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는 제16대에서 제21대 국회까지 약 2만 건의 국회회의록 원문을 각 의원별 발언 단위로 분리해 1,200만여 건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의원별 발언 내용을 분석한 데이터를 시각화해 보여주는데 이는 해외 주요 국가 의회에서도 볼 수 없는 서비스다.

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홈페이지 화면 [사진=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은 올해 연말까지 제15대 국회 본회의 회의록을 공급하고, 향후 국회회의록 전체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국회도서관은 이번 회의록 구축으로 국회 및 정책연구자들의 다양한 입법 관련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들이 만들어져 입법부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길 수 있는 마중물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현진권 국회도서관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공지능(AI)이고, 인공지능 학습과 구현을 위한 원료가 빅데이터”라면서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 시작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공급하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국회도서관 역할과 방향을 알리는 신호”라고 말했다.

[에너지데일리 송병훈 기자] 국회도서관(관장 현진권)은 1일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dataset.nanet.go.kr)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는 제16대에서 제21대 국회까지 약 2만 건의 국회회의록 원문을 각 의원별 발언 단위로 분리해 구축한 1200만여 건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발언자나 키워드 등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원별 발언 내용을 분석, 시각화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미국, 일본, 영국 등의 주요국 의회에서 회의록 발언 내용에 대한 발언자와 키워드 검색을 제공하고 있지만, 발언 내용을 분석해 시각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국회회의록 빅데이터'만의 특징이라고 국회도서관은 설명했다.

특히 입법부에서만 생산 가능한 양질의 회의록 데이터셋을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 국회의원 의정활동 분석 및 입법 지원을 위한 서비스 창출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국회도서관은 올해 연말까지 제헌국회부터 제15대까지의 국회 본회의 회의록을, 향후에는 국회회의록 전체의 데이터셋을 추가로 구축해 제공할 예정이다.

이같은 회의록 데이터셋을 통해 국회 및 정책연구자들의 다양한 입법 관련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들이 만들어져 입법부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길 수 있는 마중물이 되기를 희망한다는 설명이다.

현진권 국회도서관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공지능(AI)이고, 인공지능 학습과 구현을 위한 원료가 빅데이터”라면서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 시작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공급하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국회도서관 역할과 방향을 알리는 신호”라고 말했다.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는 제16대에서 제21대 국회까지 약 2만 건의 국회회의록 원문을 각 의원별 발언 단위로 분리해 구축한 1200만여 건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발언자나 키워드 등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원별 발언 내용을 분석하여 시각화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미국, 일본, 영국 등의 주요국 의회에서 회의록 발언 내용에 대한 발언자와 키워드 검색을 제공하고 있지만 발언 내용을 분석해 시각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국회회의록 빅데이터만의 특징이다.

특히 입법부에서만 생산 가능한 양질의 회의록 데이터셋을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국회의원 의정활동 분석·입법 지원을 위한 서비스 창출의 기반을 마련했다.

국회도서관은 2021년 연말까지 제헌국회부터 제15대까지의 국회 본회의 회의록을, 향후에는 국회회의록 전체의 데이터셋을 추가로 구축해 제공할 예정이다. 회의록 데이터셋을 통해 국회·정책연구자들의 다양한 입법 관련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들이 만들어져 입법부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길 수 있는 마중물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현진권 국회도서관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공지능이고, 인공지능 학습과 구현을 위한 원료가 빅데이터”라며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 시작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공급하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국회도서관 역할과 방향을 알리는 신호”라고 말했다.

국회도서관,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 개시

  • 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 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 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 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 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 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 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발행일 : 2021-09-01 14:16 지면 : 2021-09-02 9면

국회도서관은 1일부터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서비스 혁신 일환으로 추진하는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는 제16대에서 21대 국회까지 약 2만건의 국회회의록 원문을 의원별 발언 단위로 분리·구축한 1200만여건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발언자나 키워드 등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을뿐 아니라 의원별 발언 내용을 분석해 시각화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 화면.>

미국, 일본, 영국 등의 주요국 의회에서 회의록 발언 내용에 대한 발언자와 키워드 검색을 제공하고 있지만 발언 내용을 분석해 시각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국회회의록 빅데이터만의 특징이다.

특히 입법부에서만 생산 가능한 양질의 회의록 데이터셋을 국회회의록 빅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국회의원 의정활동 분석 및 입법 지원을 위한 서비스 창출의 기반을 마련했다.

국회도서관은 올 연말까지 제헌국회부터 제15대까지의 국회 본회의 회의록을, 향후에는 국회회의록 전체의 데이터셋을 추가로 구축해 제공할 예정이다. 회의록 데이터셋을 통해 국회 및 정책연구자들의 다양한 입법 관련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들이 만들어져 입법부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길 것으로 예상된다.

