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LTE 속도 체감 - 5G LTE sogdo chegam

  • 등록 2021-12-31 오후 7:27:40

    수정 2021-12-31 오후 7:27:40

  • 페이스북
  • 트위터
  • 메일
  • 프린트
  • 스크랩
  • url복사

[이데일리 이선영 기자] 5G 서비스가 상용화 4년을 앞두고 점차 서비스가 개선되는 가운데, 여전히 국민 상당수가 사용 중인 LTE 통신 품질은 지난해보다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LTE의 체감 속도가 느려졌다고 호소하는 이용자들의 불만이 실제로 확인된 것이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국 85개시 전체 행정동에서 실시한 2021년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종합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통신 3사의 LTE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50.30Mbps로, 전년(153.10Mbps)보다 느려지는 등 2년 연속으로 속도가 하락했다. 이는 3년 전인 2018년(150.68Mbps)과 비슷한 수준이다.

LTE 속도는 지난 2019년 158.53Mbps로 상승했다가 다음해부터 5G로 주력 서비스를 전환하며 지난해 153.10Mbps, 올해 150.30Mbps로 지속적으로 떨어져왔다.

과기정통부의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5G 가입자 수는 1938만970명으로 늘어나고 있는 반면 LTE 가입자 수는 총 4885만5371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LTE 가입자는 여전히 5G 대비 2배 이상 많은 만큼, 통신품질에 대한 불만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5G LTE 속도 체감 - 5G LTE sogdo chegam
(사진=이미지투데이)

통신사별로는 KT(138.23Mb㎰)가 2년새 15.36Mb㎰가 줄어들며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LG유플러스도 6.19Mb㎰ 감소한 104.43Mb㎰를 기록했다. SK텔레콤은 2019년 211.37Mb㎰에서 지난해 207.74Mb㎰로 속도가 줄었다가 올해 208.24Mb㎰를 기록하며 통신3사 중 유일하게 LTE 속도가 소폭 상승했다.

반면 5G는 전년대비 속도 및 커버리지 면적이 개선됐다. 3사 평균 5G 다운로드 속도는 801.48Mbps로, 전년(690.47Mbps)보다 16.1% 향상됐다. 사별로는 SKT 929.92Mbps, KT 762.50Mbps, LGU+ 712.01Mbps 순이었다.

5G 커버리지 내에서 5G 이용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3사 평균 1.88%로, 전년(5.49%)보다 3.61%포인트 개선됐다. 사별로는 SKT 1.71%, LGU+ 1.94%, KT 1.98% 순이었다. 이는 5G 망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5G 이용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LTE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5G LTE 속도 체감 - 5G LTE sogdo chegam
2021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LTE 다운로드 속도가 평균 150.30Mbps로 지난해 대비 낮아졌다.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과기정통부 측은 “수치상 다운로드 속도가 낮아진 것으로 보이나, 오차범위 내에서 모두 전년과 통계적으로 유사한 수준으로 판단된다”며 “그렇지만 국민들의 기대 수준에 맞게 품질을 더욱 개선해 나가야 하고, 그러기 위해선 통신 3사의 적극적인 망 투자 확대와 5G 뿐 아니라 LTE, 유선 인터넷 등도 지속적인 품질 관리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창림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대도시 같은 경우는 5G가입자가 상당히 늘었는데, 현재 네트워크 기술 방식이 5G와 LTE 망 일부를 같이 사용하는 비단독모드(NSA) 방식이어서 LTE 기지국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며 “앞으로 LTE 품질평가도 엄격히 해서 유지 보수나 보완적인 투자가 계속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독려하겠다”고 강조했다.

5G LTE 속도 체감 - 5G LTE sogdo chegam

최신 5세대(5G) 서비스보다 ‘구세대’인 LTE 서비스 이용자가 두 배 넘게 많다. 2019년 ‘세계 최초’로 5G 통신을 상용화했다며 축포를 울렸던 한국 통신시장의 현 주소다.

5G LTE 속도 체감 - 5G LTE sogdo chegam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에 따르면 국내 5G 가입 회선 수는 지난 2월 말 기준 2228만 개다. 같은 기간 LTE 가입 회선 수는 4771만 개로 5G 회선 수보다 2.14배 많다. 5G 상용화 3년인 시점인 걸 감안하면 초라한 성적이다. 직전 통신 서비스 세대 교체기와 비교해도 그렇다. LTE는 상용화 3년째였던 2014년 7월 가입 회선 3327만 개를 확보해 당시 통신시장의 59.4%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3세대(3G) 통신 가입 회선 수(1590만 개)의 두 배를 넘었다.

