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나트륨 구조식 - yeomhwanateulyum gujosig

염화나트륨 구조식 - yeomhwanateulyum gujosig

염화나트륨 구조식 - yeomhwanateulyum gujosig

대표적인 이온 화합물인 염화나트륨의 결정 구조 NaCl. 보라색은 나트륨 양이온, Na⁺를 나타내고 녹색은 염화 음이온, Cl⁺을 나타낸다.

염화나트륨(NaCl)은 염소와 나트륨의 화합물로 식용 소금의 주성분이다. 염화소듐이라고도 한다. 해수의 염류 중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많다. 염화나트륨은 나트륨 이온(Na⁺)과 염화 이온(Cl⁺)이 결합하여 극성 구조를 가지기에 같은 극성 용매인 물에 잘 녹는다. 염화나트륨의 결정 구조는 팔면체를 띠는 각 원자는 6개의 가장 가까운 이웃을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앙금이 아닌 수용성 염이다.

  • 화학식 : NaCl
  • 화학식량 : 58.44g
  • 녹는점 : 800.4℃
  • 끓는점 : 1400℃
  • 비중 : 2.16 (20℃)
  • 비열용량 : 36.79J/(mol·K)
  • 용해도 : 359g/L

엄밀한 의미에서 염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용 소금과 순수화학약품으로서의 염화나트륨은 구분해야 한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또 화학공업의 원료로서 극히 중요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다량으로 채취되었다. 천연으로는 바닷물 속에 평균 2.8% 함유되어 있으며, 암염(岩鹽)으로 땅 속에도 존재한다.

암염은 유럽·북아메리카·중국 등에서 산출되는데, 특히 독일의 슈타스푸르트가 유명하며, 한국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공업용으로는 캐낸 것을 그대로 사용하나, 식용으로 쓸 때는 재결정시켜 정제한다. 바닷물에서 채취하는 경우 한국에서는 보통 염전법으로 채취하였으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치하고 있다.

목차

  • 1 제법
  • 2 정제법
  • 3 구조
  • 4 성질
  • 5 용도
  • 6 배터리
  • 7 각주
  • 8 참고자료
  • 9 같이 보기

제법[편집]

  • 암염은 그대로 채굴되어 공업용으로는 사용되나 식용으로는 많은 경우 재결정하여 정제한다.
  • 해수로 만드는데는 천일(天日), 풍력, 동결 등에 의해 먼저 농축한 후 진한 용액을 다시 천일 또는 연료에 의해 증발시키고 적당한 농축도로 하여 석출되는 식염을 취한다(⇀ 제염법).

정제법[편집]

천연으로 만든 것은 암염에 드물게 순수한 것이 있는 외에는 많은 불순물이 포함되므로 수용액에서 염화바륨, 석회유, 탄산암모늄 등에 의해 Mg²⁺, Ca²⁺, 등을 침전시킨 후 거른액에 염화수소 가스를 통하여 염화나트륨을 결정시켜서 정제한다. 이렇게 해도 염화칼륨 등이 약간 남기 때문에 특히 순수한 것은 백금 도가니 속에서 용융하여 분별 결정에 의해 정제하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구조[편집]

결정은 암염형 구조. 격자 상수 a 5.640Å, 결합 간격 Na-Cl 2.820Å. 녹는점 이상에서는 휘발성이 높고 기체 분자에서는 중합되지 않고 결합 간격 Na-Cl 2.51±0.03Å으로 된다.

성질[편집]

