면에서 해당 게임을 접근해 보면서, 기본적인 게임 제작 프로세스에 대한 파악은 물론 주제별 접근법까지 익힐 수 있습니다.


누가 들으면 좋을까요?

  • 실전 게임기획이란 무엇인지 맛보고 싶은 분
  • 인디게임 제작에 앞서 기획서를 작성할 때 어떻게 시작할지 막막한 아기 기획자님
  • 게임회사 취업을 위한 기획서 포트폴리오를 제작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분
  • 현재 역량 이상의 업그레이드를 원하는 현업 주니어 게임 기획자

미래의 일류게임기획자를 위해!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시각 자료로
이해하기 쉬운
게임기획서 작성법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RPG부터 클리커까지
다양한 장르별
게임 접근법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기획서의 흐름을
탄탄히 잡는
쉽고 자세한 설명

다양한 게임 장르로 다채롭게

본 강의를 통해 여러 게임 장르를 접할 수 있습니다. 인지도 높은 RPG부터 인디 게임으로 제작하기 좋은 클리커 게임까지, 서로 다른 4가지 장르의 게임(RPG, 디펜스, 클리커, 퍼즐)을 처음 접하는 분의 눈높이에 맞춰 다양한 장르를 쉽게 풀어냈습니다.

누구나 쉽게 배우는 게임기획 학습

처음 게임 기획서를 접하는 분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시각적 요소를 활용해 강의를 진행합니다. (프리젠테이션 + 기타 사진/그림 자료)

수강 전 확인해주세요!

  • 기본적인 내용은 PPT 프리젠테이션으로 작성했으며, 추가적인 요소는 사이툴(PaintTool SAI)을 이용해 제작한 강의입니다.
  • 실제 서비스 중인 게임의 역기획서는 저작권 문제로 게임 스크린샷 대신 그림을 대체하여 넣었습니다. 덧붙여, 게임 내 이름 등의 고유 용어에는 어느 정도 변형이 있습니다.


이런 내용을학습합니다.

Step 1. RPG

  • 인기 RPG ‘A’ 게임의 역기획서를 작성해 봅니다. ‘A’ 게임의 ‘관계 시스템’ 개요부터 진입 UI를 분석하고, 데이터 테이블을 작성합니다.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1강 캡처 화면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1강 캡처 화면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2강 캡처 화면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2강 캡처 화면

  • 인기 RPG ‘G’ 게임의 역기획서를 작성해 봅니다. ‘G’ 게임의 ‘업적 시스템’ 개요부터 상세 UI를 분석하고, 데이터 테이블을 작성합니다.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3강 캡처 화면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3강 캡처 화면

  • 인기 RPG ‘O’ 게임의 BM을 분석하고, 제안서를 작성해 봅니다. 현 게임의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개선을 제안하는 방법에 대해 익힐 수 있습니다.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4강 캡처 화면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4강 캡처 화면

Step 2. 디펜스 게임

  • 디펜스 게임 ‘판타지 히어로즈’를 기획해 봅니다. 메인 화면 UI부터 스테이지 선택화면, 게임 플레이 구조를 기획하는 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그외에 파티원/유닛 설정, 뽑기, 업그레이드 시스템 등 게임에 필요한 요소를 구축해 봅니다.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5강 캡처 화면

Step 3. 클릭커(방치형) 게임

  • 방치형 게임 ‘새우 키우기’를 기획해 봅니다. 메인 화면 UI 기획부터 ‘개발’, ‘보관함’, ‘상점’, ‘교배’, ‘도감’ 등 게임 내 컨텐츠의 상세 UI/구조를 세울 수 있습니다.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7강 화면 캡처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7강 화면 캡처

  • 액션 클리커 게임 ‘위대한 대학원생’을 기획해 봅니다. 메인 화면 UI 및 상세 메뉴를 알아본 다음, 게임 내부 컨텐츠인 ‘무기’, ‘스펙’, ‘연구’, ‘채용’ 컨텐츠를 구축하고, 상점 UI/구조에 대해서도 따라 기획할 수 있습니다.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9강 화면 캡처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9강 화면 캡처

Step 4. 퍼즐 게임 

  • 퍼즐게임 ‘디저트 팡퐁’을 기획해 봅니다. 메인 화면 UI 기획부터 게임 플레이 규칙에 따른 시스템 구축, 플레이 보조 아이템 적용 구조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11강 화면 캡처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12강 화면 캡처


강의를 만든 사람은누구일까요?

역 기획서 쓰는 법 - yeog gihoegseo sseuneun beob

JamesKim

게임기획자 JamesKim 입니다. 대기업 N사를 포함해 게임 업계에서 14년 동안 일했습니다.
구글플레이 전체 매출 상위 5위 안의 게임을 기획해 런칭한 경험이 있고, 게임 시스템 기획, 게임 콘텐츠 기획, 밸런스 기획, 레벨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많은 분들을 도와 넷마블, LINE, 카카오, 스마일게이트, 넥슨, 네오플, 크래프톤, 조이시티, 네오위즈, 비트망고 등 여러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최종 합격시킨 경험이 풍부합니다. 다년간의 지도 경험을 활용해 게임 기획자 및 게임 사업 PM을 지망하는 초보자를 대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듭니다.