LTE에서 5G로 옮겨가려는 이용자도 별로 늘지 않고 있다. 지난 2월 LTE 가입 회선은 전월 대비 31만 개 줄었다. 전년 동기(46만 개)에 비해 하락폭이 작다. 이젠 신형 스마트폰이 모두 5G 지원 제품으로 나오는데도 LTE 이탈률은 낮다. 한 통신사 대리점 관계자는 “속도에 별반 차이를 못 느낀다며 5G 대신 LTE 요금제를 찾는 이들이 여전히 많다”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나 게임 등 기성 주요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LTE로도 충분하다 보니 굳이 비싼 5G 서비스를 선택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통신 3사 5G 요금제는 통상 비슷한 조건 LTE 요금제보다 월 5000원~1만원가량 비싸다.

소비자들이 5G를 외면하는 이유는 또 있다. 작년 하반기 과기정통부가 조사한 통신 3사의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801.48Mbps(초당 메가비트)로 LTE(150.3Mbps)의 5배에 그쳤다. 통신사들이 출범 초기 ‘LTE보다 최고 20배 더 빠르다’고 홍보한 것과는 딴판이다.

아직 통신 3사의 통신 서비스 대부분이 LTE망과 5G망을 혼합해 쓰는 비단독방식(NSA)으로 이뤄지는 것도 그렇다. NSA 방식으로는 스마트팩토리,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서비스 등에 필요한 네트워크 슬라이싱이나 모바일에지컴퓨팅(MEC) 같은 5G 특화 기술을 쓸 수 없다. 대규모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필요한 기업들도 아직 LTE를 쓰는 경우가 많은 이유다. 이달 기준 KT 서비스를 쓰는 삼성전자 일부 단말기 이용자만 5G 단독모드(SA) 서비스를 받고 있다. SK텔레콤은 올해 5G SA 서비스 실용 검증을 벌인 뒤 내년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LG유플러스도 추후 5G SA를 도입할 예정이다.

선한결 기자

5G LTE 속도 체감 - 5G LTE sogdo chegam
viewer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없음. /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5G 서비스가 상용화 4년을 앞두고 점차 서비스가 개선되는 가운데 여전히 4,800만 명 이상의 가입자가 이용하고 있는 LTE 통신 품질은 지난해보다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LTE의 체감 속도가 느려졌다고 호소하는 이용자들의 불만이 실제로 확인된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국 85개시 전체 행정동에서 실시한 2021년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종합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통신 3사의 LTE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50.30Mbps로, 전년(153.10Mbps)보다 느려지는 등 2년 연속으로 속도가 하락했다. 통신사별로는 KT(138.23Mb㎰)가 2년새 15.36Mb㎰가 줄어들며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LG유플러스도 6.19Mb㎰ 감소한 104.43Mb㎰를 기록했다. SK텔레콤은 2019년 211.37Mb㎰에서 지난해 207.74Mb㎰로 속도가 줄었다가 올해 208.24Mb㎰를 기록하며 통신3사 중 유일하게 LTE 속도가 소폭 상승했다.

5G LTE 속도 체감 - 5G LTE sogdo chegam
viewer

5G는 전년대비 속도 및 커버리지 면적이 개선됐다. 3사 평균 5G 다운로드 속도는 801.48Mbps로, 전년(690.47Mbps)보다 16.1% 향상됐다. 사별로는 SKT 929.92Mbps, KT 762.50Mbps, LGU+ 712.01Mbps 순이었다.

5G 커버리지 내에서 5G 이용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3사 평균 1.88%로, 전년(5.49%)보다 3.61%포인트 개선됐다. 사별로는 SKT 1.71%, LGU+ 1.94%, KT 1.98% 순이었다. 이는 5G 망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5G 이용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LTE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접속 지연시간은 3사 평균 18.61ms(밀리초)로, 전년(30.62ms)보다 39.2% 개선됐다. 사별로는 SKT 17.09ms, LGU+ 19.32ms, KT 19.41ms였다.

옥외에서 통신 3사의 5G 사용가능 지역 평균 넓이는 1만9,044.04㎢로, 지난해 하반기(5,409.3㎢)의 3.5배로 늘었다. 사별로는 SK텔레콤 2만2,118.75㎢, LG유플러스 1만8,564.91㎢, KT 1만6,448.47㎢ 순이었다.

서울과 6대 광역시는 도시 지역 대부분에, 중소도시는 동 지역을 중심으로 5G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동통신 3사가 LTE 서비스로 지난 10년간 약 18조6,000억 원의 수익을 벌어들였다는 시민단체의 분석이 나왔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지난 28일 ‘LTE 상용화 10년, 이통 3사 LTE 초과이익 분석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기지국 투자비·망 투자비·인건비·마케팅비 등 각종 영업비용을 빼고도 이통 3사는 지난 10년간 약 18조 6,023억 원의 초과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