보통의 무수염의 결정은 무색 등축 결정계 육면체이며 적외선을 잘 투과한다. 천연산의 암염에는 가끔 청색의 것도 있는데 이것은 염류 중에 존재하는 극히 미량의 방사성 물질에 의해 장기간의 지질 연대 중에 NaCl의 결정 격자가 파괴되어 착색 중심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녹는점 800.4℃, 끓는점 1413℃, 2.164, n 1.5443. 포화 용액에 에탄올을 주입하고 급속히 결정시켰을 때에 결정 발광이 보인다. 순수한 것에는 조해성은 없으나 정제하지 않은 것은 마그네슘, 칼슘의 염류를 함유하기 때문에 조해성을 나타낸다. 용해도 물 0℃, 35.7g/100g ; 100℃, 39.8g/100g. 에탄올에 잘 녹지 않는다. 글리세롤에 녹는다. 진한 염산에 녹지 않는다. 포화 용액은 0℃ 이하에서 무색 단사 결정계의 2수화염 NaClㆍ2H₂O를 생성하고 -21.3℃에서 함빙정(含氷晶)을 만든다. 이것을 이용하여 한제(寒劑)를 만드는 것은 예로부터 잘 알려져 있다.

용도[편집]

  • 염소, 염산, 나트륨 및 수산화나트륨, 황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의 나트륨염의 제조 원료로서 매우 중요(⇀ 해염 공업).
  • 단독으로 조미료로서, 또 된장, 간장의 원료로서, 식품의 저장용으로 중요
  • 도자기의 유약
  • 비누 등의 염석(鹽析) 등. 실제로 매우 용도가 광범위하고 또 실험실에서는
  • 얼음과 함께 한제로서
  • 큰 단결정은 적외선(파장 1~16μ)을 투과시키므로 적외선 분광기의 프리즘에 사용된다.
  • 의약품, 6국 기재. 생리 식염액, 링거액(6국)의 조제에 사용한다.

배터리[편집]

염화나트륨을 2차전지 전극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정경윤 에너지저장연구단 박사팀이 염화나트륨을 기반으로 하는 나트륨이온 이차전지용 전극 재료를 개발하고, 이는 267mAh/g 수준의 초기 방전 용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전기화학적인 에너지저장 기술인 2차전지(배터리)는 소형 전자기기·전기자동차·대규모 전력저장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기존 리튬이온 2차전지는 성능이 우수하지만 최근 경제성 문제 탓에 대체 2차전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흔한 소금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소금은 나트륨이온이 이동하기 어려운 구조라 아직까지는 2차전지의 소재로 사용되지 못했다. 나트륨이온 2차전지의 개발을 위해서는 배터리 내에서 실제 전기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양극(+)과 음극(-) 소재의 개발이 중요한 실정이었다.

연구진은 염화나트륨의 전기화학적 활성화 공정을 활용했다. 염화나트륨의 나트륨이온에 빈자리를 유도한 후 상전이를 유도하고 이 과정에서 나트륨이온이 화합물에 삽입됐다. 이어지는 방전 과정에서 나트륨이온이 염화나트륨 구조로 다시 이동해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이 효과적으로 나트륨이온을 수용하고 나트륨이 풍부한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렇게 형성된 활성 염화나트륨 초기 방전 용량은 267mAh/g에 달했다.[1]

각주[편집]

  1. 최소망 기자, 〈염화나트륨을 이차전지 전극으로 활용…"'소금→배터리' 가능성 높여"〉, 《뉴스원》, 2019-08-06

참고자료[편집]

  • 〈염화 나트륨〉, 《위키백과》
  • 〈염화나트륨〉, 《두산백과》
  • 〈염화나트륨〉, 《화학대사전》
  • * 최소망 기자, 〈염화나트륨을 이차전지 전극으로 활용…"'소금→배터리' 가능성 높여"〉, 《뉴스원》, 2019-08-06

같이 보기[편집]

  • 소금
  • 나트륨이온 배터리

 

