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강아지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견주를 꿈꾼다. 사랑으로 키우고 책임으로 보살피는 강아지는 귀여운 외모만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강아지는 사람과 몸 구조부터 습성까지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강형욱 훈련사

강아지 훈련사로 유명한 강형욱 훈련사도 최근 방송에 출연해 강아지 훈육 상식을 소개했다. 강아지를 키울 예정인 사람이거나 초보 견주는 주목 하자. 강 훈련사가 알려준 '처음 애견 키우는 방법' 10가지를 추렸다.

1. 첫인사는 바닥에 내려놓기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강아지를 처음 집에 데려오자마자 만지거나 안기보다는 바닥에 내려놓고 냄새를 맡게 한다. 새로운 장소에 적응할 시간을 주는 것이다.

2. "귀엽다~!" 처음 보자마자 소리 지르는 건 금물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처음 만나자마자 호들갑을 떨면서 안으려고 하면 강아지는 깜짝 놀라고 만다. 이미 당신을 두려워하는 강아지와 친해지기는 더욱 어렵다. 

3. 첫 접촉은 '손 냄새 맡게 하기'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강아지를 처음 봤을 때는 차분하게 손 냄새를 맡게 한다. 좀 더 친해지고 싶다면 분주하게 움직이며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보자. 강아지와 함께 장난을 치며 친해질 수 있다.

4. 강아지 집은 화장실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강아지는 집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배변하려는 습성이 있다. 잠을 자거나 쉬는 집은 화장실과 좀 떨어져 있으면서 주인과 가까운 곳에 둔다. 

5. 배변 패드는 강아지 집과 살짝 먼 곳에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화장실과 별도로 배변 패드를 깔아두면 강아지가 아무데나 실례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이 배변 패드를 놓는 위치 역시 집과 떨어진 곳에 두는 것이 좋다. 집에서 잘 보이면서 살짝 먼 곳이 적당하다.

6. 간식을 줄 때는 절대 만지지 말 것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강아지는 낯선 손길을 좋아하지 않는다. 훈련 목적으로 간식을 줄 때 강아지를 만지면, 효과가 반감된다.

7. 배변 패드에 배변했을 때 잘했다고 칭찬하기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배변 패드에 볼일을 본 강아지에겐 칭찬과 간식으로 보상한다.

8. '앉아' 또는 '엎드려' 훈련 시키기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간식을 강아지보다 살짝 위쪽으로 올리면 강아지가 바닥에 앉는다. 강아지가 바닥에 궁둥이를 붙이는 순간 간식을 준다. 같은 방식으로 간식을 강아지 앞다리 사이로 쭉 내리면 강아지가 바닥에 엎드린다. 강아지 앞 발꿈치가 바닥에 닿으면 간식을 줘서 보상한다.

9. 첫 목욕은 물놀이처럼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강아지에게 첫 목욕은 '개터파크'가 돼야 한다. 물을 조금 퍼서 적셔주기부터 시작한다. 물→샴푸→드라이 순서로 차차 적응시켜 준다.

10. 털을 말릴 때도 놀이처럼 천천히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젖은 강아지 털을 말릴 때는 바닥에 수건을 깔아주고 강아지가 먼저 다가오도록 유도한다. 강아지가 수건 위에 올라와서 비비거나 놀기 시작하면 천천히 물기를 닦아주며 함께 놀듯이 털을 말려준다.

○ 엄마 강아지의 태내에서 나온 후에 남은 배꼽의 탯줄은 태어나서 4~6일 경이면 떨어지며 그 흔적에 다소 물기가 있고 감염의 우려가 있으면 소독해주어 감염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신생아기의 강아지일 때 엄마 강아지가 배설물의 뒤처리를 깨끗하게 해주지만 강아지들이 많거나 엄마 강아지의 질에서 분비물이 나오면 깔개가 더러워지므로 깔개를 매일 교체해줘야 합니다.

 

○ 생후 14-15일 경이 되면 눈의 횡선이 완전하게 되어 저절로 눈이 떠지며 1~2주일은 잘 보이지 않습니다.

눈이 떠질 때까지는 어두운 곳에 두며 떠짐과 함께 차차 밝은 곳으로 옮겨서 서서히 밝은 곳에 익숙하도록 합니다.

너무 빨리 밝은 곳에 두는 것은 시력의 발달에 좋지 않습니다.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새끼 강아지 젖 먹이기

○ 엄마 강아지는 출산 직후에도 젖이 나오나 너무 빨리 강아지에게 젖을 주면 뒤에 태어나는 강아지의 출산이 늦어집니다.

그러므로 반려견 전부가 출산되고 나서 2시간가량 경과하여 젖이 충분히 부른 후 수유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유모견을 준비시켜 둘 경우에도 생후 3~4일 간은 모견에 붙여 두는 것이 좋습니다.

