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 블렌드 모드 - illeoseuteu beullendeu modeu

일러 배우기

[일러스트레이터 사용법 배우기] Blend Mode(블렌드 모드)로 오브젝트의 색상합성하는 법 알아보기

[일러스트레이터 사용법 배우기] Blend Mode(블렌드 모드)로 오브젝트의 색상합성하는 법 알아보기

Blend Mode(블렌드 모드)란 선택한 오브젝트를 하위 배경색과 합성하는 방식입니다.선택한 오브젝트와 배경색,또는 선택한 그룹과 배경색 사이를 합성합니다.

Window-Transparency를클릭해 Transparency팔레트를 불러옵니다.

 ​ Transparency팔레트에서 블렌드 모드를 다양하게 적용시켜봅니다.

Normal(표준)모드 - 선택한 오브젝트와 배경으로 있는 색상이 합성되지 않는 방식입니다. 방금 그림 오브젝트와 배경색이 혼합되지 않게 하려면 Normal 모드를 선택해야합니다. 기본값입니다.

Darken(다크)모드 - 선택된 오브젝트와 배경 이미지의 검정색 부분 위주로 혼합하여 어두운 영역을 넓혀줍니다.

Multiply (멀티)모드 - 선택한 오브젝트와 배경으로 있는 이미지의 색상을 곱하는 방식으로 합성합니다. 따라서 원래보다 어두운 색상이 됩니다.

Color Burn(컬러번)모드-Color Dodge모드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선택된 오브젝트를 더 어둡게 만들어줍니다.

Lighten(라이튼)모드 -선택된 오브젝트와 배경으로 있는 오브젝트의 밝은 부분 위주로 합성합니다. 밝은 영역이 더 많아집니다.

Screen(스크린)모드 - 선택된 오브젝트와 배경이 되는 오브젝트의 명도를 곱하는 방식입니다. 이미지가 점차 밝아집니다.

Color Dodge(컬러닷지)모드-선택된 오브젝트를 밝게 한 후 배경 이미지의 색상과 합성합니다. 이미지의 명도가 강하게 상승하는 방식입니다.

Overlay(오버레이)모드 - 선택된 오브젝트의 색상을 덧씌우기식으로 사용합니다. 약간 오버레이 효과가 납니다.

Soft Light(소프트 라이트)모드 - 선택한 오브젝트의 명도를 점차 밝게 만들어 줍니다. 이때 기준이 되는 밝기는 중간 밝기 영역이며 선택된 오브젝트에 중간 밝기 영역이 많으면 더 어두워집니다.

Hard Light(하드 라이트)모드 - 선택된 오브젝트의 색상을 강렬하고 더 밝게 만들어줍니다.

Difference (차이)모드 - 일종의 보색효과로 선택된 오브젝트와 배경으로 있는 이미지의 색상을 합성합니다. 특이한 색상혼합 효과를  제작할 때 자주사용합니다.

Exclusion(제외)모드 -오브젝트의 색상을 혼합하지만 명도와 색상차이가 적은 상태로 혼합합니다.

Hue(색조)모드 -선택된 오브젝트의 명도,배경 이미지의 색상이 사용되는 혼합방식입니다. 이때보다 밝은 쪽채도에 의해 생성되는 색상이 결정됩니다.

Saturation(채도)모드 - 선택된 오브젝트의 채도와 명도, 배경으로 있는 채도를 사용해 합성합니다. 배경 오브젝트가 검정색일 경우엔 채도가 0이므로 흑백이미지가 될 수도 있습니다.

Color (색상)모드 - 선택된 오브젝트의 명도,배경 이미지의 색상과 채도를 사용해 합성합니다. 선택된 오브젝트에 검정색이 있을경우 혼합된 색상은 그와 유사한 어두운 색이 됩니다.

Luminosity(광도) 모드 -주로 명도를 이용해 이미지를 합성하는 방식입니다. 단색 계통의 이미지를 제작할 때 유용합니다.

포토샵에서 합성할 때 많이 사용되는 블렌드 모드!