염화나트륨 구조식 - yeomhwanateulyum gujosig
염화나트륨 구조식 - yeomhwanateulyum gujosig
이 염화나트륨 문서는 소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자동차 종류,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에너지, 소재,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운전, 운송,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소재 골재 • 광물 • 광석 • 그래핀볼 • 기름 • 나노셀룰로스 • 나노소재 • 나프타 • 내화재 • 단열재 • 단일소재 • 대리석 • 도금 • 도전재 • 도체 • 돌 • 동박 • 레진 • 마감재 • 마닐라지 • 마분지 • 마찰재 • 막 • 매질 • 모래 • 목재 • 바닥재 • 바이오플라스틱 • 박막 • 반도체 • 방음재 • 방진재 • 벽돌 • 벽지 • 보온재 • 복합소재 • 본드 • 부도체 • 부산물 • 부식 • 부자재 • 불순물 • 비닐 • 비닐론(비날론) • 생분해성 플라스틱 • 석고 • 석고보드 • 석재 • 셀룰로스 • 셰일 • 소재 • 송진 • 쇠 • 수용액 • 수지 • 스테인리스강 • 스티로폼 • 스펀지 • 시료 • 시멘트 • 시트 몰딩 컴파운드(SMC) • 신소재 • 실리카 • 실리콘 • 아스콘 • 아스팔트 • 알루미늄 호일 • 암석 • 엑소일렉트로겐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연마재 • 외장재 • 용매 • 용액 • 용융염 • 용질 • 원료 • 원목 • 원자재 • 원재료 • 유리 • 유체 • 융해 • 은박지 • 자갈 • 자성체 • 자원 • 자재 • 재료 • 전고체 • 전구체 • 절연체 • 점토(찰흙) • 접착제 • 제진재 • 종이 • 증기 • 증착 • 차음재 • 천연수지 • 천연자원 • 천연펄프 • 천장재 • 철광석 • 철재 • 첨가제 • 촉매 • 컴파운드 • 코르크 • 코팅 • 콘크리트 • 쿠킹호일 • 타르 • 탄소소재 • 토사 • 펄프 • 페인트 • 페트병 • 포장재 • 폭발물 • 피복 • 피복재 • 필름 • 합판 • 호일(포일) • 흙 • 흡음재 • 희토류
섬유 가죽 • 거위털(구스다운) • 거즈 • 고급가죽 • 고무줄 • 광목 • 광물섬유 • 광섬유 • 극세사 • 금속섬유 • 기모 • 깃털 • 끈 • 나일론 • 나파가죽 • 낙타털 • 네오프렌 • 노르디코 • 누비 • 능직 • 다기능성 탄소나노튜브 섬유 • 다운 • 대마 • 데님 • 동물섬유 • 돼지가죽 • 라이오셀(리오셀) • 레이온(인견) • 리넨(린넨) • 마 • 마닐라삼 • 말가죽 • 메쉬 • 면 • 면직물 • 명주 • 모 • 모달 • 모시 • 모직물 • 모피 • 목화 • 무기섬유 • 무명 • 밍크털 • 반합성섬유 • 밧줄 • 방모 • 방직섬유 • 뱀가죽 • 벨로아 • 벨벳 • 벨보아 • 보풀 • 부직포 • 비단(실크) • 비건가죽 • 비스코스 • 삼베 • 새끼줄 • 석면 • 섬유 • 소가죽 • 소모 • 솜 • 솜털 • 수자직(주자직) • 스웨이드(세무) • 스판덱스 • 시어서커 • 식물섬유 • 실 • 아라미드 • 아세테이트 섬유 • 아크릴 섬유 • 악어가죽 • 알칸타라 • 암면 • 양가죽 • 양모 • 오리털(덕다운) • 옷감 • 우레탄 • 울 • 원단 • 원사 • 유리섬유 • 인조가죽 • 잔털 • 재생섬유 • 직물 • 짚 • 천 • 천연가죽 • 천연섬유 • 캐시미어 • 코듀로이(골덴) • 타조가죽 • 탄소섬유 • 털 • 털실 • 텐셀 • 토끼털 • 패브리칸 • 평직 • 프로믹스 • 플란넬 • 플리스(폴라폴리스) • 피혁 • 합성섬유 • 혼방 • 화학섬유(인조섬유)