예상 질문 Q&A

Q. 기초 지식 없이 들을 수 있나요?

기초 지식은 있을 수록 좋지만, 없어도 이해하기 쉽도록 기획서의 흐름을 세우는 데 많은 신경을 써서 강의를 제작했습니다.

Q. 게임기획을 배우면 무엇이 좋나요?

게임기획은 게임제작의 뼈대이자 근본입니다. 기획자가 열심히 세운 뼈대에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멋진 근육과 살을 붙여 주죠. 게임기획을 익히신다면 더욱 수월하고 퀄리티 높은 게임을 제작할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Q. 이 강의만 보면 게임 기획 마스터가 될 수 있나요?

아쉽게도 그건 아닙니다. 본 강의는 ‘기본’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더욱 심화 과정인 데이터테이블 작성법이나 밸런스 기획 같은 요소는 제외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큰 틀을 다지기와 현재 공부 중인 요소에 지원을 줄 시각 자료로서 효과적으로 구성한 강의입니다.


게임기획 시리즈, 다른 강의가 궁금하다면?

지식공유자가 알려주는
강의 수강 꿀팁!

🎓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게임기획에 관심있는 사람

게임개발에 관심있는 사람

📚
선수 지식,
필요한가요?


게임기획자 JamesKim 입니다. 대기업 N사를 포함해서 게임업계에서

14년 동안 일했습니다. 구글플레이 전체 매출 상위 5위 안의 게임을 기획해서

런칭한 경험이 있고, 게임 시스템 기획, 게임 콘텐츠 기획, 밸런스 기획,

레벨디자인이 가능합니다. 많은 분들을 도와드려서 넷마블,LINE,

카카오,스마일게이트,넥슨,네오플,크래프톤,조이시티,네오위즈,비트망고 등

여러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최종 합격시킨 경험이 풍부합니다.

다년 간의 지도 경험을 활용해 게임기획과 게임사업PM을 지망하는

초보자를 대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듭니다.

이 강의는 영상, 수업 노트, 첨부 파일이 제공됩니다. 미리보기를 통해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섹션 0. 인기 RPG게임 ‘A’ 역기획서 작성하기 2 강 ∙ 31분

섹션 1. 인기 RPG게임 ‘G’ 역기획서 작성하기 1 강 ∙ 14분

게임 ‘G’의 ‘업적 시스템’ 개요, 상세UI, 데이터테이블 작성 14:48

섹션 2. 인기 RPG게임 ‘O’ bm분석 & 개선 제안서 작성하기 1 강 ∙ 14분

게임 ‘O’의 현 bm상태, 문제상황 분석, 개선제안/상세 UI 설명 14:07

섹션 3. 디펜스 게임 ‘판타지 히어로즈’ 기획 2 강 ∙ 32분

메인 화면 UI, 스테이지 선택화면, 게임플레이 구조 17:04

파티원 설정, 유닛 설정, 뽑기, 업그레이드 시스템 15:11

섹션 4. 방치형 게임 ‘새우 키우기’ 기획 2 강 ∙ 22분

메인 화면 UI, ‘개발’, ‘보관함’ 컨텐츠 상세 UI/구조 11:38

‘교배’, ‘도감’, ‘상점’ 컨텐츠 상세 UI/구조 11:13

섹션 5. 액션 클리커 게임 ‘위대한 대학원생’ 기획 2 강 ∙ 30분

메인 화면 UI, 상세 메뉴 설명, ‘무기’ 컨텐츠 UI/구조 15:57

‘스펙’, ‘연구’, ‘채용’ 컨텐츠, 상점 UI/구조 14:57

섹션 6. 퍼즐게임 ‘디저트 팡퐁’ 기획 2 강 ∙ 23분

메인 화면 UI, 게임 플레이 규칙 설명, 아이템 12:31

플레이 보조 아이템 적용 구조, 소셜 시스템 11:22

강의 게시일 : 2021년 05월 26일 (마지막 업데이트일 : 2021년 05월 26일)

수강생분들이 직접 작성하신 수강평입니다. 수강평을 작성 시 300잎이 적립됩니다.

VIEW 좋아요 순 최신 순 높은 평점 순 낮은 평점 순 평점 순 높은 평점 순 낮은 평점 순

좋은 강의 자료를 강사의 강의 실력이 따라가지 못한다. 강사는 그저 ppt 자료의 글을 읽기 바쁘고, 실수가 있더라도 고스란히 영상에 담겨있다. 같은 말을 반복한다거나, 긴 스토리의 글을 곧이곧대로 읽는데, 그것만 줄여도 영상 길이가 절반으로 줄어들 것 같다. 영상에서는 ppt에서 볼 수 없는 도움될만 한 이야기를 풀어내줬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ppt 자료만 보는 것과의 차이를 크게 못느꼈다. 작업하며 주의해야 할 점이라거나, 실무자로서의 경험을 더 설명해주면 좋을 것 같다. ‘점 편집’과 같은 ppt 기능을 설명할 때도 직접 편집하는 작업 과정을 보여주면 좋을텐데, 그저 말로만 설명하고 만다. 3강 강의 영상에 나오는 자료 화면과 업로드 되어 있는 수업 자료 간의 동기화가 안되어 있다. (’달성 페이지' ↔ ‘업적 페이지') 강사가 강의에 얼마나 신경을 쓰는지 드러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게임 기획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원론에 대한 내용이 없이 그냥 바로 문서 쓰는 법에 대해서 나와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개론적인 부분이 추가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