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주파수 범위 초과 - windou10 jupasu beom-wi chogwa

'모니터 지원 주파수 범위 초과'  간단하게 해결하는 방법 

지난주 금요일 실험실 컴퓨터 모니터가 켜지 질 않는 증상이 있었는데 

주말 지나면 괜찮겠지 하고 주말간 꺼두고 퇴근했습니다.

2004년에 들어온 컴퓨터인데 윈도우 xp 로 아직까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입니다.

모니터는 삼성 싱크마스터 매직 CX710BM 입니다.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네요.

윈도우10 주파수 범위 초과 - windou10 jupasu beom-wi chogwa

주말이 끝나고 월요일 아침 모니터를 켰으나 

이내 화면이 암전상태로 돌아가 버립니다.

전원은 들어와 있는데 LCD가 켜졌다 바로 꺼져 버리는 증상이 생깁니다.

그래서 결국 회사에 남는 모니터를 구하러 다닌끝에 모니터를 구해와 겨우 연결했는데 

모니터에는 " 모니터 지원 주파수 범위 초과 " 라는 메세지만 뜨고 화면이 안나옵니다. 

전원 케이블을 뺏다가 다시 연결해도 안되고, 

VGA 케이블을 뺏다 연결해도 

 " 모니터 지원 주파수 범위 초과

라는 에러 메세지 만 나옵니다.

그래서 인터넷을 검색하고 바로 몇초만에 해결했습니다.

■ 모니터지원 주파수 범위 초과 발생 원인

이러한 에러 메세지가 발생하는 원인은 

해당 모니터가 HDTV를 지원하는 제품이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모니터 크기를 보시면 알수 있듯이 

요즘은 16:9 HDTV 화면을 지원합니다.

LG 의 FLATION EX2041 모델의 모니터입니다.

이러한 모니터를 컴퓨터에 연결했을때 TV로 인식해 

컴퓨터에서 지원하는 해상도를 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 모니터 지원 주파수 범위 초과 ' 라는 메세지와 함께

그 밑에 TV 주파수 범위인 60Hz 와 지원되는 해상도인 

63.9Hz 가 일치하지 않아 발생합니다.

그럼 초 간단으로 이 에러 메세지 없애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모니터지원 주파수 범위 초과 에러메세지 해결 방법

1. 먼저 컴퓨터의 전원을 눌러 컴퓨터를 꺼주세요.

2. 컴퓨터를 다시 켜면서 F8을 눌러 윈도우 안전모드로 실행하세요.

3. 안전모드로 부팅된 상태에서 윈도우 바탕화면에 마우스 커서를 놔두고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들어가셔서 화면해상도를 가장 낮은 해상도로 설정하고 

확인을 누르고 컴퓨터를 꺼주세요.

     

4. 다시 컴퓨터를 켜시면 '모니터지원 주파수 범위초과

에러메세지는 없어지고 정상적으로 컴퓨터가 켜집니다.

5. 혹시 화면해상도가 맞지 않다면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다시 들어가셔서 

모니터에 맞는 해상도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아주 간단하죠.

모르면 정말 답답한게 컴퓨터 입니다.

모니터 지원 주파수 범위 초과 해결방법 안내 해드리겠습니다.

▶ 모니터 주파수 범위 초과는 왜 발생하나요?

모니터 해상도 변경 또는 모니터 교체시 이전 모니터 주파수 적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모니터 주파수 설정은 어디서 하나요?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해상도 부분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모니터 주파수 설정을 진행하여 모니터 사용 중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 지원 주파수 범위 초과 해결방법은? 

컴퓨터(데스크톱)전원을 켰는데 어느날 모니터가 켜지지 않고 모니터 지원 주파수 초과라는 메세지가 나온다면? 저도 몇번 겪어봤던 문제였는데요 해당 문제는 왜 발생할까요? 모니터 설정을 잘못 만졌다든가 프로그램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는 해당 문제는 해결법이 크게 두가지가 존재합니다. 

윈도우10 주파수 범위 초과 - windou10 jupasu beom-wi chogwa

1. 안전모드 이후 화면 해상도 확인

안전모드에서 해상도를 정상으로 돌려놓고 재부팅 이후 정상상태 확인을 합니다. 윈도우7은 F8키를 이용하여 안전모드 진입이 가능하지만 윈도우10은 F8키를 이용해도 안전모드 진입이 불가능합니다. 

인터넷에는 전부 윈도우10 정상부팅상황에서 안전모드 진입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현재 상황은 모니터 입력범위초과로 인해 모니터 주파수 설정이 필요한 만큼 아무것도 하지 못하기에 약 3회에 걸쳐 전원버튼을 이용한 재부팅 신호를 보내게 되면 자동으로 인전모드로 이동한다고 하니 윈도우10 사용중 모니터 지원 주파수 초과 관련 메세지가 뜨게 된다면 해당 방법을 이용해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수밖에 없다고 봐야 합니다.

2. 모니터 케이블 교체

모니터 케이블 교체를 통해 모니터 주파수 지원 주파수 범위 초과 메세지를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구요? 모니터 주파수 범위 초과 메세지가 발생할때 장착하고 있는 모니터는 열에 아홉은 아마 D-SUB(RGB)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해당 모니터 케이블 변경을 통해 아무거라도 좋으니 DVI 케이블 또는 HDMI와 같이 다른 모니터 케이블로 변경을 하게 되면 모니터 주파수 설정 없이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3. 입력신호 확인

모니터 입력신호를 확인하여 문제 해결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모니터에는 입력신호 자동확인 작업이 가능한 Source 라는 버튼이 달려있는데 해당 버튼을 누르게 되면 문제 해결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은 주로 모니터 케이블 교체시 입력신호 확인을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모니터 주파수 설정 문제 해결이 되지 않을 확률이 있습니다.

모니터 지원 주파수 범위 초과 해결방법 간단하게 3가지만 알아보았는데요 컴퓨터를 잘 모르는 상황에서 가장 쉬운 방법은 모니터 케이블 교체 작업인 2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