일러스트에도 있다는거 아시죠?

첨에 난 몰랐다능.. 포토샵이 익숙치 않아 그런 기능이 있는지도 잘 몰랐어

일러스트 블렌드 모드 - illeoseuteu beullendeu modeu

한글판에서는 투명도라고 되어있습니덩

영어와 그리 친하지가 않기때문에 영문판과 한글판이 좀 헷갈릴 수도 있으니

번역도 해놔야징 ㅋㅋ

lighten(선형번)은 색(검/흰)해도 보이지가 않네요~

○ transparency(shift + ctrl + F10) : 투명도 조절가능 / 오브젝트색 효과 가능(포토샵 블렌드 모드와 동일)

- nomal (표준) : 어떤 변화도 가하지 않고 원래의 색상 그대로

- darken (어둡게 하기) : 두 레이어의 색상을 비교하여 더욱 어두운 색상으로 나타남. 둘 중 더 어두운색상이 그대로 드러남.

- multiply (곱하기) : 두 레이어의 색상을 섞어줌. 위 레이어의 검정색 부분은 그대로 검정색으로 표현되며 전체 분위기는 어두워짐.

- color burn (색상번) : 위 레이어의 그림이 흰색보다 어두운 경우 두 레이어의 색상을 더욱 어둡게 하고 

                                    아래 레이어의 그림은 마치 불에 그슬린 듯한 느낌을 줌.

- lighten (선형번) : 두 레이어의 색상을 비교하여 더욱 밝은 색상으로 나타나며 둘 중 더 밝은 색상이 그대로 드러남.

- screen (스크린) : multiply처럼 색상을 섞어주는 것. 위 레이어 그림은 영향이 받지않고 아래 레이어의 흰색부분이 있다면

                               더욱 밝게 나타남

- color dodge (색상닷지) : 위 레이어 그림이 검정보다 밝은 경우 두 레이어 이미지가 더욱 밝게 섞임.

                                          screen보다 2배 밝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overlay (오버레이) : 두 레이어 색을 거의 반반씩 섞는 것. multiply와 screen을 절반씩 섞어 놓은 것 같음.

- soft light (소프트라이트) : 위 레이어 그림으로 아래 레이어 그림의 밝기를 조정함. 위 레이어가 어두우면 아래 레이어도 어둡고

                                            위 레이어가 흰색에 가까우면 아래 레이어도 밝아집니다.

- hard light (하드라이트) : soft light와 비슷한 효과지만 더욱더 강한 빛의 효과가 나타나며 위 레이어가 검은색이나 흰색이면 그대로

                                         그 색상이 보이게 됨.

- difference (차이) : 위 레이어가 아래 레이어보다 밝다면 위 레이어의 그림의 밝은 정도에 따라 아래 레이어를 반전시킴.

                                단 검정색일 경우 반전이 안됨.

- exclusion (제외) : Difference와 같은 방식으로 두 색상을 섞지만 그 결과는 더욱 밝게 표현됨.

- hue (색조) : 아래 레이어의 색상을 위 레이어의 색상으로 바꿔줍니다. 색상 이외에는 다른 변화가 없으므로

                      아래 레이어의 밝기와 채도는 그대로 유지됨.

- saturation (채도) : 위 레이어의 채도에 따라 아래 레이어의 채도를 변화시킴. 위 레이어가 회색에 가까운 무채색이라면

                                아래 레이어도 회색에 가까워 짐.

- color (색상) : 아래 레이어의 색상과 채도를 바꿔줌. saturation과 hue를 동시에 표현한 것과 같은 결과임.

- luminosity (광도) : 위 레이어의 밝기에 따라 아래 레이어의 밝기를 표현해줌. 위 레이어의 명도가 그대로 아래 레이어에 표현됨.

활용 예)

방사형으로 그라데이션을 준 원형 오브젝트에

배경색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니 참고하셔서 빛 효과 등 사용하심 될듯싶네용

일러스트 블렌드 모드 - illeoseuteu beullendeu mod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