엄마 강아지에게 처음 나오는 젖은 황색을 띠고 끈기가 있으며 나오는 분량은 적습니다.

 

그러나 분만 당일의 모유에는 강아지가 여러 가지 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특별한 면역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출산 직후 강아지의 장에 남아서 해가 되는 태내 변을 모두 배출시키는 특수한 성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초기의 모유(초유)는 생존에 필수 조건이 됩니다.

 

○ 태어나서 10일이 경과하면 자견이 요구하는 젖의 양이 점점 증가하므로 모견의 젖이 부족할 때는 인공포유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모견의 먹이는 양을 늘려주고 횟수도 1일 3~4회 급여).

만지면 부서질 것처럼 작고 예쁜 아기 강아지가 태어났나요? 아니면 이제 갓 엄마와 떨어진 강아지를 입양하셨나요? 사람 아기들처럼 각별히 잘 케어해줘야 건강한 성견으로 잘 자라날 수 있겠지요? 오늘은 귀여운 아기 강아지 키우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게요.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사랑스러운 꼬물이 삼총사

 

어미젖, 이유식, 불린 사료 순으로

저는 키우던 개에게서 새끼 강아지를 받아본 적이 있는데요. 갓 태어난 댕댕이는 정말 손바닥에 쏙 들어갈 정도로 얼마나 작고 귀여운지 몰라요.

 

말티즈 경우는 두세 마리가 함께 태어나는 경우가 많은데, 유독 작게 태어나 형제들에게 치여 어미젖을 잘 먹지 못하는 아이들은 강아지용 분유를 2시간마다 조금씩 먹여 주세요. 

 

 

체구가 작아 자꾸 밀리는 이유로 어미젖을 먹지 못하는 경우는 분유를 잘 먹여가면서 컨디션을 올려주고 어미젖을 먹게끔 자꾸 유도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새끼 강아지들은 생후 2주 뒤면 눈을 뜨고, 16일 정도가 되면 걷기 시작합니다. 이유식도 이 정도 시기에 시작해서 생후 40일경까지 먹게 되는데요. 이유식과 엄마젖이랑 번갈아가면서 먹이시다가 점점 이유식의 비중을 늘려나가시면 됩니다.

 

40일이 지나면 건사료를 물에 불려서 주시면 되는데, 이 시기에 이빨이 솟기도 한다고 해요. 이빨이 나는 것을 잘 살펴보시면서 불린 사료에서 건사료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밥 좀 많이 달라고요!! 

 

아기 강아지 적당한 사료 급여량 계산하기 

원래 먹던 사료를 좀 가져오셔서 앞으로 먹을 사료와 섞여 먹이는 게 좋습니다. 이가 나지 않은 댕댕이라면 이가 날 때까지는 소화를 돕기 위해 물에 불려서 주셔야 하는데요. 생후 4개월 미만은 하루에 먹을 양을 4-5차례, 생후 9개월까지는 3-4차례, 그 이상은 2-3차례로 나눠주세요.

 

하루 급여량은 몸무게의 5-6%가 적당하다고 하는데요. 1kg 아이라면 50g. 종이컵의 반 정도를 소분하여서 몇차례에 나눠 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강아지마다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건 위험하죠.

 

체중을 잴 때마다 늘어야 정상인데, 만일에 늘지 않는다면 적게 먹이고 있는 것이니 조금 늘려주세요. 작게 키운다고 조금만 먹이는 사람이 있는데 그건 아주 잘못된 생각입니다. 어릴 때 잘 먹어야 나중에 잔병치레를 안 하는 건강한 성견이 됩니다. 

 

간식은 생후 6개월 이후부터 차차 주시고, 이전에는 안 주시는 게 좋습니다.

 

 

실내온도는 따듯하게

아직 아가들이라 체온조절 능력이 부족해서 추위에 취약합니다. 자칫 감기에 걸릴 수가 있겠는데요. 새끼 강아지들은 가벼운 감기로 인해서도 건강이 악화될 수가 있기 때문에 실내온도는 21도 이상으로 유지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눈빛이 초롱초롱. 아주 이쁘네요.

 

소파, 침대에 올려두는 것은 아주 위험

귀엽다고 소파나 침대에 올려놓고 잠깐 자리를 비운 사이에 강아지가 추락하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머리부터 떨어져 뇌나 척추에 손상이 가는 경우를 생각하면 아찔하지요.

 

어린 개들은 활동력이 좋기 때문에 더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아예 높은 곳은 올려놓질 마시고, 바닥에서만 같이 놀아주신다고 규칙을 정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첫 목욕 시기는 신중하게 정하기

아직 면역력이 낮기 때문에 첫 목욕 시기는 신중하게 정하셔야 합니다. 첫 목욕을 생후 25일 정도에 시켜도 된다고 하지만, 3차 접종까지 모두 맞춘 후에, 그러니까 3개월 전후로 시키는 게 좋다고도 합니다. 또한 5차 접종을 모두 맞춘 후에 시키는 게 가장 좋단 얘기도 있고요. 