현진권 국회도서관장은 “4차 산업혁명 핵심은 인공지능(AI)이고, 인공지능 학습과 구현을 위한 원료가 빅데이터”라면서 “빅데이터 서비스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국회도서관 역할과 방향을 알리는 신호”라고 말했다.

국회 회의록 빅데이터 - gughoe hoeuilog bigdeiteo

조정형기자 [email protected]

국회도서관은 국회의원의 입법활동과 정책심의를 비롯한 각종 의정활동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국민에게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기 위하여 국회도서관법 제7조에 납본관련 조항을 두고 있으며, 국내에서 발행되는 도서관 자료를 납본 받고 있습니다.

* 납본이란?
도서관자료를 발행하거나 제작한 자가 일정 부수를 법령에서 정한 기관에 의무적으로 제출하는 것

* 도서관자료란?
인쇄자료, 필사자료, 시청각자료, 마이크로형태자료, 전자자료, 그밖에 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 등 지식정보자원 전달을 목적으로 정보가 축적된 모든 자료로서 도서관이 수집, 정리, 보존하는 자료

납본방법 및 제출서류

납본방법 및 제출 서류 테이블로 납본대상, 납본방법, 문의로 구성납본대상납본방법문의

일반도서

도서(인쇄본,판매용) 2부와 관련 서류를 대한출판문화협회에
제출 (대한출판문화협회 납본 안내페이지 참고)

대한출판문화협회 T.02-733-8402
국회도서관 T.02-6788-4322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인쇄본,판매용) 2부와 관련 서류를 한국잡지협회에
제출 (한국잡지협회 납본 안내페이지 참고)

한국잡지협회 T.02-360-0040~42
국회도서관 T.02-6788-4218

학·협회, 연구소 정기간행물을 국회도서관에 우편·택배·방문을 통해 제출

한국잡지협회 T.02-360-0040~42
국회도서관 T.02-6788-4218

• 인쇄본(2부)

  • 보내실 곳: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 (우07233)
    국회도서관 자료수집과

• 디지털 파일

  • 정기간행물 디지털파일과 이용허락동의서를 이메일로 송부
  • (표지, 목차가 포함된 권호단위 파일 1개로 납본 단, 권호단위 전체파일+기사별 파일 중복납본 가능)
  • 관련 서류: 이용 허락 동의서(다운로드)
  • ✍ 이용 허락 동의서 작성방법
  • 보내실 곳: [email protected]

• 수령증 발급(한국연구재단 제출용)

  • [email protected]로 수령증 발급에 필요한 항목을 기재하여 신청
  • 학술지명(연간물명), 학회(연구소)명, 요청기간(또는 필요한 권호), 수신희망 e-mail 기재

학위논문

학위 수여 대학에서 일괄 납본

T. 02-6788-4163

공공간행물

공공기관 등은 발간자료 인쇄본 2부와 디지털 파일을 국회도서관에 우편·택배·방문을 통해 제출

T. 02-6788-4257, 4372

• 인쇄본, 비도서(CD, USB 등 저장 매체)

  • 보내실 곳: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 (우07233) 국회도서관 자료수집과

• 디지털파일

  • 보내실 곳: [email protected]
  • 공공기관 등:
  •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단체, 교육·연구기관

비도서

오디오북, DVD 등의 자료(1점)을 국회도서관에 우편․택배․방문 통해 제출

T. 02-6788-4202
F. 02-6788-4295

  • 관련 서류: 납본보상금 청구서, 계산서(다운로드)
  • 보내실 곳: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 (우07233) 국회도서관 자료수집과

납본제외자료(국회도서관 납본도서 수집 지침 제2조)

1. 공통사항

  • 복본도서, 재판, 중쇄 도서
  • 개정판 중 제목, ISBN만 달리하고 내용 및 출판사가 같은 도서
  • 동종의 도서가 출판사를 달리해서 출판되었으나, 페이지 수 및 형태사항이 같은 도서
  • 내용은 같고 합본 또는 분책으로 발간된 도서
  • 명칭이나 실체가 불명확한 단체가 발행하거나 창작물이 아닌 이미 공개된 자료를 편집하여 발간한 도서
  • 일반적인 도서 판매가격 책정 방식을 고려하여 도서가격이 현저하게 고가인 도서
  • 발행연도가 현재를 기준으로 5년 이전에 발간된 도서

2. 내용사항

  • 아동도서, 중·고등학교 교과서, 각종 문제집
  • 특정 개인, 단체, 지역, 상품, 이념, 정책, 종교 등을 선전·홍보 하는 도서
  • 종교 관련 개론·이론서를 제외한 종교서
  • 학습, 교양용을 제외한 만화 및 게임·퍼즐 등 오락용 출판물

3. 형태사항

  • 악보(교본 포함)
  • 복사본, 낱장자료, 스프링 제본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