화합물 ABS • EVA • LNO • pH • PVC • 강 • 강철 • 고무 • 고분자 • 공유결합 • 과산화수소 • 과산화은 • 그래핀 • 금속결합 • 금속산화물 • 단백질 • 단일결합 • 두랄루민 • 디메틸 카보네이트 • 라텍스 • 리튬 니켈 산화물 • 리튬산화물 • 리튬인산철 • 리튬 코발트 산화물 • 리튬 티타늄 산화물 • 메탄올 • 메탈실리콘 • 메테인 • 무기화합물 • 물 • 반응식 • 방사성 동위원소 • 분자 • 분자량 • 분자식 • 불소 • 붕산리튬 • 비금속 • 산 • 산성 • 산화물 • 산화은 • 산화제 • 산화철 • 산화코발트 • 삼중결합 • 생고무 • 설탕 • 세라믹 • 소금 • 수산화나트륨 • 수산화니켈 • 수산화리튬 • 수산화물 • 수산화아연 • 수산화이온 • 수산화칼륨 • 수산화칼슘 • 수산화코발트 • 수증기 • 순물질 • 실리콘 (규소) • 실험식 • 아미노산 • 아세테이트 • 아세트산 • 아세틸렌 • 아크릴 • 알칼리 • 알칼리성 • 알코올 • 암모니아 • 얼음 • 에탄올 • 에테인 • 에틸렌 • 에틸렌 카보네이트 • 염 • 염기 • 염기성 • 염산 • 염화나트륨 • 염화수소 • 염화칼륨 • 염화칼슘 • 올레핀 • 옹스트롬 • 요소 • 요소수 • 유기화합물 • 유리탄소 (free carbon) • 유리탄소 (glassy carbon) • 이산화망가니즈 • 이산화탄소 • 이산화티타늄 • 이오노머 • 이온결합 • 이중결합 • 인산 • 인산철 • 인조흑연 • 일산화탄소 • 전기화학반응 • 증류수 • 질산 • 질산나트륨 • 질산염 • 질산칼륨 • 질화리튬 • 천연고무 • 천연흑연 • 청동 • 카르빈 • 카보네이트(탄산염) • 카본블랙 • 콜타르 • 탄산 • 탄산나트륨 • 탄산리튬 • 탄산에틸렌 • 탄산이온 • 탄산칼륨 • 탄산칼슘 • 탄소강 • 탄소나노튜브 • 탄소화합물 • 탄화수소 • 특수강 • 페라이트 • 페로브스카이트 • 페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 폴리머(중합체) • 폴리실리콘 • 폴리아미드 • 폴리아크릴 • 폴리에스테르 • 폴리에틸렌 • 폴리염화비닐 • 폴리올레핀 • 폴리우레탄 • 폴리카보네이트 • 폴리프로필렌 • 풀러렌 • 프로필렌 • 플라스틱 • 하이니켈 • 합금 • 합성고무 • 합성수지 • 홑원소물질 • 화학 • 화학결합 • 화학반응 • 화학반응식 • 화학식 • 화합물 • 환원제 • 황동 • 황산 • 황산망간 • 황산코발트 • 황화리튬 • 황화물 • 흑린 • 흑연
원소 갈륨 • 구리 • 규소 • 금 • 금속 • 금속이온 • 나트륨(소듐) • 나트륨이온 • 납 • 네온 • 니켈 • 동소체 • 동위원소 • 라돈 • 라듐 • 루테늄 • 리튬 • 리튬메탈 • 리튬이온 • 마그네슘 • 망가니즈(망간) • 바나듐 • 바나듐이온 • 백금 • 베릴륨 • 붕소 • 비소 • 비철금속 • 산소 • 삼중수소 • 세슘 • 수소 • 수소이온 • 수은 • 스칸듐 • 아르곤 • 아연 • 아연이온 • 아이오딘 • 알루미늄 • 염소 • 우라늄 • 원소 • 원자 • 은 • 인 • 저마늄(게르마늄) • 전이금속 • 전이후금속 • 족 • 주기 • 주기율표 • 주석 • 준금속 • 중금속 • 중수소 • 질소 • 철 • 카드뮴 • 칼륨(포타슘) • 칼슘 • 코발트 • 크로뮴 • 타이타늄(티타늄) • 탄소 • 탄소-14 • 텅스텐 • 토륨 • 팔라듐 • 플루오린 • 플루토늄 • 할로젠(할로겐) • 헬륨 • 황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인물, 행사,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