 

 

이유는 면역력 때문입니다. 아직 아기들이라 면역력이 낮고, 목욕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가 있거든요. 감기에 걸리거나 컨디션이 나빠질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한 없애는 것이지요. 

 

만일 2개월도 안된 강아지를 입양해서 데려오신 경우라면, 목욕을 시키고 싶으시더라도 집에 온 지 1주일 동안은 시키지 말아 주세요. 새로운 곳에 대한 스트레스와 겹쳐서 간단한 목욕으로도 컨디션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닦아주고 싶으시다면 따듯한 물로 수건을 빨아서 강아지의 더러워진 곳을 잘 닦아주세요. 이때에도 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셔야 하겠지요?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먹고 자고가 일인 녀석들. 통통하게 잘 크고 있네요.

 

백신 접종은 6주부터 5차까지 진행

아기 강아지 접종은 6주-8주에 건강검진과 함께 종합백신을 맞는 것을 시작으로, 2주마다 한차례씩 백신을 맞게 됩니다. 대략 생후 4개월 정도 되면 기본적으로 필요한 접종을 모두 맞게 되는데요.

 

접종을 다 하고서도 항체가 생기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접종이 끝나고 나면 항체가 잘 생겼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이후에는 매년 추가접종을 하면 됩니다. 

 

첫 진료 시에는 기생충 검사를 위해 배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아요. 어미개 태반을 통해 강아지의 뱃속에 기생충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만일에 기생충이 보인다면 구충제를 처방받으시면 됩니다.

 

아기 강아지 외출과 미용은 언제부터

접종을 다 마치지 않아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외출은 삼가야 합니다. 강아지와 함께한 외출은 5차 접종을 모두 완료한 후에 하시는 게 안전합니다. 

 

당연히 미용도 접종 전에는 시키지 않아야 합니다. 미용실에서 어떤 병균에 노출될지 모를 일이니까요. 다만 발바닥 털이 길게 자라서 자꾸 미끄러질 텐데요. 강아지용 가위나 이발기로 발바닥 털과, 항문 주변 털을 정리 해 주시면 좋습니다.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작게 키운다고 사료를 적게 주면 잔병치레가 많은 강아지가 됩니다. 

 

기본 교육?  놀아주는 것부터 

새끼 강아지를 너무 엄하게 가르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앉아, 엎드려, 기다려, 돌아, 빵, 오른손, 왼손, 발.... 별의별 것을 다 가르치는 분들도 계신데요.

 

생후 7주 경에 이름을 가르치고, 함께 살면서 꼭 필요한 말인 앉아, 기다려, 안돼, 이리 와 정도만 가르치시면 충분합니다. 7주-12주 사이의 강아지는 공포심을 크게 느낀다고 해요. 과도한 교육이 스트레스를 줄 수가 있으니 꼭 필요한 교육이 아니라면 안 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이 시기의 어린 강아지들은 사람과의 유대관계가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애정을 쏟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기본적인 교육 시간은 10분 정도가 적당한데 놀아주듯이 가르치시면 됩니다. 

 

생후 12주 정도가 되면, 배변훈련이나 잘못된 습관을 고쳐주는 교육이 필요해지실 겁니다. 이 시기에는 안돼!라는 용어를 많이 쓰게 되겠지만 아직은 아기라는 사실을 명심하시고 기본적으로 잘했을 때 폭풍 칭찬을 아끼지 말아 주세요.

 

교육은 한 사람이 하는 게 좋은데요. 혼동과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어서 좋습니다.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 saekki gang-aji kiuneun bangbeob
어미개와 떨어진 아가들이니 외롭지 않게 잘 보듬어 주세요. 

 

 

결론

아기 강아지 키우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똥꼬 발랄하게 노는 모습만 봐도 미소가 지어지는 녀석들인데, 아기 때부터 잘 키워야 잔병치레 없는 성견으로 자라나 오래오래 건강한 모습으로 함께할 수 있을 겁니다.

강아지 어떻게 키우나요?

강 훈련사가 알려준 '처음 애견 키우는 방법' 10가지를 추렸다..
첫인사는 바닥에 내려놓기 ... .
2. " ... .
첫 접촉은 '손 냄새 맡게 하기'.
강아지 집은 화장실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배변 패드는 강아지 집과 살짝 먼 곳에.
간식을 줄 때는 절대 만지지 말 것.

강아지 를 키우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반려동물을 키우게 되면 아이가 반려동물을 돌보면서 배변을 치워주고, 같이 놀아주고 하면서 배려심을 기를 수 있는 기회 갖게 됩니다. 또 동물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이해하려 들게 되기 때문에 뇌가 활성화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습니다.

강아지는 몇개월부터 짖나요?

2세 이후에는 배변, 짖기, 물기 등의 문제행동이나 불안감 등을 고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